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094. C# 10 - (1) 구조체를 생성하는 record struct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9588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5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094. C# 10 - (1) 구조체를 생성하는 record struct
; https://www.sysnet.pe.kr/2/0/12790

.NET Framework: 1096. C# 10 - (2) 전역 네임스페이스 선언
; https://www.sysnet.pe.kr/2/0/12792

.NET Framework: 1097. C# 10 - (3) 개선된 변수 초기화 판정
; https://www.sysnet.pe.kr/2/0/12793

.NET Framework: 1099. C# 10 - (4) 상수 문자열에 포맷 식 사용 가능
; https://www.sysnet.pe.kr/2/0/12796

.NET Framework: 1100. C# 10 - (5) 속성 패턴의 개선
; https://www.sysnet.pe.kr/2/0/12799

.NET Framework: 1101. C# 10 - (6) record class 타입의 ToString 메서드를 sealed 처리 허용
; https://www.sysnet.pe.kr/2/0/12801

.NET Framework: 1103. C# 10 - (7) Source Generator V2 APIs
; https://www.sysnet.pe.kr/2/0/12804

.NET Framework: 1104. C# 10 - (8) 분해 구문에서 기존 변수의 재사용 가능
; https://www.sysnet.pe.kr/2/0/12805

.NET Framework: 1105. C# 10 - (9) 비동기 메서드가 사용할 AsyncMethodBuilder 선택 가능
; https://www.sysnet.pe.kr/2/0/12807

.NET Framework: 1108. C# 10 - (10) 개선된 #line 지시자
; https://www.sysnet.pe.kr/2/0/12812

.NET Framework: 1109. C# 10 - (11) Lambda 개선
; https://www.sysnet.pe.kr/2/0/12813

.NET Framework: 1113. C# 10 - (12) 문자열 보간 성능 개선
; https://www.sysnet.pe.kr/2/0/12826

.NET Framework: 1114. C# 10 - (13) 단일 파일 내에 적용되는 namespace 선언
; https://www.sysnet.pe.kr/2/0/12828

.NET Framework: 1115. C# 10 - (14) 구조체 타입에 기본 생성자 정의 가능
; https://www.sysnet.pe.kr/2/0/12829

.NET Framework: 1116. C# 10 - (15) CallerArgumentExpression 특성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2835




C# 10 - (1) 구조체를 생성하는 record struct

C# 9에 추가되었던 레코드는,

C# 9.0 - (9) 레코드(Records)
; https://www.sysnet.pe.kr/2/0/12392

("시작하세요! C# 9.0 프로그래밍" 책의 경우 874 페이지 "17.1 레코드(Records)" 참고)

기본적으로 class 유형으로 타입을 생성했는데요, 이것을 구조체로도 생성하는 방법을 C# 10부터 제공합니다. 기존 record에 대한 문법과 struct/class의 차이점만 잘 알고 있다면 "record struct"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필요치 않습니다.

사용 방법도, 구조체를 생성하라는 의미로 "struct"를 하나 더 붙일 뿐입니다.

record struct Person(string Name, int Age);

이와 함께 기존의 record에도 "class"를 붙여 명시적인 구분을 할 수 있도록 했고, 생략하면 기본이 class가 됩니다.

record class Member(string Name, int Age);

// class 생략 가능
record Member(string Name, int Age);

record struct 역시 (기존 class 유형과 마찬가지로) 내부적으로 생성자, 필드, ToString 재정의, !=, == 연산자 재정의, GetHashCode, Equals 재정의, Clone과 Deconstruct 메서드가 제공되고, 단지 값 형식이라는 차이점으로 인해 null에 대한 부가 코드는 제거되었습니다.




참고로, 위의 코드는 - 오늘 기준 16.11.0의 Visual Studio 2019에서도 컴파일 및 실습이 가능합니다. 대신 LangVersion을 preview로 명시해야 합니다.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OutputType>Exe</OutputType>
        <TargetFramework>net6.0</TargetFramework>
        <RootNamespace>_01_record_struct</RootNamespace>
        <LangVersion>preview</LangVersion>
    </PropertyGroup>

</Project>

또한, .NET Framework 프로젝트에서도 사용할 수 있고 (C# 9에서도 그랬던 것처럼) 이 경우에는 IsExternalInit 타입 정의를 포함해야 합니다.

