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7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2개 있습니다.)
스크립트: 21. 파이썬 - 윈도우 환경에서 개발한 Django 앱을 WSL 환경의 uwsgi를 이용해 실행
; https://www.sysnet.pe.kr/2/0/12772

스크립트: 22. 파이썬 - 윈도우 환경에서 개발한 Django 앱을 WSL 환경의 gunicorn을 이용해 실행
; https://www.sysnet.pe.kr/2/0/12775




파이썬 - 윈도우 환경에서 개발한 Django 앱을 WSL 환경의 uwsgi를 이용해 실행

사실 uwsgi를 사용한다는 것은 서비스하겠다는 것이므로 WSL 환경에서 굳이 사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따라서 그냥 할 수 있다는 정도만 알고 (게다가 요즘은 gunicorn이 유명하다고 하니 더더욱) 넘어가셔도 무방한데요, 그래도 리눅스 서버에 올리기 전 확인을 해보고 싶은 분들이라면 간단하게 WSL을 이용해 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구조의 간단한 Django app을 만들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myapp
├───bbs
│   ├───migrations
│   ├───static
│   │   └───bbs
│   ├───templates
│   │   └───bbs
├───myapp
│   └───__pycache__
├───static
│   ├───admin
└───templates
    └───registration

(wsgi 파일은 ./myapp/myapp/wsgi.py에 있습니다.)

자, 그럼 우선 wsl 환경에 python을 위한 모듈을 먼저 설치하고,

$ sudo apt install python3

// ubuntu 20.04 + python 3.11
// https://ubuntuhandbook.org/index.php/2022/10/python-3-11-released-how-install-ubuntu/
$ sudo add-apt-repository ppa:deadsnakes/ppa
$ sudo apt update

$ sudo apt install python3.11
// 또는,
$ sudo apt install python3.11-full

$ python3.11 --version

이후의 다양한 환경 설정을 분리하기 위해 virtualenv도 설치 후,

$ sudo pip3 install virtualenv

가상 환경을 적당한 디렉터리(pyenv 하위의 myapp)에 활성화합니다.

$ cd ~
~$ mkdir pyenv
~$ cd pyenv
~/pyenv$ virtualenv myapp

~/pyenv$ source myapp/bin/activate
(myapp) testusr@TESTPC:~/pyenv$

마지막으로 (우여곡절 끝에 - 문제 1, 문제 2) Django와 uwsgi를 설치합니다.

(myapp) testusr@TESTPC:~/pyenv$ python3 -m pip install --upgrade pip

(myapp) testusr@TESTPC:~/pyenv$ pip3 install Django 
(myapp) testusr@TESTPC:~/pyenv$ pip3 install uwsgi




이제 uwsgi에서 호스팅하기 위한 Django App의 사전 준비를 합니다. 이 작업은 윈도우 개발 환경에서 해주시면 됩니다.

우선 settings.py에 정적 리소스를 위한 루트 디렉터리를 지정하고,

# settings.py

STATIC_ROOT = os.path.join(BASE_DIR, 'static/')

마이그레이션 후,

// 예를 들어 D:\pycharm\work\myapp에 Django 앱이 위치한 경우
c:\temp> cd D:\pycharm\work\myapp

// 개발하는 동안 수행한 적이 있으면 무시

d:\pycharm\work\myapp> python manage.py makemigrations
d:\pycharm\work\myapp> python manage.py migrate
d:\pycharm\work\myapp> python manage.py createsuperuser

정적 콘텐츠들을 모아줍니다.

D:\pycharm\work\myapp> python ./manage.py collectstatic

You have requested to collect static files at the destination
location as specified in your settings:

    D:\pycharm\work\myapp\static

This will overwrite existing files!
Are you sure you want to do this?

Type 'yes' to continue, or 'no' to cancel: yes

128 static files copied to 'D:\pycharm\work\myapp\static', 1 unmodified.




