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Visual Studio 디버깅 - Unable to break execution. This process is not currently executing the type of code that you selected to debug.

이상한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 .NET Framework 2.0 대상으로 빌드한 프로젝트가 디버깅이 안되는 희한한 일이 눈 앞에 펼쳐진 것입니다.

not_stop_debug_1.png

위의 그림처럼, BP(Breakpoint)를 걸어도 안 걸리고, "Break All (Ctrl + Alt + Break)"을 걸어도 정황상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메시지 창만 나오는 것입니다.

"
Unable to break execution. This process is not currently executing the type of code that you selected to debug.
"


검색을 해보니, 다행히 힌트를 얻을 수 있는 글이 하나 나왔는데요. ^^

Hitting breakpoints in .NET Class Libraries while debugging with Visual Studio 2010
; http://through-the-interface.typepad.com/through_the_interface/2010/04/hitting-breakpoints-in-net-class-libraries-while-debugging-with-visual-studio-2010.html

마침 이 현상을 겪었던 프로젝트는 app.config에 다음과 같은 설정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
<configuration>
    <startup>
        <supportedRuntime version="v4.0.30319"/>
        <supportedRuntime version="v2.0.50727"/>
    </startup>
</configuration>

왜 이렇게 했는지는 아래에 설명을 한 적이 있습니다.

supportedRuntime 옵션과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 예외
; https://www.sysnet.pe.kr/2/0/1233

정리해 보면!

디버깅을 시도한 프로젝트는 csproj에 .NET 2.0을 사용한다고 명시했지만 app.config의 영향으로 실제 EXE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는 .NET 4.0 런타임이 올라온 것입니다. 하지만 Visual Studio는 csproj 파일에 의해 .NET 2.0 응용 프로그램이라고 판단하고 그대로 2.0 디버그 엔진을 사용하였기 때문입니다.

어쩔 수 없습니다. 이런 프로그램을 디버깅할 때는 app.config의 내용을 잠시 주석처리하거나, "Debug" / "Attach to Process..." 메뉴를 이용하여 실행 시에 Visual Studio 디버거를 붙이는 수밖에 없습니다. (원천적으로는, Visual Studio가 app.config을 인식해서 디버거를 구동해 주는 것이 맞겠지요.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585정성태6/4/200835479.NET Framework: 101. WPF - ActiveX 컨트롤 호스팅하는 방법 [2]
582정성태5/16/200827275오류 유형: 55. Windowless ActiveX controls are not supported
580정성태4/24/200826245VC++: 34. 64비트 윈도우즈에서의 이벤트 후킹
579정성태4/24/200826070VC++: 33. 변환 후의 RGS 파일 내용을 얻는 방법
577정성태4/16/200827024.NET Framework: 100. XML Serializer를 이용한 값 복사 [5]
575정성태4/7/200824210오류 유형: 54. TFS Source Control - 명령을 사용할 수 없음 [2]
574정성태3/31/200822262오류 유형: 53. TFS 연결 오류 - The workspace [...] exists on computer [...]
573정성태3/25/200826459Windows: 31. TS Web Access와 UAC [1]
570정성태3/17/200825384오류 유형: 52. TFS 연결 오류 - TF31001 [2]
569정성태3/16/200826824Team Foundation Server: 24. TFS 2008로 마이그레이션 (2) [2]
566정성태2/28/200827862.NET Framework: 99. AppDomain.GetEntryAssembly()를 우회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564정성태2/16/200827569Windows: 30. TS Web Access + Vista SP1 [2]
563정성태2/16/200826917오류 유형: 51. Vista(UAC) + 웹 프로젝트 디버깅: System.UnauthorizedAccessException
562정성태2/12/200831115Windows: 29. Windows Server 2008 설치 [4]
561정성태1/10/200824886오류 유형: 50. IE 7 + 잘못된 HTC 파일 경로 = File not found [5]
559정성태1/1/200829609Windows: 28. Vista에서 끌어다 놓기로 GAC 등록하는 방법 [2]
558정성태1/1/200846614개발 환경 구성: 33. 32bit/64bit OLE DB Provider [1]
557정성태12/22/200725038개발 환경 구성: 32. WSCF와 VS.NET 2008
556정성태12/16/200723015기타: 22. 인기 순위 정리 : 조회수 1000 회 이상
555정성태12/16/200726062기타: 21. 인기 순위 정리 : 조회수 500 ~ 999회 글 목록
554정성태12/16/200730466기타: 20. 인기 순위 정리 : 조회수 250 ~ 499회 글 목록
553정성태12/16/200730793기타: 19. 인기 순위 정리 : 조회수 100 ~ 249회 글 목록
552정성태12/16/200724373기타: 18. 인기 순위 정리 : 조회수 000 ~ 099 회 글 목록
550정성태12/16/200723754Team Foundation Server: 23. TFS 2005에서 TFS 2008로 마이그레이션 [2]
549정성태12/16/200724981Team Foundation Server: 22. TFS 설정 - 주소를 도메인으로 변경
548정성태12/15/200742468오류 유형: 49. Report Server - 원격 서버에 연결할 수 없습니다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