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580. msbuild의 Exec Task에 robocopy를 사용하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536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0개 있습니다.)
VS.NET IDE: 60. Output 경로에 매크로 상수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688

개발 환경 구성: 91.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플랫폼(x86/x64)별 빌드
; https://www.sysnet.pe.kr/2/0/963

개발 환경 구성: 93.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다중 어셈블리 출력 빌드
; https://www.sysnet.pe.kr/2/0/965

개발 환경 구성: 102. MSBuild - DefineConstants에 다중 전처리 값 설정
; https://www.sysnet.pe.kr/2/0/988

개발 환경 구성: 115. MSBuild - x86/x64, .NET 2/4, debug/release 빌드에 대한 배치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017

개발 환경 구성: 372. MSBuild - 빌드 전/후, 배포 전/후 실행하고 싶은 Task 정의
; https://www.sysnet.pe.kr/2/0/11507

개발 환경 구성: 452. msbuild - csproj에 환경 변수 조건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1985

개발 환경 구성: 580. msbuild의 Exec Task에 robocopy를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716

개발 환경 구성: 693. msbuild - .NET Core/5+ 프로젝트에서 resgen을 이용한 리소스 파일 생성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81

닷넷: 2235. MSBuild - AccelerateBuildsInVisualStudio 옵션
; https://www.sysnet.pe.kr/2/0/13593




msbuild의 Exec Task에 robocopy를 사용하는 방법

robocopy를 msbuild의 Exec Task에 추가해 볼까요? ^^

실습을 위해 .NET Core(또는 5+) 프로젝트를 만들고 csproj 파일에서 다음과 같이 빌드 후에 실행할 수 있는 Task를 하나 정의합니다.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OutputType>Exe</OutputType>
        <TargetFramework>net5.0</TargetFramework>
    </PropertyGroup>

    <Target Name="MyAfterBuild"  AfterTargets="CoreBuild">
        <Message Importance="high" Text="AfterBuild: $(ProjectDir)$(OutDir)" />
    </Target>

</Project>

실제로 정의한 Task가 실행되는지 저렇게 Message 작업으로 "Importance" 값을 "High"로 두고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내부 작업에서 사용하는 Property/Item 이름을 함께 확인해 주면 디버깅에 도움이 됩니다. 위와 같이 설정하고, 빌드를 해보면 다음과 같은 출력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Rebuild started...
Restored C:\temp\ConsoleApp1\ConsoleApp1\ConsoleApp1.csproj (in 2 ms).
1>------ Rebuild All started: Project: ConsoleApp1, Configuration: Debug Any CPU ------
1>You are using a preview version of .NET. See: https://aka.ms/dotnet-core-preview
1>ConsoleApp1 -> C:\temp\ConsoleApp1\ConsoleApp1\bin\Debug\ConsoleApp1.dll
1>AfterBuild: C:\temp\ConsoleApp1\ConsoleApp1\bin\Debug\
========== Rebuild All: 1 succeeded, 0 failed, 0 skipped ==========

자, 그럼 빌드 결과물을 별도의 디렉터리로 robocopy를 이용해 복사해 볼까요? ^^

<Target Name="MyAfterBuild"  AfterTargets="CoreBuild">
    <Message Importance="high" Text="AfterBuild: $(ProjectDir)$(OutDir)" />
    <Exec Command="robocopy $(ProjectDir)$(OutDir) c:\temp *.* /S" />
</Target>

빌드하면, c:\temp 디렉터리에 정상적으로 복사가 되었지만 빌드 실패를 알리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Error MSB3073 The command "robocopy c:\temp\ConsoleApp1\ConsoleApp1\bin\Debug\ c:\temp *.* /S" exited with code 1.

왜냐하면, 이전에도 설명한 것처럼 robocopy는 복사가 되었을 때 exit code가 0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Build Events에 robocopy 작업이 있는 경우 "VCEnd exited with code 3" 오류 발생
; https://www.sysnet.pe.kr/2/0/1813

즉, 우리가 실습한 경우에는 robocopy가 exit code를 1을 반환한 것입니다. 이 오류를 없애려면, 위의 글에서 했던 것처럼 강제로 "exit 0" 처리를 해줘야 합니다.