#if !NET5_0 && !NET6_0
// .NET 5.0/6.0 환경이 아닌 경우 IsExternalInit 클래스를 별도로 정의해서 컴파일 가능하게 만듦
namespace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
{
    public class IsExternalInit
    {
    }
}
#endif

여기서 한 가지 재미있는 것은, 위의 NET5_0/NET6_0 매크로 상수가 ".net5+"를 의미하지는 않으므로 향후 NET7_0, NET8_0으로 계속 붙여줘야 할지도 모르는 불안감이 있는데요, 다행히 .NET 5.0/6.0 프로젝트에서 그냥 포함을 시켜도 컴파일 오류는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 .NET 5+ 이상에서 그냥 아래와 같은 타입 정의를 중복 포함시켜도 컴파일 오류가 발생하지 않음.
namespace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
{
    public class IsExternalInit
    {
    }
}

따라서 .NET 5+와 .NET Framework 간의 공통 소스 코드라고 해도 그냥 "#if !NET5_0 && !NET6_0" 매크로 조건 검사를 하지 않고 위와 같이 사용해도 됩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현재 C# 10 관련한 일부 소식을 보면,

C# 10 Features
; https://www.earthli.com/news/view_article.php?id=4280

개체 생성 시 필수로 초기화해야 함을 명시하는 required 예약어와,

class Person
{
  public required string Name { get; set; }
  public int Age { get; set; }
}

자동 속성 정의에서 숨겨진 필드를 접근할 수 있는 field 예약어가,

public class Person
{
    public string Name
    {
        get; 
        
        init
        {
            field = value;
        }
    }
}

추가될 거라고 하는데, 아직은 Visual Studio 2022 preview 단계에서도 테스트를 할 수 없는 상태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가능해지면 글을 업데이트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잘 이해가 안 되는 것이 있다면 "C# 10 Features"도 그렇고 아래의 문서를 보면,

Introducing C# 10
; https://kenbonny.net/introducing-csharp-10

record에서 연산자 재정의가 가능해졌다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Person p1 = new Person("Anderson", 16);
Person p2 = new Person("Anderson", 14);

Console.WriteLine(p1 + p2); // Person { Name = Anderson, Age = 30 }

record Person(string Name, int Age)
{
    // '+' 연산자 재정의
    public static Person operator +(Person first, Person second)
    {
        if (first.Name != second.Name)
        {
            return first;
        }

        return first with { Age = first.Age + second.Age };
    }
}

하지만, 실제로 테스트를 해보면 C# 9 프로젝트에서도 위의 코드는 잘 컴파일되고 동작합니다. (혹시 이에 대한 이력을 알고 계신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




C# 10 - (1) 구조체를 생성하는 record struct (공식 문서, Static Abstract Members In Interfaces C# 10 Preview)
; https://www.sysnet.pe.kr/2/0/12790

C# 10 - (2) 전역 네임스페이스 선언 (공식 문서, Global Using Directive)
; https://www.sysnet.pe.kr/2/0/12792

C# 10 - (3) 개선된 변수 초기화 판정 (공식 문서, Improved Definite Assignment)
; https://www.sysnet.pe.kr/2/0/12793

C# 10 - (4) 상수 문자열에 포맷 식 사용 가능 (공식 문서, Constant Interpolated Strings)
; https://www.sysnet.pe.kr/2/0/12796

C# 10 - (5) 속성 패턴의 개선 (공식 문서, Extended property patterns)
; https://www.sysnet.pe.kr/2/0/12799

C# 10 - (6) record class 타입의 ToString 메서드를 sealed 처리 허용 (공식 문서, Sealed record ToString)
; https://www.sysnet.pe.kr/2/0/12801

C# 10 - (7) Source Generator V2 APIs (Source Generator V2 APIs)
; https://www.sysnet.pe.kr/2/0/12804

C# 10 - (8) 분해 구문에서 기존 변수의 재사용 가능 (공식 문서, Mix declarations and variables in deconstruction)
; https://www.sysnet.pe.kr/2/0/12805

C# 10 - (9) 비동기 메서드가 사용할 AsyncMethodBuilder 선택 가능 (공식 문서, Async method builder override); 
; https://www.sysnet.pe.kr/2/0/12807

C# 10 - (10) 개선된 #line 지시자 (공식 문서, Enhanced #line directive)
; https://www.sysnet.pe.kr/2/0/12812

C# 10 - (11) Lambda 개선 (공식 문서 1, 공식 문서 2, Lambda improvements) 
; https://www.sysnet.pe.kr/2/0/12813

C# 10 - (12) 문자열 보간 성능 개선 (공식 문서, Interpolated string improvements)
; https://www.sysnet.pe.kr/2/0/12826

