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085. .NET 6에 포함된 신규 BCL API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470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NET 6에 포함된 신규 BCL API

다음과 같은 좋은 소개 글이 있군요. ^^

A preview of all of the new runtime features added in .NET 6 
; https://threadreaderapp.com/thread/1422816504060416002.html

현재(2021-08-10) .NET 6 preview 6이 나온 상태이고, 위의 글에 소개된 기능들은 모두 테스트가 가능합니다. 그럼, 이참에 같이 따라 해 볼까요? ^^

우선, FileStream을 사용하지 않고 C++처럼 저수준의 Handle만으로 파일 연산을 할 수 있는 API가 추가되었습니다.

static void lowLevelFileOperation()
{
    using var handle = File.OpenHandle("ConsoleApp1.exe");
    var length = RandomAccess.GetLength(handle);
    Console.WriteLine($"FileLength: {length}");
}

그다음, "Process" 개체 생성 없이 현재 프로세스에 한해 경로와 id를 접근할 수 있는 속성이 Environment에 추가되었습니다.

static void getProcessInfoWihtoutProcessObject()
{
    var pid = Environment.ProcessId;
    var path = Environment.ProcessPath;

    Console.WriteLine($"ProcessId: {pid}");
    Console.WriteLine($"ProcessPath: {path}");
}

GC를 최소화하기 위한 눈물 겨운 노력으로 보입니다. ^^

CSPNG(Cryptographically Secure Pseudorandom Number Generator)의 사용법도 아주 단순한 유형으로 하나 제공합니다. 가령, 4바이트 무작위 정수를 반환받고 싶다면 이렇게 호출할 수 있습니다.

static void produceRandomInt4()
{
    var bytes = RandomNumberGenerator.GetBytes(4);
    Console.WriteLine($"Random Int4: {BitConverter.ToInt32(bytes)}");
}

Parallel.ForEachAsync도 추가되었습니다.

static async Task parallelDownload()
{
    var urlsToDownload = new[]
    {
        "https://www.bing.com",
        "https://www.google.com",
        "https://search.yahoo.com/"
    };

    var client = new HttpClient();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46134/how-to-remove-illegal-characters-from-path-and-filenames
    string invalidChars = new string(Path.GetInvalidFileNameChars()) + new string(Path.GetInvalidPathChars());
    var path = Path.GetDirectoryName(Environment.ProcessPath);

    await Parallel.ForEachAsync(urlsToDownload, async (url, token) =>
    {
        Regex r = new Regex(string.Format("[{0}]", Regex.Escape(invalidChars)));

        var targetPath = Path.Combine(path, r.Replace(url, "_") + ".txt");
        var response = await client.GetAsync(url);

        if (response.IsSuccessStatusCode)
        {
            using var target = File.OpenWrite(targetPath);
            await response.Content.CopyToAsync(target);

            Console.WriteLine($"{targetPath}: downloaded");
        }
    });
}

IEnumerable<T> LINQ 확장 메서드에도 역시 도우미 메서드들이 많이 추가되었다고 합니다. 아래는 컬렉션의 개수를 특정 묶음으로 나누는 Chunk 메서드이고,

static void ImprovedLinqMethods()
{
    int chunkNumber = 1;

    foreach (int[] chunk in Enumerable.Range(0, 9).Chunk(4))
    {
        Console.WriteLine($"Chunk {chunkNumber++}");

        foreach (var item in chunk)
        {
            Console.WriteLine(item);
        }
    }
}

/* 출력 결과
Chunk 1
0
1
2
3
Chunk 2
4
5
6
7
Chunk 3
8
*/

새롭게 MaxBy, MinBy가 기존의 IEnumerable.Max/Min을 보완해 추가되었습니다.

var people = new People[]
{
    new People{ Name = "tester", Age = 30 },
    new People{ Name = "admin", Age = 25 },
};

Console.WriteLine(people.Max((elem) => elem.Age)); // 출력 결과: 30
Console.WriteLine(people.Max(new AgeComparer())); // 출력 결과: People { Name = tester, Age = 30 }

Console.WriteLine(people.MaxBy((elem) => elem.Age)); // 출력 결과: People { Name = tester, Age = 30 }
Console.WriteLine(people.MinBy((elem) => elem.Age)); // 출력 결과: People { Name = tester, Age = 30 }

보는 바와 같이, 기본형이 아닌 경우 Max/Min은 해당 인스턴스를 반환받고 싶다면 IComparer를 구현한 개체를 반환해야 했지만, MaxBy/MinBy는 비교할 멤버를 지정하면서도 개체를 결과로 반환해 주고 있습니다.

