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MySQL - Authentication method 'caching_sha2_password' not supported by any of the available plugins.

이상하군요, MySQL 컨테이너를,

docker - MySQL 컨테이너 실행
; https://www.sysnet.pe.kr/2/0/12177

다시 latest로 실행시켰더니 그 이후부터 기존 응용 프로그램에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 [닷넷의 경우]

MySQL: MySql.Data.MySqlClient.MySqlException (0x80004005): Authentication method 'caching_sha2_password' not supported by any of the available plugins. 
    at MySql.Data.MySqlClient.Authentication.AuthenticationPluginManager.GetPlugin(String method) 
    at MySql.Data.MySqlClient.Authentication.MySqlAuthenticationPlugin.GetPlugin(String method, NativeDriver driver, Byte[] authData) 
    at MySql.Data.MySqlClient.NativeDriver.Authenticate(String authMethod, Boolean reset) 
    at MySql.Data.MySqlClient.NativeDriver.Open() 
    at MySql.Data.MySqlClient.Driver.Open() 
    at MySql.Data.MySqlClient.Driver.Create(MySqlConnectionStringBuilder settings) 
    at MySql.Data.MySqlClient.MySqlPool.CreateNewPooledConnection() 
    at MySql.Data.MySqlClient.MySqlPool.GetPooledConnection() 
    at MySql.Data.MySqlClient.MySqlPool.TryToGetDriver() 
    at MySql.Data.MySqlClient.MySqlPool.GetConnection() 
    at MySql.Data.MySqlClient.MySqlConnection.Open() 
    at WebSiteTest.postgreSQLTest.MySqlTest()
    at WebSiteTest.postgreSQLTest.Page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파이썬의 경우]
OperationalError at /testapp/mysqlclient_test
(2059, "Authentication plugin 'caching_sha2_password' cannot be loaded: /usr/lib/x86_64-linux-gnu/mariadb18/plugin/caching_sha2_password.so: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Request Method: GET
Request URL:    http://127.0.0.1/testapp/mysqlclient_test
Django Version: 1.11.29
Exception Type: OperationalError
Exception Value:    
(2059, "Authentication plugin 'caching_sha2_password' cannot be loaded: /usr/lib/x86_64-linux-gnu/mariadb18/plugin/caching_sha2_password.so: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Exception Location: /usr/local/lib/python2.7/site-packages/MySQLdb/connections.py in __init__, line 179

검색해 보니 다음의 글이 나오는군요,

Authentication method 'caching_sha2_password' not supported by any of the available plugins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50088142/authentication-method-caching-sha2-password-not-supported-by-any-of-the-availa

대처 방법은 2가지입니다. MySQL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측의 응용 프로그램이 .NET Framework 4.5.2 이상의 플랫폼으로 빌드가 된다면 NuGet으로부터 새롭게 MySQL 패키지를 업데이트하면 됩니다.

반면 그 미만의 경우라면 MySQL 서버에서 인증 방식을 Legacy 모드로 바꿔야 합니다. 아래의 공식 문서를 보면,

6.4.1.2 Caching SHA-2 Pluggable Authentication
; https://dev.mysql.com/doc/refman/8.0/en/caching-sha2-pluggable-authentication.html

기존의 방식은 "mysql_native_password"라고 하는군요. 바꿀 수 있는 방법은 위의 문서에서 여러 가지로 소개하고 있는데 그중에 새로운 user를 생성하는 방법으로 해결해 보겠습니다.

# /usr/bin/mysql -u root -p

mysql> create user 'nativeuser' identified with mysql_native_password by 'test_password';

// 만약 "ERROR 1410 (42000): You are not allowed to create a user with GRANT" 오류가 발생한다면, 생성한 사용자의 id와 grant 대상이 되는 id가 일치하는지 확인합니다.

// 계정 삭제: drop user nativeuser

물론 저렇게 바꿔주면 기존의 연결 문자열에 "User Id" 값도 변경해야 합니다.

<add key="MySqlConnection" 
        value="Data Source=192.168.100.50;Database=testdb;User Id=nativeuser;Password=test_password" />

그런데, 이렇게만 설정하고 테스트를 하면 권한 오류가 발생할 것입니다.