끝입니다. 이제 WSL에서 다음과 같은 옵션을 이용해,

-H|--home                               set PYTHONHOME/virtualenv
-H|--pyhome                             set PYTHONHOME/virtualenv

--http                                  add an http router/server on the specified address

--chdir                                 chdir to specified directory before apps loading
--chdir2                                chdir to specified directory after apps loading

--wsgi-file                             load .wsgi file
--file                                  load .wsgi file
-w|--module                             load a WSGI module
-w|--wsgi                               load a WSGI module

호스팅을 시작합니다.

uwsgi --http :[포트]
      --home [virtualenv_path]
      --chdir [webapp_path]
      --wsgi-file [chdir 기준 wsgi.py 경로]

예1) 18080 포트로, 윈도우의 d:\pycharm\work\myapp에 Django 앱을 개발한 경우
uwsgi --http :18080 
      --home $HOME/pyenv/myapp 
      --chdir /mnt/d/pycharm/work/myapp 
      --wsgi-file ./myapp/wsgi.py

예2) virtualenv를 사용하지 않겠다면,
uwsgi --http :18080 
      --chdir /mnt/d/pycharm/work/myapp 
      --wsgi-file ./myapp/wsgi.py

예3) 이미 current directory가 Django App의 경로라면,
/mnt/d/pycharm/work/myapp$ uwsgi --http :18080 --wsgi-file ./myapp/wsgi.py

그래서 이렇게 실행하고,

$ uwsgi --http :18080 --home $HOME/pyenv/myapp --chdir /mnt/d/pycharm/work/myapp --wsgi-file ./myapp/wsgi.py
*** Starting uWSGI 2.0.19.1 (64bit) on [Wed Aug 11 17:40:05 2021] ***
compiled with version: 9.3.0 on 10 August 2021 10:28:41
os: Linux-5.10.16.3-microsoft-standard-WSL2 #1 SMP Fri Apr 2 22:23:49 UTC 2021
nodename: TESTPC
machine: x86_64
clock source: unix
detected number of CPU cores: 4
current working directory: /mnt/d/pycharm/work/myapp
detected binary path: /home/testusr/pyenv/myapp/bin/uwsgi
!!! no internal routing support, rebuild with pcre support !!!
chdir() to /mnt/d/pycharm/work/myapp
*** WARNING: you are running uWSGI without its master process manager ***
your processes number limit is 102268
your memory page size is 4096 bytes
detected max file descriptor number: 1024
lock engine: pthread robust mutexes
thunder lock: disabled (you can enable it with --thunder-lock)
uWSGI http bound on :18080 fd 4
spawned uWSGI http 1 (pid: 20543)
uwsgi socket 0 bound to TCP address 127.0.0.1:40761 (port auto-assigned) fd 3
Python version: 3.8.10 (default, Jun  2 2021, 10:49:15)  [GCC 9.4.0]
PEP 405 virtualenv detected: /home/testusr/pyenv/myapp
Set PythonHome to /home/testusr/pyenv/myapp
*** Python threads support is disabled. You can enable it with --enable-threads ***
Python main interpreter initialized at 0x563d77ee7080
your server socket listen backlog is limited to 100 connections
your mercy for graceful operations on workers is 60 seconds
mapped 72904 bytes (71 KB) for 1 cores
*** Operational MODE: single process ***
WSGI app 0 (mountpoint='') ready in 0 seconds on interpreter 0x563d77ee7080 pid: 20542 (default app)
*** uWSGI is running in multiple interpreter mode ***
spawned uWSGI worker 1 (and the only) (pid: 20542, cores: 1)
/mnt/d/pycharm/work/myapp

/* uwsgi 이름을 가진 모든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싶다면?
sudo pkill -f uwsgi -9
*/

"http://localhost:18080/bbs"로 요청을 보내면 정상적으로 ./bbs/views.py가 요청을 처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wsgi.py의 의미는 다음의 문서를 읽어보시면 이해가 되실 것입니다.

Quickstart for Python/WSGI applications
; https://uwsgi-docs.readthedocs.io/en/latest/WSGIquickstart.html




만약 uwsgi로 실행했는데 페이지 요청 시 "Internal Server Error"가 발생한다면? 아마 거의 대부분 uwsgi 출력 화면에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있을 것입니다.

...[생략]...
failed to open python file wsgi.py
unable to load app 0 (mountpoint='') (callable not found or import error)
*** no app loaded. going in full dynamic mode ***
*** uWSGI is running in multiple interpreter mode ***
spawned uWSGI worker 1 (and the only) (pid: 20588, cores: 1)
--- no python application found, check your startup logs for errors ---
[pid: 20588|app: -1|req: -1/1] 127.0.0.1 () {52 vars in 1114 bytes} [Wed Aug 11 15:09:37 2021] GET /bbs/ => generated 21 bytes in 0 msecs (HTTP/1.1 500) 2 headers in 83 bytes (0 switches on core 0)

이런 경우 uwsgi 실행 시 넘겨 준 "--wsgi-file" 옵션의 경로가 올바른지 확인해 보세요. 또는, "-w" 옵션으로 모듈 경로를 넘겨주는 것도 볼 수 있는데요,

$ uwsgi --http :18080 --home $HOME/pyenv/myapp --chdir /mnt/d/pycharm/work/myapp -w test.wsgi

이럴 때는 로그에 ModuleNotFoundError 메시지가 남습니다.

