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1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592. JetBrains의 IDE(예를 들어, PyCharm)에서 Visual Studio 키보드 매핑 적용
; https://www.sysnet.pe.kr/2/0/12752

개발 환경 구성: 595. PyCharm - WSL과 연동해 Django App을 윈도우에서 리눅스 대상으로 개발
; https://www.sysnet.pe.kr/2/0/12773

개발 환경 구성: 597. PyCharm - 윈도우 환경에서 WSL을 이용해 파이썬 앱 개발/디버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789

개발 환경 구성: 598. PyCharm - 원격 프로세스를 디버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798

개발 환경 구성: 599. PyCharm - (반대로) 원격 프로세스가 PyCharm에 디버그 연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00

개발 환경 구성: 601. PyCharm - 다중 프로세스 디버깅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06

스크립트: 26. 파이썬 - PyCharm을 이용한 fork 디버그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23

개발 환경 구성: 603. GoLand - WSL 환경과 연동
; https://www.sysnet.pe.kr/2/0/12825

개발 환경 구성: 673. JetBrains IDE에서 "Squash Commits..." 메뉴가 비활성화된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3318

개발 환경 구성: 679. PyCharm(을 비롯해 JetBrains에 속한 여타) IDE에서 내부 Window들의 탭이 없어진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3369

개발 환경 구성: 697. GoLand에서 ldflags 지정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89




PyCharm - 윈도우 환경에서 WSL을 이용해 파이썬 앱 개발/디버깅하는 방법

일단 콘솔 유형의 파이썬 프로젝트를 다음의 경로로 정해 생성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D:\pycharm\work\testconsole

첫 번째 할 일은, "Python Interpreter"를 WSL의 것을 사용하도록 지정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다음 화면에서처럼 "Settings (Ctrl + Alt + S)"의 "Project: ..." 설정에서 "Python Interpreter"를 WSL의 것으로 추가합니다.

pycharm_wsl_1.png

그다음, "Run/Debug Configurations"를 하나 추가하고 그 화면에서 "Python Interpreter"를 방금 전에 생성한 WSL의 것으로 변경하는 것과 함께, 시작할 스크립트 경로(이 글에서는 "/mnt/d/pycharm/work/testconsole/main.py")를 전달합니다.

pycharm_wsl_console_1.png

이 상태에서 main.py의 코드를 다음과 같이 구성해 실행해 보면,

import os

print(os.getcwd())

""" 출력 결과
/mnt/c/Program Files/JetBrains/PyCharm 2021.2/jbr/bin
"""

정상적으로 동작은 하지만, getcwd의 경로가 의도치 않은 결과가 나옵니다. PyCharm 개발 환경에서 이를 적용하려면 "Run/Debug Configurations"에서 "Working directory"를 "\mnt\d\pycharm\work\testconsole\"로 바꿔야 할 텐데요, 그런 경우 실행 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Error running 'run_main': Linux path was expected, but got \mnt\d\pycharm\work\testconsole

/* 이와 관련해서 은근슬쩍 이슈를 제기했더니,

WSL - Working Directory with \mnt\... path is not supported
; https://youtrack.jetbrains.com/issue/PY-50349

여지 없이 제가 아래에 설명할 윈도우 경로 규칙을 이용해보라고 하는군요. ^^ 
그래도 기왕이면, 저처럼 초보자들이 종종 겪을 수 있을 테니 저 방법도 제공하면 좋을 텐데... ^^
*/

재미있는 것은 "Django Server" 유형의 "Run/Debug Configuration"에서는 os.getcwd()가 잘 잡혔는데, 그 상태의 명령행 실행을 보면 "&& cd /mnt/d/pycharm/work/myapp &&" 명령어가 중간에 들어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취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코드 수준에서 해결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즉, 개발 환경임을 감안해 아마도 다음과 같은 식의 코드가 가장 나은 듯합니다.

import os

# PyCharm에서만 실행
if os.getenv("IDE_PROJECT_ROOTS"):
    os.chdir(os.getenv("IDE_PROJECT_ROOTS"))

print(os.getcwd())




하지만, 저것보다 더 나은 방법이 있습니다. 재미있게도 PyCharm은 WSL 환경을 하나의 "Python Interpreter" 정도로만 여기는 것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이로 인해 윈도우 경로까지도 WSL의 요건에 맞게 자동으로 중간에서 변경해 주는데요, 그래서 다음과 같이 그냥 평범하게 윈도우 경로로 "Script path"와 "Working directory"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pycharm_wsl_console_2.png

저렇게 설정해서 실행하면 os.getcwd()의 반환값이 다음과 같이 출력됩니다.