Authentication to host '192.168.0.8' for user 'nativeuser' using method 'mysql_native_password' failed with message: Access denied for user 'nativeuser'@'%' to database 'testdb'

적절한 권한도 줘야 합니다. ^^

mysql> grant all privileges on testdb.* to 'nativeuser';
Query OK, 0 rows affected (0.01 sec)




참고로, MySQL 측의 서버 옵션에 기본 인증 방식을 제공하는 것도 있습니다. docker container의 경우라면 해당 파일의 위치는 /etc/mysql/my.cnf에 있을 것이고,

#apt update
#apt install vim

# cat /etc/mysql/my.cnf
...[생략]...

[mysqld]
pid-file        = /var/run/mysqld/mysqld.pid
socket          = /var/run/mysqld/mysqld.sock
datadir         = /var/lib/mysql
secure-file-priv= NULL

# Custom config should go here
!includedir /etc/mysql/conf.d/

위의 mysqld 섹션에 다음의 값을 설정하면 될 듯한데요,

default_authentication_plugin=mysql_native_password

실제로 해보면, 오류는 여전히 발생했습니다. 딱히 해보진 않았지만, 아마도 기존 사용자들은 "caching_sha2_password"가 기본 인증으로 설정되었을 때 생성되었을 것이므로 그것의 영향을 받아 이미 인증 모드 설정이 caching_sha2_password로 되어 있기 때문일 것 같습니다. 구체적인 것은 테스트해야 알 수 있겠지만... 오늘은 일단 이 정도 선에서 마무리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30/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936정성태1/22/202215327.NET Framework: 113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멀티미디어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보여주는 예제(metadata.c)파일 다운로드1
12935정성태1/22/202215987.NET Framework: 1137. ffmpeg의 파일 해시 예제(ffhash.c)를 C#으로 포팅파일 다운로드1
12934정성태1/22/202215429오류 유형: 788. Warning C6262 Function uses '65564' bytes of stack: exceeds /analyze:stacksize '16384'. Consider moving some data to heap. [2]
12933정성태1/21/202215902.NET Framework: 1136.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MP2 오디오 파일 디코딩 예제(decode_audio.c)파일 다운로드1
12932정성태1/20/202217012.NET Framework: 1135. C# - ffmpeg(FFmpeg.AutoGen)로 하드웨어 가속기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hw_decode.c) [2]파일 다운로드1
12931정성태1/20/202213539개발 환경 구성: 632. ASP.NET Core 프로젝트를 AKS/k8s에 올리는 과정
12930정성태1/19/202214770개발 환경 구성: 631. AKS/k8s의 Volume에 파일 복사하는 방법
12929정성태1/19/202214718개발 환경 구성: 630. AKS/k8s의 Pod에 Volume 연결하는 방법
12928정성태1/18/202214553개발 환경 구성: 629. AKS/Kubernetes에서 호스팅 중인 pod에 shell(/bin/bash)로 진입하는 방법
12927정성태1/18/202215080개발 환경 구성: 628. AKS 환경에 응용 프로그램 배포 방법
12926정성태1/17/202214999오류 유형: 787. AKS - pod 배포 시 ErrImagePull/ImagePullBackOff 오류
12925정성태1/17/202215643개발 환경 구성: 627. AKS의 준비 단계 - ACR(Azure Container Registry)에 docker 이미지 배포
12924정성태1/15/202217148.NET Framework: 1134.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2]파일 다운로드1
12923정성태1/15/202215928개발 환경 구성: 626. ffmpeg.exe를 사용해 비디오 파일을 MPEG1 포맷으로 변경하는 방법
12922정성태1/14/202214734개발 환경 구성: 625. AKS - Azure Kubernetes Service 생성 및 SLO/SLA 변경 방법
12921정성태1/14/202212504개발 환경 구성: 624. Docker Desktop에서 별도 서버에 설치한 docker registry에 이미지 올리는 방법
12920정성태1/14/202213821오류 유형: 786. Camtasia - An error occurred with the camera: Failed to Add Video Sampler.
12919정성태1/13/202213353Windows: 199. Host Network Service (HNS)에 의해서 점유되는 포트
12918정성태1/13/202213812Linux: 47. WSL - shell script에서 설정한 환경 변수가 스크립트 실행 후 반영되지 않는 문제
12917정성태1/12/202213016오류 유형: 785. C# - The type or namespace name '...' could not be found (are you missing a using directive or an assembly reference?)
12916정성태1/12/202212283오류 유형: 784. TFS - One or more source control bindings for this solution are not valid and are listed below.
12915정성태1/11/202212882오류 유형: 783. Visual Studio - We didn't find any interpreters
12914정성태1/11/202216091VS.NET IDE: 172. 비주얼 스튜디오 2022의 파이선 개발 환경 지원
12913정성태1/11/202216496.NET Framework: 1133. C# - byte * (바이트 포인터)를 FileStream으로 쓰는 방법 [1]
12912정성태1/11/202216497개발 환경 구성: 623. ffmpeg.exe를 사용해 비디오 파일의 이미지를 PGM(Portable Gray Map) 파일 포맷으로 출력하는 방법 [1]
12911정성태1/11/202212974VS.NET IDE: 171. 비주얼 스튜디오 - 더 이상 만들 수 없는 "ASP.NET Core 3.1 Web Application (.NET Framework)" 프로젝트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