BitOperations에 추가된 IsPow2, RoundUpToPowerOf2 메서드는 그냥 추가되었다는 것만 기억해도 좋을 듯싶고,

static void testBitOperation()
{
    uint bufferSize = 235;
    if (!BitOperations.IsPow2(bufferSize))
    {
        bufferSize = BitOperations.RoundUpToPowerOf2(bufferSize);
    }

    Console.WriteLine(bufferSize); // 출력 결과 256
}

비동기 메서드 호출 시, 해당 작업이 특정 시간 내에 끝나지 않으면 예외를 발생시키도록 만드는 것은 기억해 둘 만하겠습니다.

static async Task WaitOnly10Sec()
{
    var task = Task.Run(() =>
    {
        return Task.Delay(5 * 1000);
    });

    // await task; // 원래는 5초를 대기해야 하지만,

    Console.WriteLine($"[start] Task.Run: {DateTime.Now}");
    await task.WaitAsync(TimeSpan.FromSeconds(2));
    Console.WriteLine($"[end]   Task.Run: {DateTime.Now}");
}

/* 실행 결과: 2초가 지나 예외 발생
[start] Task.Run: 2021-08-08 오후 10:54:05
Unhandled exception. System.TimeoutException: The operation has timed out.
   at ConsoleApp1.Program.WaitOnly10Sec()
   at ConsoleApp1.Program.Main(String[] args)
   at ConsoleApp1.Program.
(String[] args) in ConsoleApp1.dll:token 0x600000e+0xc */




ASP.NET Core의 경우 Configuration.GetRequiredSection 메서드가 추가되어 필수 설정이 없는 경우 예외를 발생시키는 것을 지원합니다.

public IConfiguration Configuration { get; }
        
class MyOptions
{
    public string? SettingValue { get; set; }
}

public void ConfigureServices(IServiceCollection services)
{
    var options = new MyOptions();
    // 추가된 appsettings.json에 "MyOptions"가 없는 경우 예외 발생
    //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Section 'MyOptions' not found in configuration.'
    Configuration.GetRequiredSection("MyOptions").Bind(options);

    services.AddControllers();
}

따라서, 이 오류로 인해 개발자는 명시적으로 해당 속성을 appsettings.json에 추가해야 한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습니다.

{
    "Logging": {
        "LogLevel": {
            "Default": "Information",
            "Microsoft": "Warning",
            "Microsoft.Hosting.Lifetime": "Information"
        }
    },
    "AllowedHosts": "*",
    "MyOptions": {
        "SettingValue":  "test_var_1",
    }
}

이와 함께, @OpenTelemetry 지원을 위한 API를 내장하게 되었습니다. 가령 아래의 예제는 ASP.NET Core Web API 프로젝트에 추가했기 때문에 Web API의 호출 수를 제공하게 됩니다.

public void Configure(IApplicationBuilder app, IWebHostEnvironment env)
{
    if (env.IsDevelopment())
    {
        app.UseDeveloperExceptionPage();
    }

    app.UseRouting();

    app.UseAuthorization();

    var meter = new Meter("Microsoft.AspnetCore", "v1.0");
    Counter<int> counter = meter.CreateCounter<int>("Requests");

    app.Use((context, next) =>
    {
        counter.Add(1, KeyValuePair.Create<string, object?>("path", context.Request.Path.ToString()));
        return next(context);
    });

    app.UseEndpoints(endpoints =>
    {
        endpoints.MapControllers();
    });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참고로, 원 글에서는 이 외에도 Preview 7에 포함된 3가지 기능도 함께 소개하고 있습니다.

Make improvements to signal handling on .NET applications
; https://github.com/dotnet/runtime/issues/50527

Implement NativeMemory #54006
; https://github.com/dotnet/runtime/pull/54006

Add ArgumentNullException.ThrowIfNull
; https://github.com/dotnet/runtime/pull/55594

기타!

