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1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592. JetBrains의 IDE(예를 들어, PyCharm)에서 Visual Studio 키보드 매핑 적용
; https://www.sysnet.pe.kr/2/0/12752

개발 환경 구성: 595. PyCharm - WSL과 연동해 Django App을 윈도우에서 리눅스 대상으로 개발
; https://www.sysnet.pe.kr/2/0/12773

개발 환경 구성: 597. PyCharm - 윈도우 환경에서 WSL을 이용해 파이썬 앱 개발/디버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789

개발 환경 구성: 598. PyCharm - 원격 프로세스를 디버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798

개발 환경 구성: 599. PyCharm - (반대로) 원격 프로세스가 PyCharm에 디버그 연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00

개발 환경 구성: 601. PyCharm - 다중 프로세스 디버깅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06

스크립트: 26. 파이썬 - PyCharm을 이용한 fork 디버그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23

개발 환경 구성: 603. GoLand - WSL 환경과 연동
; https://www.sysnet.pe.kr/2/0/12825

개발 환경 구성: 673. JetBrains IDE에서 "Squash Commits..." 메뉴가 비활성화된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3318

개발 환경 구성: 679. PyCharm(을 비롯해 JetBrains에 속한 여타) IDE에서 내부 Window들의 탭이 없어진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3369

개발 환경 구성: 697. GoLand에서 ldflags 지정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89




PyCharm - WSL과 연동해 Django App을 윈도우에서 리눅스 대상으로 개발

PyCharm을 WSL과 연동하는 방법은 공식 문서에 잘 나와 있습니다.

Configure an interpreter using WSL
; https://www.jetbrains.com/help/pycharm/using-wsl-as-a-remote-interpreter.html

간략하게 정리해 보면, WSL 측에 rsync를 설치하고,

$ sudo apt install rsync

// Django App이라면 WSL 측에도 설치
$ pip3 install Django

WSL의 python 경로를 확인한 후,

$ which python3
/usr/bin/python3

윈도우의 PyCharm 실행 화면의 "Settings"에서 다음과 같이 WSL/python 환경을 추가합니다.

pycharm_wsl_1.png

그럼, "Python Interpreter"에 새롭게 (위의 경우 Ubuntu20.04) 항목이 추가되고, 현재 선택된 "Django Server" 유형으로 생성한 "Run/Debug Configuration"에도 새로운 Interpreter 항목이 선택됩니다.

이제 디버깅을 시작하면, 윈도우의 파이썬 작업 디렉터리를 /mnt/로 매핑시켜 wsl 인스턴스에서 python 프로세스를 구동하는 식으로 동작합니다.

// Django App이 d:\pycharm\work\myapp 디렉터리에 개발이 된 경우로 가정

C:\WINDOWS\system32\wsl.exe --distribution Ubuntu20.04 --exec /bin/sh 
-c "
        export PYCHARM_DISPLAY_PORT=63342 && 
        export PYDEVD_LOAD_VALUES_ASYNC=True && 
        export PYTHONPATH='/mnt/...[생략]...:/mnt/d/pycharm/work/myapp' && 
        export DJANGO_SETTINGS_MODULE=myapp.settings && 
        export PYTHONUNBUFFERED=1 && 
        export PYTHONIOENCODING=UTF-8 && 
        export LIBRARY_ROOTS='/...[생략]...typeshed/stubs/python-dateutil' && 
        export IDE_PROJECT_ROOTS=/mnt/d/pycharm/work/myapp && 
        export PYCHARM_HOSTED=1 && 
        export IPYTHONENABLE=True && 
        export PYTHONDONTWRITEBYTECODE=1 && 
        cd /mnt/d/pycharm/work/myapp && 
        /usr/bin/python3 '/mnt/c/Program Files/JetBrains/PyCharm 2021.2/plugins/python/helpers/pydev/pydevd.py' --multiproc --qt-support=auto --client 172.22.144.1 --port 20866 --file /mnt/d/pycharm/work/myapp/manage.py runserver 8000
    "

즉, 윈도우 환경이면서 리눅스에서 개발하는 것처럼 환경 구성이 된 것입니다. 실제로 코드에 다음과 같은 식으로 실행해 보면 실행 환경이 리눅스임을 알 수 있습니다.

print(os.getcwd())

/* 출력 결과
/mnt/d/pycharm/work/myapp
*/

참고로, WSL이 아니더라도 원격 접속이 가능한 리눅스만 있다면 마찬가지로 PyCharm에서 SSH 설정을 이용해 원격 개발이 가능하므로,

PyCharm 에서 원격 인터프리터 사용하기
; https://dandyrilla.github.io/2018-11-26/pycharm-remote/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Python 개발을 하는 것이 크게 난관이 있지는 않습니다.




Django App의 디버깅을 시작했는데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면?