Exec Task에서 이런 처리를 할 수 있는 방법으로 2가지 정도가 있습니다.

msbuild fails with successful robocopy exit code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39795328/msbuild-fails-with-successful-robocopy-exit-code

우선 한 줄로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 선호될 테지만,

<Exec Command="(robocopy $(ProjectDir)$(OutDir) c:\temp /MIR)  ^&amp; IF %ERRORLEVEL% LEQ 1 exit 0" />

그래도 Error task 사용법도 익힐 겸 다음의 코드도 살펴볼까요?

<Exec ContinueOnError="true" Command="robocopy $(ProjectDir)$(OutDir) c:\temp /MIR">
    <Output TaskParameter="ExitCode" PropertyName="CopyErrorCode"/>
</Exec>
<Error Condition="$(CopyErrorCode) &gt; 8" Text="Robocopy failed"/>

그런데 위와 같은 상태로 빌드하면 다음과 같은 경고 메시지가 빌드에 남습니다.

1>C:\temp\ConsoleApp1\ConsoleApp1\ConsoleApp1.csproj(12,9): warning MSB3073: The command "robocopy C:\temp\ConsoleApp1\ConsoleApp1\bin\Debug\ c:\temp /MIR" exited with code 1.
1>C:\temp\ConsoleApp1\ConsoleApp1\ConsoleApp1.csproj(12,9): warning MSB4181: The "Exec" task returned false but did not log an error.
1>Done building project "ConsoleApp1.csproj".

왠지 기분 나쁩니다. ^^; 따라서 어차피 에러 상황은 Error Task에서 판정해 주기 때문에 저 오류 메시지가 발생하지 않도록 IgnoreExitCode 설정도 함께 추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Exec ContinueOnError="true" IgnoreExitCode="true" Command="robocopy $(ProjectDir)$(OutDir) c:\temp /MIR">
    <Output TaskParameter="ExitCode" PropertyName="CopyErrorCode"/>
</Exec>
<Error Condition="$(CopyErrorCode) &gt; 8" Text="Robocopy failed"/>




어떤 경우에는 robocopy를 사용 시 다음과 같은 식으로 오류가 발생합니다.

Rebuild started...
1>------ Rebuild All started: Project: ConsoleApp1, Configuration: Debug Any CPU ------
Restored C:\my work\ConsoleApp1\ConsoleApp1.csproj (in 2 ms).
1>You are using a preview version of .NET. See: https://aka.ms/dotnet-core-preview
1>ConsoleApp1 -> C:\my work\ConsoleApp1\bin\Debug\net5.0\ConsoleApp1.dll
1>AfterBuild: C:\my work\ConsoleApp1\bin\Debug\net5.0\
1>
1>-------------------------------------------------------------------------------
1>   ROBOCOPY     ::     Robust File Copy for Windows
1>-------------------------------------------------------------------------------
1>
1>  Started : 17 7월 2021 오전 11:44:53
1>   Source - C:\my\
1>     Dest - C:\my work\ConsoleApp1\work\ConsoleApp1\bin\Debug\net5.0\
1>
1>    Files :
1>  Options : /DCOPY:DA /COPY:DAT /R:1000000 /W:30
1>
1>------------------------------------------------------------------------------
1>
1>EXEC : warning : Invalid Parameter #3 : "c:\temp"
1>
1>       Simple Usage :: ROBOCOPY source destination /MIR
1>
1>             source :: Source Directory (drive:\path or \\server\share\path).
1>        destination :: Destination Dir  (drive:\path or \\server\share\path).
1>               /MIR :: Mirror a complete directory tree.
1>
1>    For more usage information run ROBOCOPY /?
1>
1>
1>****  /MIR can DELETE files as well as copy them !
1>C:\my work\ConsoleApp1\ConsoleApp1.csproj(15,9): error : Robocopy failed
1>Done building project "ConsoleApp1.csproj" -- FAILED.
========== Rebuild All: 0 succeeded, 1 failed, 0 skipped ==========

robocopy가 해석한 Source와 Dest 경로가 좀 이상한데요, 왜냐하면, "robocopy $(ProjectDir)$(OutDir) c:\temp /MIR"에서 "$(ProjectDir)"에 공백이 있기 때문입니다. (위의 경우는 프로젝트 디렉터리가 "c:\my work"에 위치합니다.)