/mnt/d/pycharm/work/testconsole

PyCharm이 참 수고가 많군요. ^^




Run 실행 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면?

C:\WINDOWS\system32\wsl.exe --distribution Ubuntu20.04 --exec /bin/sh -c "export ...[생략].../pydevd.py' --multiproc --qt-support=auto --client 172.23.208.1 --port 1136 --file"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mnt/c/Program Files/JetBrains/PyCharm 2021.2/plugins/python/helpers/pydev/pydevd.py", line 2173, in <module>
    main()
  File "/mnt/c/Program Files/JetBrains/PyCharm 2021.2/plugins/python/helpers/pydev/pydevd.py", line 2003, in main
    setup = process_command_line(sys.argv)
  File "/mnt/c/Program Files/JetBrains/PyCharm 2021.2/plugins/python/helpers/pydev/_pydevd_bundle/pydevd_command_line_handling.py", line 137, in process_command_line
    setup['file'] = argv[i]
IndexError: list index out of range

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1

현재 실행할 "Run/Debug Configuration"에 "Script path"를 지정하지 않아서 그런 것입니다. "Django Server" 유형의 "Run/Debug Configuration"에서는 시작할 스크립트로 manage.py가 기본 지정돼 있지만 일반 파이썬 프로젝트에서는 그렇지 않으므로 이를 명시해야 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19/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403정성태1/14/201331974.NET Framework: 357. .NET 4.5의 2GB 힙 한계 극복
1402정성태1/14/201332532오류 유형: 166. SmtpClient.Send 오류 - net_io_connectionclosed
1401정성태1/11/201329860.NET Framework: 356. (공개키를 담은) 자바의 key 파일을 닷넷의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400정성태1/10/201329007Windows: 69. 작업표시줄의 터치 키보드(Touch Keyboard) 없애는 방법 [3]
1399정성태1/9/201324640.NET Framework: 355. 닷넷 환경이 왜 C/C++보다 느릴까요? [8]
1398정성태1/8/201325081오류 유형: 165. 새로 설치한 Visual Studio 2010의 Team Explorer 실행시 비정상 종료가 된다면?
1397정성태1/3/201328560Windows: 68. 윈도우 설치 ISO 이미지를 USB 하드에 적용하는 방법 [2]
1396정성태12/27/201229789사물인터넷: 2. 넷두이노 - 4.2.0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395정성태12/26/201220634.NET Framework: 354. x64 - AspCompat과 STA COM 개체가 성능에 미치는 영향
1394정성태12/25/201222078.NET Framework: 353. x86 - AspCompat과 STA COM 개체가 성능에 미치는 영향
1393정성태12/25/201222462.NET Framework: 352. x64에서 필수로 지정하도록 바뀐 STAThread 특성 [2]
1392정성태12/21/201232473사물인터넷: 1. .NET Micro Framework - 넷두이노 플러스 [7]
1391정성태12/21/201225868.NET Framework: 351. JavaScriptSerializer, DataContractJsonSerializer, Json.NET [3]파일 다운로드1
1390정성태12/20/201223924.NET Framework: 350. String 데이터를 Stream으로 변환하는 방법 [2]
1389정성태12/12/201222250.NET Framework: 349. .NET Thread 인스턴스로부터 COM Apartment 유형 확인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88정성태12/12/201223328.NET Framework: 348. .NET x64 응용 프로그램에서 Teb 주소를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87정성태12/12/201228235VC++: 64. x64 Visual C++에서 TEB 주소 구하는 방법
1386정성태12/12/201229940디버깅 기술: 53.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네이티브 DLL을 추출하는 방법 [1]
1385정성태12/12/201225018디버깅 기술: 52. Windbg - The version of SOS does not match the version of CLR you are debugging.
1384정성태12/12/201229859개발 환경 구성: 178. System32 폴더의 64비트 DLL을 32비트 Depends.exe에서 보는 방법
1383정성태12/10/201225755개발 환경 구성: 177. 기업용 메신저를 위한 Office Communicator Server 2007 설치 [1]
1382정성태12/8/201228625개발 환경 구성: 176. WebPagetest 서버 - 설치 및 테스트
1381정성태12/5/201227099.NET Framework: 347. C# - 프로세스(EXE) 수준의 Singleton 개체 생성 [2]파일 다운로드1
1380정성태11/28/201237132.NET Framework: 346. 닷넷 개발자에게 Node.js의 의미 [17]
1379정성태11/26/201230307.NET Framework: 345. C# 부호(+, -)에 대한 비트 변환
1378정성태11/22/201231614Java: 14. 안드로이드 - Hello World 실습 [7]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