C# 10 - (13) 단일 파일 내에 적용되는 namespace 선언 (공식 문서, File-scoped namespace)
; https://www.sysnet.pe.kr/2/0/12828

C# 10 - (14) 구조체 타입에 기본 생성자 정의 가능 (공식 문서, Parameterless struct constructors)
; https://www.sysnet.pe.kr/2/0/12829

C# 10 - (15) CallerArgumentExpression 특성 추가 (공식 문서, Caller expression attribute)
; https://www.sysnet.pe.kr/2/0/12835

Language Feature Status
; https://github.com/dotnet/roslyn/blob/main/docs/Language%20Feature%20Status.md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4/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77정성태11/18/201129924.NET Framework: 272. 소켓 연결 시간 제한 - 두 번째 이야기 [1]파일 다운로드1
1176정성태11/17/201129139.NET Framework: 271. C#에서 확인해 보는 관리 힙의 인스턴스 구조 [3]파일 다운로드1
1175정성태11/16/201127130.NET Framework: 270. .NET 참조 개체 인스턴스의 Object Header를 확인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74정성태11/15/201126553.NET Framework: 269. 일반 참조형의 기본 메모리 소비는 얼마나 될까요? [4]
1173정성태11/14/201122761.NET Framework: 268. .NET Array는 왜 12bytes의 기본 메모리를 점유할까? [1]
1172정성태11/13/201119727.NET Framework: 267. windbg - GC Heap에서 .NET 타입에 대한 배열을 찾는 방법
1171정성태11/12/201136413.NET Framework: 266. StringBuilder에서의 OutOfMemoryException 오류 원인 분석 [4]파일 다운로드1
1170정성태11/10/201125621.NET Framework: 265. Named 동기화 개체 생성 시 System.UnauthorizedAccessException 예외 발생하는 경우
1169정성태11/10/201129424.NET Framework: 264. 다중 LAN 카드 환경에서 Dns.GetHostAddresses(local)가 반환해 주는 IP의 우선순위는 어떻게 될까요? [4]
1168정성태11/6/201125284오류 유형: 139. TlbImp : error TI0000 : A single valid machine type compatible with the input type library must be specified
1167정성태11/5/201137115개발 환경 구성: 133. Registry 등록 과정 없이 COM 개체 사용 - 두 번째 이야기 [5]파일 다운로드4
1166정성태11/5/201123142.NET Framework: 263. byte[] pData = new byte[100000]로 인한 성능 차이? [1]파일 다운로드1
1165정성태11/3/201128047개발 환경 구성: 132. "Visual Studio Command Prompt (2010)" 명령행에서 2.0 버전의 MSBuild를 구동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64정성태11/1/201126217.NET Framework: 262.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4) - .NET 4.0을 지원하지 않는 MSE 응용 프로그램 원인 분석
1163정성태10/31/201125723.NET Framework: 261.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3) - MSE 소스 코드 개선파일 다운로드1
1162정성태10/30/201125850.NET Framework: 260.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2) - Managed Stack Explorer 소스 코드를 이용한 스택 덤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61정성태10/29/201122634.NET Framework: 259. Type.GetMethod - System.Reflection.AmbiguousMatchException파일 다운로드1
1159정성태10/28/201126093.NET Framework: 258. Roslyn 맛보기 - SyntaxTree 조작 [2]
1158정성태10/24/201125407.NET Framework: 257. Roslyn 맛보기 - Roslyn Symbol / Binding API파일 다운로드1
1157정성태10/23/201129865.NET Framework: 256. Roslyn 맛보기 - Syntax Analysis (Roslyn Syntax API) [2]
1156정성태10/23/201128312.NET Framework: 255. Roslyn 맛보기 - Roslyn Services APIs를 이용한 Code Issue 및 Code Action 기능 소개 [1]
1155정성태10/22/201126380.NET Framework: 254. Roslyn 맛보기 - C# Interactive (2)
1154정성태10/22/201133118.NET Framework: 253. Roslyn 맛보기 - C# Interactive (1)
1153정성태10/21/201141988.NET Framework: 252. Roslyn 맛보기 - C# 소스 코드를 스크립트처럼 다루는 방법 [7]파일 다운로드1
1152정성태10/20/201123677.NET Framework: 251. string.GetHashCode는 hash 값을 cache 할까?
1151정성태10/18/201122596Java: 13. 자바도 64비트에서 (2GB) OutOfMemoryException 예외가 발생할까?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