이런 경우는, 디렉터리를 큰따옴표로 감싸야 하는데, msbuild에는 escape를 16진수로 쓰는 방법이 있습니다. 따라서 큰따옴표(")에 대한 16진수 ascii 코드인 %22를 사용해 다음과 같이 경로를 감쌀 수 있습니다.

<Exec ContinueOnError="true" IgnoreExitCode="true" Command="robocopy %22$(ProjectDir)$(OutDir)%22 c:\temp /MIR">
    <Output TaskParameter="ExitCode" PropertyName="CopyErrorCode"/>
</Exec>

그런데, 이렇게 하면 이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1>------ Rebuild All started: Project: ConsoleApp1, Configuration: Debug Any CPU ------
Restored C:\my work\ConsoleApp1\ConsoleApp1.csproj (in 2 ms).
1>You are using a preview version of .NET. See: https://aka.ms/dotnet-core-preview
1>ConsoleApp1 -> C:\my work\ConsoleApp1\bin\Debug\net5.0\ConsoleApp1.dll
1>AfterBuild: C:\my work\ConsoleApp1\bin\Debug\net5.0\
1>
1>-------------------------------------------------------------------------------
1>   ROBOCOPY     ::     Robust File Copy for Windows
1>-------------------------------------------------------------------------------
1>
1>  Started : 17 7월 2021 오후 12:32:51
1>   Source : C:\my work\ConsoleApp1\bin\Debug\net5.0" c:\temp \MIR\
1>     Dest -
1>
1>    Files : *.*
1>
1>  Options : *.* /DCOPY:DA /COPY:DAT /R:1000000 /W:30
1>
1>------------------------------------------------------------------------------
1>
1>EXEC : warning : No Destination Directory Specified.
1>
1>       Simple Usage :: ROBOCOPY source destination /MIR
1>
1>             source :: Source Directory (drive:\path or \\server\share\path).
1>        destination :: Destination Dir  (drive:\path or \\server\share\path).
1>               /MIR :: Mirror a complete directory tree.
1>
1>    For more usage information run ROBOCOPY /?
1>
1>
1>****  /MIR can DELETE files as well as copy them !
1>C:\my work\ConsoleApp1\ConsoleApp1.csproj(15,9): error : Robocopy failed
1>Done building project "ConsoleApp1.csproj" -- FAILED.

여전히 robocopy는 Source와 Dest 디렉터리에 대한 잘못된 해석을 하고 있습니다. Source와 Dest에 지정한 실제 경로를 다시 잘 살펴보면,

Source: C:\my work\ConsoleApp1\bin\Debug\net5.0\
Destk: c:\temp

Source의 경우 끝에 역슬래시('\') 문자가 하나 더 들어 있어 그것이 큰따옴표와 이어지면서 escape 역할을 해 '\"' 문자열이 단일하게 큰따옴표(") 문자로 해석된 듯합니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역슬래시를 없애면 되는데요, 이것을 하려면 별도로 Trim 함수 등을 호출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법만 더 복잡해집니다. 대신 마지막에 '\' 문자를 두지 않으면서 경로를 변조하지 않을 수 있는 '.'을 함께 쓰는 우회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Exec ContinueOnError="true" IgnoreExitCode="true" Command="robocopy %22$(ProjectDir)$(OutDir).%22 c:\temp /MIR">
    <Output TaskParameter="ExitCode" PropertyName="CopyErrorCode"/>
</Exec>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프로젝트를 포함합니다.)




