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1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592. JetBrains의 IDE(예를 들어, PyCharm)에서 Visual Studio 키보드 매핑 적용
; https://www.sysnet.pe.kr/2/0/12752

개발 환경 구성: 595. PyCharm - WSL과 연동해 Django App을 윈도우에서 리눅스 대상으로 개발
; https://www.sysnet.pe.kr/2/0/12773

개발 환경 구성: 597. PyCharm - 윈도우 환경에서 WSL을 이용해 파이썬 앱 개발/디버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789

개발 환경 구성: 598. PyCharm - 원격 프로세스를 디버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798

개발 환경 구성: 599. PyCharm - (반대로) 원격 프로세스가 PyCharm에 디버그 연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00

개발 환경 구성: 601. PyCharm - 다중 프로세스 디버깅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06

스크립트: 26. 파이썬 - PyCharm을 이용한 fork 디버그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23

개발 환경 구성: 603. GoLand - WSL 환경과 연동
; https://www.sysnet.pe.kr/2/0/12825

개발 환경 구성: 673. JetBrains IDE에서 "Squash Commits..." 메뉴가 비활성화된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3318

개발 환경 구성: 679. PyCharm(을 비롯해 JetBrains에 속한 여타) IDE에서 내부 Window들의 탭이 없어진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3369

개발 환경 구성: 697. GoLand에서 ldflags 지정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89




PyCharm - WSL과 연동해 Django App을 윈도우에서 리눅스 대상으로 개발

PyCharm을 WSL과 연동하는 방법은 공식 문서에 잘 나와 있습니다.

Configure an interpreter using WSL
; https://www.jetbrains.com/help/pycharm/using-wsl-as-a-remote-interpreter.html

간략하게 정리해 보면, WSL 측에 rsync를 설치하고,

$ sudo apt install rsync

// Django App이라면 WSL 측에도 설치
$ pip3 install Django

WSL의 python 경로를 확인한 후,

$ which python3
/usr/bin/python3

윈도우의 PyCharm 실행 화면의 "Settings"에서 다음과 같이 WSL/python 환경을 추가합니다.

pycharm_wsl_1.png

그럼, "Python Interpreter"에 새롭게 (위의 경우 Ubuntu20.04) 항목이 추가되고, 현재 선택된 "Django Server" 유형으로 생성한 "Run/Debug Configuration"에도 새로운 Interpreter 항목이 선택됩니다.

이제 디버깅을 시작하면, 윈도우의 파이썬 작업 디렉터리를 /mnt/로 매핑시켜 wsl 인스턴스에서 python 프로세스를 구동하는 식으로 동작합니다.

// Django App이 d:\pycharm\work\myapp 디렉터리에 개발이 된 경우로 가정

C:\WINDOWS\system32\wsl.exe --distribution Ubuntu20.04 --exec /bin/sh 
-c "
        export PYCHARM_DISPLAY_PORT=63342 && 
        export PYDEVD_LOAD_VALUES_ASYNC=True && 
        export PYTHONPATH='/mnt/...[생략]...:/mnt/d/pycharm/work/myapp' && 
        export DJANGO_SETTINGS_MODULE=myapp.settings && 
        export PYTHONUNBUFFERED=1 && 
        export PYTHONIOENCODING=UTF-8 && 
        export LIBRARY_ROOTS='/...[생략]...typeshed/stubs/python-dateutil' && 
        export IDE_PROJECT_ROOTS=/mnt/d/pycharm/work/myapp && 
        export PYCHARM_HOSTED=1 && 
        export IPYTHONENABLE=True && 
        export PYTHONDONTWRITEBYTECODE=1 && 
        cd /mnt/d/pycharm/work/myapp && 
        /usr/bin/python3 '/mnt/c/Program Files/JetBrains/PyCharm 2021.2/plugins/python/helpers/pydev/pydevd.py' --multiproc --qt-support=auto --client 172.22.144.1 --port 20866 --file /mnt/d/pycharm/work/myapp/manage.py runserver 8000
    "

즉, 윈도우 환경이면서 리눅스에서 개발하는 것처럼 환경 구성이 된 것입니다. 실제로 코드에 다음과 같은 식으로 실행해 보면 실행 환경이 리눅스임을 알 수 있습니다.

print(os.getcwd())

/* 출력 결과
/mnt/d/pycharm/work/myapp
*/

참고로, WSL이 아니더라도 원격 접속이 가능한 리눅스만 있다면 마찬가지로 PyCharm에서 SSH 설정을 이용해 원격 개발이 가능하므로,

PyCharm 에서 원격 인터프리터 사용하기
; https://dandyrilla.github.io/2018-11-26/pycharm-remote/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Python 개발을 하는 것이 크게 난관이 있지는 않습니다.




Django App의 디버깅을 시작했는데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면?

