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MySQL - Authentication method 'caching_sha2_password' not supported by any of the available plugins.

이상하군요, MySQL 컨테이너를,

docker - MySQL 컨테이너 실행
; https://www.sysnet.pe.kr/2/0/12177

다시 latest로 실행시켰더니 그 이후부터 기존 응용 프로그램에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 [닷넷의 경우]

MySQL: MySql.Data.MySqlClient.MySqlException (0x80004005): Authentication method 'caching_sha2_password' not supported by any of the available plugins. 
    at MySql.Data.MySqlClient.Authentication.AuthenticationPluginManager.GetPlugin(String method) 
    at MySql.Data.MySqlClient.Authentication.MySqlAuthenticationPlugin.GetPlugin(String method, NativeDriver driver, Byte[] authData) 
    at MySql.Data.MySqlClient.NativeDriver.Authenticate(String authMethod, Boolean reset) 
    at MySql.Data.MySqlClient.NativeDriver.Open() 
    at MySql.Data.MySqlClient.Driver.Open() 
    at MySql.Data.MySqlClient.Driver.Create(MySqlConnectionStringBuilder settings) 
    at MySql.Data.MySqlClient.MySqlPool.CreateNewPooledConnection() 
    at MySql.Data.MySqlClient.MySqlPool.GetPooledConnection() 
    at MySql.Data.MySqlClient.MySqlPool.TryToGetDriver() 
    at MySql.Data.MySqlClient.MySqlPool.GetConnection() 
    at MySql.Data.MySqlClient.MySqlConnection.Open() 
    at WebSiteTest.postgreSQLTest.MySqlTest()
    at WebSiteTest.postgreSQLTest.Page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파이썬의 경우]
OperationalError at /testapp/mysqlclient_test
(2059, "Authentication plugin 'caching_sha2_password' cannot be loaded: /usr/lib/x86_64-linux-gnu/mariadb18/plugin/caching_sha2_password.so: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Request Method: GET
Request URL:    http://127.0.0.1/testapp/mysqlclient_test
Django Version: 1.11.29
Exception Type: OperationalError
Exception Value:    
(2059, "Authentication plugin 'caching_sha2_password' cannot be loaded: /usr/lib/x86_64-linux-gnu/mariadb18/plugin/caching_sha2_password.so: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Exception Location: /usr/local/lib/python2.7/site-packages/MySQLdb/connections.py in __init__, line 179

검색해 보니 다음의 글이 나오는군요,

Authentication method 'caching_sha2_password' not supported by any of the available plugins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50088142/authentication-method-caching-sha2-password-not-supported-by-any-of-the-availa

대처 방법은 2가지입니다. MySQL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측의 응용 프로그램이 .NET Framework 4.5.2 이상의 플랫폼으로 빌드가 된다면 NuGet으로부터 새롭게 MySQL 패키지를 업데이트하면 됩니다.

반면 그 미만의 경우라면 MySQL 서버에서 인증 방식을 Legacy 모드로 바꿔야 합니다. 아래의 공식 문서를 보면,

6.4.1.2 Caching SHA-2 Pluggable Authentication
; https://dev.mysql.com/doc/refman/8.0/en/caching-sha2-pluggable-authentication.html

기존의 방식은 "mysql_native_password"라고 하는군요. 바꿀 수 있는 방법은 위의 문서에서 여러 가지로 소개하고 있는데 그중에 새로운 user를 생성하는 방법으로 해결해 보겠습니다.

# /usr/bin/mysql -u root -p

mysql> create user 'nativeuser' identified with mysql_native_password by 'test_password';

// 만약 "ERROR 1410 (42000): You are not allowed to create a user with GRANT" 오류가 발생한다면, 생성한 사용자의 id와 grant 대상이 되는 id가 일치하는지 확인합니다.

// 계정 삭제: drop user nativeuser

물론 저렇게 바꿔주면 기존의 연결 문자열에 "User Id" 값도 변경해야 합니다.

<add key="MySqlConnection" 
        value="Data Source=192.168.100.50;Database=testdb;User Id=nativeuser;Password=test_password" />

그런데, 이렇게만 설정하고 테스트를 하면 권한 오류가 발생할 것입니다.