참고로, %22 표기는 &quot;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Exec ContinueOnError="true" IgnoreExitCode="true" Command="robocopy %22$(ProjectDir)$(OutDir).&quot; c:\temp /MIR">
    <Output TaskParameter="ExitCode" PropertyName="CopyErrorCode"/>
</Exec>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91정성태11/14/200518814VC++: 12. VS.NET 2005 VC++ Debug: Expression: ( (state != ST_INVALID ) )
90정성태1/27/200519602.NET Framework: 22. Debug: The underlying connection was closed: Unable to connect to the remote server.
89정성태1/26/200524133VC++: 11. Delay Loaded DLL
87정성태1/23/200517733VS.NET IDE: 18. VS.NET 2005 Beta 1 - VC++ 프로젝트에서 Connection Point 구현시 버그
88정성태1/23/200517415    답변글 VS.NET IDE: 18.1. VS.NET 2003 : VC++ 프로젝트에서 Connection Point 추가시에도 버그
86정성태1/23/200523136.NET Framework: 21. Code Snippet - Enum과 관련된 다양한 형변환 [1]
85정성태1/23/200521294스크립트: 4. Windows 2003에서 BHO(Browser Helper Objects) 동작 안하는 현상 [1]
83정성태1/18/200526437.NET Framework: 20.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 예외가 발생한 한 예.
82정성태1/3/200519904VS.NET IDE: 17. Windows 운영 - 특정 사용자 또는 그룹에 대해서 파일 공유 접근 금지
79정성태1/20/200527834기타: 8. DELL Latitude D800 노트북 컴퓨터의 PC Beep 소음(!) 문제.
78정성태12/27/200420204VS.NET IDE: 16. MS 제품 관련 사용되는 TCP/IP 포트 열거파일 다운로드1
77정성태12/27/200420463VS.NET IDE: 15. Virtual CD-ROM Control Panel - ISO 이미지를 CD-ROM 드라이브처럼 접근하게 해주는 EXE 프로그램 [1]파일 다운로드1
76정성태12/27/200421519VS.NET IDE: 14. VPN 접속시 IP를 고정적으로 할당받는 방법 [1]
75정성태12/27/200417759VS.NET IDE: 13. VS.NET 2005 Beta 1 - Portfolio Explorer 에 등록된 Team Server 항목 삭제 방법
84정성태1/19/200518641    답변글 VS.NET IDE: 13.1. VS.NET 2005 Beta 1 : Team Server 에 등록된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삭제 방법
74정성태12/26/200419254VS.NET IDE: 12. [시나리오] VS.NET 2005 Team Foundation Server을 Virtual Server에 설치 [1]
80정성태12/31/200418545    답변글 VS.NET IDE: 12.1. Client Tier, 즉 VS.NET 2005가 설치된 컴퓨터도 ActiveDirectory에 참여를 해야 합니다.
81정성태12/31/200420454    답변글 VS.NET IDE: 12.2. Tier 컴퓨터를 모두 영문으로 재구성
109정성태3/4/200515640    답변글 VS.NET IDE: 12.3. [보완] MS 공식 아티클 - Installing the December CTP Release of Visual Studio Team System
73정성태11/14/200517469.NET Framework: 19. VS.NET 2005 Team Foundation Server 설치오류 - 26204 예외
72정성태12/26/200418938.NET Framework: 18. .NET Framework 2.0 Beta 설치 후에 Windows SharePoint Service 오류 [1]
136정성태3/31/200518803    답변글 .NET Framework: 18.1. Windows Sharepoint Services 를 설치한 이후 ASP.NET 오류 문제
71정성태12/26/200417166VS.NET IDE: 11. SQL Server 2005 Beta 2 를 네트워크 드라이브로부터 설치시 오류
70정성태12/26/200419997VS.NET IDE: 10. WSS 설치 후 localhost 접근 보안 오류
69정성태12/5/200417070VS.NET IDE: 9. 다른 컴퓨터(방화벽 설치)에 설치된 SQL Server에 통합 인증을 할 때 필요한 포트
68정성태10/31/200422033.NET Framework: 17. Win32_NTLogEvent를 c#에서 wmi 쿼리할 때..에러..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