Using the new PriorityQueue from .NET 6 (Preview 2)
; https://blog.elmah.io/using-the-new-priorityqueue-from-net-6/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19/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1-08-27 01시32분
New .NET 6 APIs driven by the developer community
; https://devblogs.microsoft.com/dotnet/new-dotnet-6-apis-driven-by-the-developer-community/

해당 API들이 전부 외부 개발자 커뮤니티로부터 추가된 것이라고 합니다. ^^
정성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768정성태10/15/20245378C/C++: 179. C++ - _O_WTEXT, _O_U16TEXT, _O_U8TEXT의 Unicode stream 모드파일 다운로드2
13767정성태10/14/20244758오류 유형: 929. bpftrace 수행 시 "ERROR: Could not resolve symbol: /proc/self/exe:BEGIN_trigger"
13766정성태10/14/20244542C/C++: 178. C++ - 파일에 대한 Text 모드의 "translated" 동작파일 다운로드1
13765정성태10/12/20245254오류 유형: 928. go build 시 "package maps is not in GOROOT" 오류
13764정성태10/11/20245617Linux: 85. Ubuntu - 원하는 golang 버전 설치
13763정성태10/11/20244973Linux: 84. WSL / Ubuntu 20.04 - bpftool 설치
13762정성태10/11/20244998Linux: 83. WSL / Ubuntu 22.04 - bpftool 설치
13761정성태10/11/20244904오류 유형: 927. WSL / Ubuntu - /usr/include/linux/types.h:5:10: fatal error: 'asm/types.h' file not found
13760정성태10/11/20245438Linux: 82. Ubuntu - clang 최신(stable) 버전 설치
13759정성태10/10/20246354C/C++: 177. C++ - 자유 함수(free function) 및 주소 지정 가능한 함수(addressable function) [6]
13758정성태10/8/20245564오류 유형: 926. dotnet tools를 sudo로 실행하는 경우 command not found
13757정성태10/8/20245502닷넷: 2306. Linux - dotnet tool의 설치 디렉터리가 PATH 환경변수에 자동 등록이 되는 이유
13756정성태10/8/20245609오류 유형: 925. ssh로 docker 접근을 할 때 "... malformed HTTP status code ..." 오류 발생
13755정성태10/7/20246001닷넷: 2305. C# 13 - (9) 메서드 바인딩의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OverloadResolutionPriority 특성 도입 (Overload resolution priority)파일 다운로드1
13754정성태10/4/20245564닷넷: 2304. C# 13 - (8) 부분 메서드 정의를 속성 및 인덱서에도 확대파일 다운로드1
13753정성태10/4/20245577Linux: 81. Linux - PATH 환경변수의 적용 규칙
13752정성태10/2/20246259닷넷: 2303. C# 13 - (7) ref struct의 interface 상속 및 제네릭 제약으로 사용 가능 [6]파일 다운로드1
13751정성태10/2/20245394C/C++: 176. C/C++ - ARM64로 포팅할 때 유의할 점
13750정성태10/1/20245280C/C++: 175. C++ - WinMain/wWinMain 호출 전의 CRT 초기화 단계
13749정성태9/30/20245531닷넷: 2302. C# - ssh-keygen으로 생성한 Private Key와 Public Key 연동파일 다운로드1
13748정성태9/29/20245742닷넷: 2301. C# - BigInteger 타입이 byte 배열로 직렬화하는 방식
13747정성태9/28/20245570닷넷: 2300. C# - OpenSSH의 공개키 파일에 대한 "BEGIN OPENSSH PUBLIC KEY" / "END OPENSSH PUBLIC KEY" PEM 포맷파일 다운로드1
13746정성태9/28/20245673오류 유형: 924. Python - LocalProtocolError("Illegal header value ...")
13745정성태9/28/20245538Linux: 80. 리눅스 - 실행 중인 프로세스 내부의 환경변수 설정을 구하는 방법 (lldb)
13744정성태9/27/20245966닷넷: 2299. C# - Windows Hello 사용자 인증 다이얼로그 표시하기파일 다운로드1
13743정성태9/26/20246416닷넷: 2298. C# - Console 프로젝트에서의 await 대상으로 Main 스레드 활용하는 방법 [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