C:\WINDOWS\system32\wsl.exe --distribution Ubuntu20.04 --exec /bin/sh -c "...[생략]... /manage.py runserver 8000"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mnt/d/pycharm/work/myapp/manage.py", line 11, in main
    from django.core.management import execute_from_command_line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django'

지난번에 설명한 글에서처럼 "Django" 구성 요소를 설치해 주면 됩니다.

pycharm_django_prj_3.png

또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invalid syntax"가 발생한다면?

  File "/mnt/d/pycharm/work/myapp/manage.py", line 17
    ) from exc
         ^
SyntaxError: invalid syntax

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1

아마 대부분 python3이 아닌 python 2.x로 WSL 측의 프로세스가 실행됐기 때문입니다. PyCharm의 디버그 콘솔 창에 출력된 명령행을 잘 살펴보면,

C:\WINDOWS\system32\wsl.exe 
    --distribution Ubuntu20.04 
    --exec /bin/sh -c "export PYCHARM_DISPLAY_PORT=63342 &&
        export PYTHONPATH='/mnt/d/pycharm/work/myapp:...[생략]...' && 
        export DJANGO_SETTINGS_MODULE=myapp.settings && 
        export PYTHONUNBUFFERED=1 && 
        export PYTHONIOENCODING=UTF-8 && 
        export PYCHARM_HOSTED=1 && 
        cd /mnt/d/pycharm/work/myapp && 
        /usr/bin/python /mnt/d/pycharm/work/myapp/manage.py runserver 9000"

실행될 python 경로가 출력되는데, WSL 인스턴스에서 확인해 보면 2.x.x 버전이 나올 것입니다. 명시적으로 python3으로 지정하든가 "python-is-python3" 패키지 등을 설치해 우회하시면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876정성태5/31/201022130제니퍼 .NET: 8. 성능 관리 퀴즈 두 번째 문제 (닷넷 개발자 컨퍼런스) [2]
875정성태5/30/201023933제니퍼 .NET: 7. 성능 관리 퀴즈 첫 번째 문제 (닷넷 개발자 컨퍼런스)
873정성태5/19/201030766제니퍼 .NET: 6. 제니퍼를 위한 방화벽 설정
872정성태5/15/201030315제니퍼 .NET: 5. 제니퍼 서버 - NT 서비스로 구동시키는 방법
871정성태5/13/201036855VC++: 40. MSBuild를 이용한 VC++ 프로젝트 빌드파일 다운로드1
870정성태5/12/201028148제니퍼 .NET: 4. 닷넷 APM 솔루션 - 제니퍼 닷넷의 기능 요약 [2]
869정성태11/8/201929543오류 유형 : 95. WCF 인증서 설정 관련 오류 정리 [4]
865정성태5/5/201031860개발 환경 구성: 75. 인증서의 개인키를 담은 물리 파일 위치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864정성태5/4/201035678.NET Framework: 178. WCF - 사용자 정의 인증 구현 예제 [4]파일 다운로드1
863정성태5/4/201061732개발 환경 구성: 74. 인증서 관련(CER, PVK, SPC, PFX) 파일 만드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862정성태5/3/201023360제니퍼 .NET: 3. 제2회 닷넷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뵙겠습니다. ^^
861정성태5/1/201023729.NET Framework: 177. .NET 2.0 Profiler에 .NET 4.0 지원 추가
860정성태4/30/201029036오류 유형: 95. .NET 4.0 설치 오류 - 0x800c0005 [1]
858정성태4/29/201032933제니퍼 .NET: 2. JENNIFER .NET을 이용한 .NET 웹 사이트 모니터링 (2) - 설치 [3]
857정성태4/27/201031260제니퍼 .NET: 1. JENNIFER .NET을 이용한 .NET 웹 사이트 모니터링 (1) - 임시 라이선스 요청 및 다운로드
855정성태4/24/201028131.NET Framework: 176. DataContext가 thread-safe한 것인가?
854정성태4/22/201024501오류 유형: 94. 팀 프로젝트 생성 오류 - TF218017, TF250044
853정성태4/22/201025243오류 유형: 93. TFS 2010 오류: rsProcessingAborted, rsErrorExecutingCommand
852정성태4/21/201026618Team Foundation Server: 33. 단일 서버에 Team Foundation Server 2010 설치하는 방법
851정성태4/14/201037718오류 유형: 92. Task Scheduler 오류: 2147942667 (0x8007010B)
850정성태4/7/201025901.NET Framework: 175. WCF - webHttpBinding + PUT 메서드 구현파일 다운로드1
848정성태3/30/201039625개발 환경 구성: 73. 한 대의 PC에서 여러 개의 키입력 매크로 프로그램이 가능할까? [5]파일 다운로드5
846정성태3/29/201037391VC++: 39. C++에서 싱글톤 구현하기 [8]파일 다운로드1
844정성태3/19/201024720개발 환경 구성: 72. Adobe Creative Suite 3 Master Collection - 하드 디스크로부터 설치하는 방법
843정성태3/19/201033833Windows: 50. Windows Server 2008 R2 시스템에 Windows 7 멀티 부팅하는 방법
842정성태3/17/201029297Windows: 49. VHD 파일 지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