C:\WINDOWS\system32\wsl.exe --distribution Ubuntu20.04 --exec /bin/sh -c "...[생략]... /manage.py runserver 8000"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mnt/d/pycharm/work/myapp/manage.py", line 11, in main
    from django.core.management import execute_from_command_line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django'

지난번에 설명한 글에서처럼 "Django" 구성 요소를 설치해 주면 됩니다.

pycharm_django_prj_3.png

또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invalid syntax"가 발생한다면?

  File "/mnt/d/pycharm/work/myapp/manage.py", line 17
    ) from exc
         ^
SyntaxError: invalid syntax

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1

아마 대부분 python3이 아닌 python 2.x로 WSL 측의 프로세스가 실행됐기 때문입니다. PyCharm의 디버그 콘솔 창에 출력된 명령행을 잘 살펴보면,

C:\WINDOWS\system32\wsl.exe 
    --distribution Ubuntu20.04 
    --exec /bin/sh -c "export PYCHARM_DISPLAY_PORT=63342 &&
        export PYTHONPATH='/mnt/d/pycharm/work/myapp:...[생략]...' && 
        export DJANGO_SETTINGS_MODULE=myapp.settings && 
        export PYTHONUNBUFFERED=1 && 
        export PYTHONIOENCODING=UTF-8 && 
        export PYCHARM_HOSTED=1 && 
        cd /mnt/d/pycharm/work/myapp && 
        /usr/bin/python /mnt/d/pycharm/work/myapp/manage.py runserver 9000"

실행될 python 경로가 출력되는데, WSL 인스턴스에서 확인해 보면 2.x.x 버전이 나올 것입니다. 명시적으로 python3으로 지정하든가 "python-is-python3" 패키지 등을 설치해 우회하시면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68정성태10/31/200421979.NET Framework: 17. Win32_NTLogEvent를 c#에서 wmi 쿼리할 때..에러..
67정성태10/22/200419183COM 개체 관련: 12. Microsoft.XMLHTTP 개체에서 Microsoft.XMLDOM 개체를 전송할 때 charset 지정 문제?
66정성태10/16/200420369.NET Framework: 16. [닷넷 리모팅] 프록시가 죽은 것을 원격 개체가 알 수 있는 방법은?
65정성태10/16/200419374VS.NET IDE: 8. Windows 가상 메모리 사용 해제
64정성태10/3/200423066.NET Framework: 15. ASP.NET에서 .NET COM+ 개체 등록 시 "Local System"이어야 하는 이유.
63정성태10/3/200423159.NET Framework: 14. Response.Cookies.Clear는 기존 설정된 Cookie 헤더를 삭제하는 것이 아닙니다.
62정성태10/3/200422138기타: 7. DB 트랜잭션에서 Lock이 걸릴 수 있는 전형적인 예.
61정성태10/3/200421696.NET Framework: 13. Main 메서드에 붙은 STAThread 의미
60정성태10/3/200420381.NET Framework: 12. IDispatch::GetIDsOfNames 역변환 메서드 작성 힌트 ( DISPID 로 메서드 이름 알아내는 것 )
58정성태10/3/200423498.NET Framework: 11. HttpContext의 간략이해
56정성태10/3/200419968.NET Framework: 10. [.NET 리모팅] 원격개체를 호출한 클라이언트의 연결이 유효한지 판단하는 방법.
55정성태10/3/200420711COM 개체 관련: 11. 내가 생각해 보는 COM의 현재 위치
54정성태8/30/200426362VC++: 10. 내가 생각해 보는 MFC OCX와 ATL DLL에 선택 기준
53정성태11/20/200525709VC++: 9. CFtpFileFind/FtpFileFind가 일부 Unix FTP 서버에서 목록을 제대로 못 가져오는 문제
184정성태11/23/200519372    답변글 VC++: 9.1. FTP 관련 토픽파일 다운로드1
51정성태6/24/200424294VC++: 8. BSTR 메모리 할당 및 해제(MSDN Library 발췌) [1]
50정성태6/16/200417663기타: 6. 1차 데스크톱 컴퓨터 사양
49정성태6/16/200418141기타: 5. 53만 원대 Second PC 마련. ^^
48정성태3/2/200420011.NET Framework: 9. 윈도우즈 발전사를 모아 둔 사이트. [1]
47정성태11/14/200518517VS.NET IDE: 7. 한글 OS에서 Internet Explorer 6.0 with SP1의 UI 언어 바꾸는 방법
45정성태1/26/200417889기타: 4. MCAD 시험
44정성태1/26/200418679VS.NET IDE: 6. 터미널 서비스 포트 변경 ( 서버 및 클라이언트 )
46정성태1/26/200423753    답변글 VS.NET IDE: 6.1. Windows 2003 터미널 서비스 라이센스 서버 없이 접속
114정성태11/14/200515150    답변글 VS.NET IDE: 6.2. [터미널 서버 라이센스] : 활성화 시 오류
43정성태12/23/200318366기타: 3. XP/2003 개인 방화벽 설정파일 다운로드1
40정성태7/23/200321835COM 개체 관련: 10. IE BHO 개체를 개발할 때,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아닌 탐색기에서 활성화 되는 문제 해결 [1]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