Authentication to host '192.168.0.8' for user 'nativeuser' using method 'mysql_native_password' failed with message: Access denied for user 'nativeuser'@'%' to database 'testdb'

적절한 권한도 줘야 합니다. ^^

mysql> grant all privileges on testdb.* to 'nativeuser';
Query OK, 0 rows affected (0.01 sec)




참고로, MySQL 측의 서버 옵션에 기본 인증 방식을 제공하는 것도 있습니다. docker container의 경우라면 해당 파일의 위치는 /etc/mysql/my.cnf에 있을 것이고,

#apt update
#apt install vim

# cat /etc/mysql/my.cnf
...[생략]...

[mysqld]
pid-file        = /var/run/mysqld/mysqld.pid
socket          = /var/run/mysqld/mysqld.sock
datadir         = /var/lib/mysql
secure-file-priv= NULL

# Custom config should go here
!includedir /etc/mysql/conf.d/

위의 mysqld 섹션에 다음의 값을 설정하면 될 듯한데요,

default_authentication_plugin=mysql_native_password

실제로 해보면, 오류는 여전히 발생했습니다. 딱히 해보진 않았지만, 아마도 기존 사용자들은 "caching_sha2_password"가 기본 인증으로 설정되었을 때 생성되었을 것이므로 그것의 영향을 받아 이미 인증 모드 설정이 caching_sha2_password로 되어 있기 때문일 것 같습니다. 구체적인 것은 테스트해야 알 수 있겠지만... 오늘은 일단 이 정도 선에서 마무리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30/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109정성태7/27/202223107VS.NET IDE: 177. 비주얼 스튜디오 2022를 이용한 (소스 코드가 없는) 닷넷 모듈 디버깅 - "외부 원본(External Sources)" [1]
13108정성태7/26/202220274Linux: 53. container에 실행 중인 Golang 프로세스를 디버깅하는 방법 [1]
13107정성태7/25/202220534Linux: 52. Debian/Ubuntu 계열의 docker container에서 자주 설치하게 되는 명령어 [1]
13106정성태7/24/202217259오류 유형: 819. 닷넷 6 프로젝트의 "Conditional compilation symbols" 기본값 오류
13105정성태7/23/202222039.NET Framework: 2034. .NET Core/5+ 환경에서 (프로젝트가 아닌) C# 코드 파일을 입력으로 컴파일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
13104정성태7/23/202225687Linux: 51. WSL - init에서 systemd로 전환하는 방법
13103정성태7/22/202220821오류 유형: 818. WSL - systemd-genie와 관련한 2가지(systemd-remount-fs.service, multipathd.socket) 에러
13102정성태7/19/202219861.NET Framework: 2033. .NET Core/5+에서는 구할 수 없는 HttpRuntime.AppDomainAppId
13101정성태7/15/202234294도서: 시작하세요! C# 10 프로그래밍
13100정성태7/15/202222465.NET Framework: 2032. C# 11 - shift 연산자 재정의에 대한 제약 완화 (Relaxing Shift Operator)
13099정성태7/14/202220826.NET Framework: 2031. C# 11 - 사용자 정의 checked 연산자파일 다운로드1
13098정성태7/13/202218686개발 환경 구성: 647. Azure - scale-out 상태의 App Service에서 특정 인스턴스에 요청을 보내는 방법 [1]
13097정성태7/12/202217923오류 유형: 817. Golang - binary.Read: invalid type int32
13096정성태7/8/202220765.NET Framework: 2030. C# 11 - UTF-8 문자열 리터럴
13095정성태7/7/202217918Windows: 208. AD 도메인에 참여하지 않은 컴퓨터에서 Kerberos 인증을 사용하는 방법
13094정성태7/6/202217045오류 유형: 816. Golang - "short write" 오류 원인
13093정성태7/5/202218077.NET Framework: 2029. C# - HttpWebRequest로 localhost 접속 시 2초 이상 지연
13092정성태7/3/202221102.NET Framework: 2028. C# - HttpWebRequest의 POST 동작 방식파일 다운로드1
13091정성태7/3/202220493.NET Framework: 2027. C# - IPv4, IPv6를 모두 지원하는 서버 소켓 생성 방법 [1]
13090정성태6/29/202219710오류 유형: 815. PyPI에 업로드한 패키지가 반영이 안 되는 경우
13089정성태6/28/202219603개발 환경 구성: 646. HOSTS 파일 변경 시 Edge 브라우저에 반영하는 방법
13088정성태6/27/202218118개발 환경 구성: 645. "Developer Command Prompt for VS 2022" 명령행 환경의 폰트를 바꾸는 방법
13087정성태6/23/202220552스크립트: 41. 파이썬 - FastAPI / uvicorn 호스팅 환경에서 asyncio 사용하는 방법 [1]
13086정성태6/22/202221127.NET Framework: 2026. C# 11 - 문자열 보간 개선 2가지파일 다운로드1
13085정성태6/22/202219945.NET Framework: 2025. C# 11 - 원시 문자열 리터럴(raw string literals)파일 다운로드1
13084정성태6/21/202220314개발 환경 구성: 644. Windows - 파이썬 2.7을 msi 설치 없이 구성하는 방법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