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741. Failed to find the "go" binary in either GOROOT() or PATH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922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Failed to find the "go" binary in either GOROOT() or PATH

Go 프로젝트와 관련해서 다음과 같은 식의 각종 오류를 만난다면?

Failed to find the "go" binary in either GOROOT() or PATH(C:\Program Files\...[생략]...).Check PATH, or Install Go and reload the window. If PATH isn't what you expected, see https://github.com/golang/vscode-go/issues/971

Failed to run 'd:\go\bin\go.exe env. The config change may not be applied correctly.

Failed to run 'd:\go\bin\go.exe env' (cwd: D:\temp\mywork): Error: Command failed: d:\go\bin\go.exe env -json GOPATH GOROOT GOPROXY GOBIN GOMODCACHE
go: cannot find GOROOT directory: c:\go

c:\temp\gowork> go env
go: cannot find GOROOT directory: c:\go

Failed to run 'd:\go\bin\go.exe env' (cwd: D:\temp\mywork): Error: Command failed: d:\go\bin\go.exe env -json GOPATH GOROOT GOPROXY GOBIN GOMODCACHE
flag provided but not defined: -json
usage: env [var ...]

Env prints Go environment information.

By default env prints information as a shell script
(on Windows, a batch file).  If one or more variable
names is given as arguments,  env prints the value of
each named variable on its own line.

C:\temp> go version
go: cannot find GOROOT directory: c:\go

크게 고민하지 마시고, 새롭게 최신 버전의 go SDK를 다운로드하시면 모두 해결이 됩니다. 그리고 그냥 다음의 글에 따라 Visual Studio Code 환경으로 구성하는 것도 좋겠고.^^

윈도우 환경에서 Visual Studio Code + Go (Zip) 개발 환경
; https://www.sysnet.pe.kr/2/0/12724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21/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619정성태11/30/200826427디버깅 기술: 20. 예외 처리를 방해하는 WPF Modal 대화창파일 다운로드1
618정성태11/29/200826925.NET Framework: 113. 이벤트에 속한 이벤트 핸들러 확인파일 다운로드1
617정성태11/26/200834182.NET Framework: 112. How to Interop DISPPARAMS [2]파일 다운로드2
616정성태11/26/200826538디버깅 기술: 19. C++/CLI - F11 디버깅 시의 변수 초기화파일 다운로드1
615정성태11/9/200836023.NET Framework: 111. WPF - Window, UserControl 클래스 상속 [1]
614정성태11/9/200835953.NET Framework: 110. WPF - 전역 예외 처리 [4]파일 다운로드1
613정성태11/8/200825341.NET Framework: 109. WPF - SystemColors 색상표파일 다운로드1
612정성태11/1/200830736.NET Framework: 108. WPF + WCF 환경에서는 DataContract를 권장 [1]
611정성태10/31/200824247오류 유형: 62. WPF - Visual Studio 2008 비정상 종료
610정성태10/24/200827306Team Foundation Server: 26. TFS 2008 SP1 + SQL Server 2008 설치
609정성태10/24/200832595.NET Framework: 107. WPF - RadioButton 데이터 바인딩 해제 현상파일 다운로드2
608정성태10/23/200825665오류 유형: 61. TFS 연결 오류: TF31003, TF30331 오류
607정성태10/18/200824106Windows: 32. 자동 실행 경로에 ".." 가 포함된 경우
606정성태10/18/200826046.NET Framework: 106. WCF - 다중 서비스 호스트파일 다운로드1
605정성태10/18/200829348.NET Framework: 105. WPF - 닫기 버튼을 없애려면.
604정성태10/18/200829993오류 유형: 60. System.Management.ManagementException - Generic failure [1]
602정성태10/15/200832154오류 유형: 59. WPF - XAML 로딩 시 Visual Studio 비정상 종료 [1]
600정성태10/9/200837137디버깅 기술: 18. TFS Team Build + Source Server = 소스 코드 디버깅 [3]
603정성태10/15/200828523    답변글 디버깅 기술: 18.1. 소스 서버 구성, 그 외의 이야기
599정성태10/5/200833885디버깅 기술: 17. TFS Team Build + Symbol Server [1]
598정성태10/3/200824312VS.NET IDE: 57. VS.NET 2008 - 다중 프로젝트에서 단일 SNK를 사용하는 방법
597정성태10/2/200822843Team Foundation Server: 25. VSTS 2008의 Build Explorer
596정성태10/2/200829761오류 유형: 58. WPF : 드롭다운 유형의 ComboBox가 펼쳐지지 않는 문제
595정성태10/1/200837545디버깅 기술: 16. Watson Bucket 정보를 이용한 CLR 응용 프로그램 예외 분석 [2]
594정성태9/22/200825340.NET Framework: 104. Win32Exception 클래스 소개
591정성태7/24/200821750오류 유형: 57. VS.NET 2008 TFC - 체크인 시에 비프 음과 함께 정지되는 현상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