...[생략]...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test.wsgi'
unable to load app 0 (mountpoint='') (callable not found or import error)
*** no app loaded. going in full dynamic mode ***
...[생략]...

이번 예제와 같은 경우에는 (wsgi.py가 current directory 기준으로 myapp 디렉터리 하위에 있으므로) "-w myapp.wsgi"라고 설정해야 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15/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1-12-13 02시17분
정성태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999정성태2/28/201146580개발 환경 구성: 108. RemoteFX - Windows 7 가상 머신에서 DirectX 9c 환경을 제공 [5]
998정성태2/27/201120278Team Foundation Server: 42. TFS Application-Tier만 재설치
996정성태2/12/201137727디버깅 기술: 35. windbg - 분석 예: 시작하자마자 비정상 종료하는 프로세스 - NullReferenceException
995정성태2/11/201156257.NET Framework: 205. 코드(C#)를 통한 풀 덤프 만드는 방법 [4]
994정성태2/10/201136201디버깅 기술: 34. Windbg - ERROR: Unable to load DLL mscordacwks_x86_x86_2.0.50727.4200.dll, Win32 error 0n2 [1]
993정성태2/10/201128519개발 환경 구성: 107. 하나의 WPF 프로젝트를 WinExe / Library로 빌드하는 방법
992정성태10/15/201129373개발 환경 구성: 106. VSS(Volume Shadow Service)를 이용한 Hyper-V VM 백업/복원 [2]
991정성태2/6/201148844개발 환경 구성: 105. 풀 덤프 파일을 남기는 방법 [4]
990정성태2/2/201134002개발 환경 구성: 104. Visual C++ Custom Build Tool 사용예 [1]파일 다운로드1
989정성태2/1/201130514개발 환경 구성: 103. DOS batch - 동기 방식으로 원격 서비스 제어
988정성태1/30/201126693개발 환경 구성: 102. MSBuild - DefineConstants에 다중 전처리 값 설정
987정성태1/29/201139859디버깅 기술: 33. PDB Symbol 로드 오류 - Cannot find or open the PDB file. [2]
986정성태1/26/201131293.NET Framework: 204. 분리된 ThreadPool 사용 - Smart Thread Pool
985정성태1/25/201127944디버깅 기술: 32. 인증서로 서명된 닷넷 어셈블리의 실행 지연 현상
984정성태1/25/201122651개발 환경 구성: 101. SharePoint 2010 - Form Design
983정성태1/23/201127701제니퍼 .NET: 15. 눈으로 확인하는 maxWorkerThreads, minFreeThreads 설정값 [1]
982정성태1/22/201125003개발 환경 구성: 100. SharePoint 2010 - iPad 친화적인 게시판 만들기 (사용자 지정 목록) [1]
981정성태1/19/201120884개발 환경 구성: 99. SharePoint 2010 - 웹 애플리케이션 생성 시 고려해야 할 점. [1]
980정성태1/19/201132338개발 환경 구성: 98. SharePoint 2010 - Office Web Apps 설치
979정성태1/18/201125004개발 환경 구성: 97. SharePoint 2010 팀 사이트 구성
978정성태1/16/201131966.NET Framework: 203. VPN 자동 연결 및 Router 설정 추가
977정성태1/12/201131305개발 환경 구성: 96. SharePoint 2010 설치 [5]
976정성태1/11/201153942오류 유형: 111. IIS - 500.19 오류 (0x8007000d)
975정성태1/10/201128182.NET Framework: 202. CLR JIT 컴파일러가 생성한 기계어 코드 확인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974정성태1/8/201126974.NET Framework: 201. 윈폼 TreeView - Bold 폰트 설정 후 텍스트가 잘리는 문제 [1]파일 다운로드1
973정성태1/7/201126314.NET Framework: 200. IIS Metabase와 ServerManager 개체 활용파일 다운로드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