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096. C# 10 - (2) 전역 네임스페이스 선언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877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5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094. C# 10 - (1) 구조체를 생성하는 record struct
; https://www.sysnet.pe.kr/2/0/12790

.NET Framework: 1096. C# 10 - (2) 전역 네임스페이스 선언
; https://www.sysnet.pe.kr/2/0/12792

.NET Framework: 1097. C# 10 - (3) 개선된 변수 초기화 판정
; https://www.sysnet.pe.kr/2/0/12793

.NET Framework: 1099. C# 10 - (4) 상수 문자열에 포맷 식 사용 가능
; https://www.sysnet.pe.kr/2/0/12796

.NET Framework: 1100. C# 10 - (5) 속성 패턴의 개선
; https://www.sysnet.pe.kr/2/0/12799

.NET Framework: 1101. C# 10 - (6) record class 타입의 ToString 메서드를 sealed 처리 허용
; https://www.sysnet.pe.kr/2/0/12801

.NET Framework: 1103. C# 10 - (7) Source Generator V2 APIs
; https://www.sysnet.pe.kr/2/0/12804

.NET Framework: 1104. C# 10 - (8) 분해 구문에서 기존 변수의 재사용 가능
; https://www.sysnet.pe.kr/2/0/12805

.NET Framework: 1105. C# 10 - (9) 비동기 메서드가 사용할 AsyncMethodBuilder 선택 가능
; https://www.sysnet.pe.kr/2/0/12807

.NET Framework: 1108. C# 10 - (10) 개선된 #line 지시자
; https://www.sysnet.pe.kr/2/0/12812

.NET Framework: 1109. C# 10 - (11) Lambda 개선
; https://www.sysnet.pe.kr/2/0/12813

.NET Framework: 1113. C# 10 - (12) 문자열 보간 성능 개선
; https://www.sysnet.pe.kr/2/0/12826

.NET Framework: 1114. C# 10 - (13) 단일 파일 내에 적용되는 namespace 선언
; https://www.sysnet.pe.kr/2/0/12828

.NET Framework: 1115. C# 10 - (14) 구조체 타입에 기본 생성자 정의 가능
; https://www.sysnet.pe.kr/2/0/12829

.NET Framework: 1116. C# 10 - (15) CallerArgumentExpression 특성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2835




C# 10 - (2) 전역 네임스페이스 선언

C#은 사용하려는 외부 참조에 대해 네임스페이스를 생략할 수 있도록 "using ..." 선언을 할 수 있는데요, 소스 코드 파일마다 포함해야 합니다. 하지만, C# 10에서 이제 전역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네임스페이스 선언을 하도록 지원이 추가되었습니다.

문법은 간단하게 기존 using 문 앞에 "global"만 추가하면 됩니다.

global using System;

현재 .NET Framework 프로젝트에서도 <LangVersion /> 값을 preview로 설정하면 사용할 수 있는데요, 이런 경우 적당한 위치가 ./Properties/AssemblyInfo.cs가 될 것입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네임스페이스를 포함시켜 주면,

global using global::System;
global using global::System.Collections.Generic;
global using global::System.IO;
global using global::System.Linq;
global using global::System.Net.Http;
global using global::System.Threading;
global using global::System.Threading.Tasks;

프로젝트의 다른 C# 파일들에서는 위의 네임스페이스를 포함할 필요가 없어 소스 코드가 한결 말끔하게 정리가 됩니다.




공개된 Visual Studio 2022 Preview 7부터는, 새로운 콘솔 프로젝트를 .NET 6 대상으로 생성하면 다음과 같이 최상위 문의 "Hello World" 출력만 담은 Program.cs 파일이 생성됩니다.

// See https://aka.ms/new-console-template for more information

Console.WriteLine("Hello, World!");

그런데, 이상하지 않나요? 아무리 TLS라고 해도 Console.WriteLine은 System.Console.WriteLine이어야 합니다. 그렇습니다, 바로 이것이 가능한 이유가 전역적으로 이미 "global using System;"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C# 컴파일러가 기본으로 포함한 것처럼 처리하는 것은 아니고, 빌드 시 ./obj/debug 디렉터리에 "[프로젝트명].ImplicitNamespaceImports.cs" "[프로젝트].GlobalUsings.g.cs" 형식의 C# 파일을 다음의 코드를 추가해,

// <autogenerated />
global using global::System;
global using global::System.Collections.Generic;
global using global::System.IO;
global using global::System.Linq;
global using global::System.Net.Http;
global using global::System.Threading;
global using global::System.Threading.Tasks;

생성하므로 빌드 시 문제가 없는 것입니다. 아니, 그렇다면 저 목록을 사용자 정의하거나 생성 자체를 막는 방법은 없을까요? 이에 대해서는 아래의 문서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MSBuild reference for .NET SDK projects
 - Using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ore/project-sdk/msbuild-props#using

따라서, 만약 위의 자동 생성 목록에서 "System.Threading.Tasks"를 빼고 "Microsoft.Win32"를 넣고 싶다면 (아마도 나중에는 프로젝트 속성 창을 통해 제공할지 모르겠지만) csproj 파일에서 조정할 수 있습니다.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OutputType>Exe</OutputType>
        <TargetFramework>net6.0</TargetFramework>
        <Nullable>enable</Nullable>
        <LangVersion>preview</LangVersion>
    </PropertyGroup>

    <ItemGroup>
        <Using Remove="System.Threading.Tasks" />
        <Using Include="Microsoft.Win32" />
    </ItemGroup>

</Project>

그런 다음 다시 빌드하면 이렇게 바뀝니다.

// <autogenerated />
global using global::System;
global using global::System.Collections.Generic;
global using global::System.IO;
global using global::System.Linq;
global using global::System.Net.Http;
global using global::System.Threading;
global using global::Microsoft.Win32;

혹은 ImplicitNamespaceImports.cs GlobalUsing.g.cs 생성 자체를 막고 싶다면 역시 csproj 파일에 (VB.NET의 경우 DisableImplicitNamespaceImports) ImplicitUsings 값을 (false 또는) disable로 설정하면 됩니다.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OutputType>Exe</OutputType>
        <TargetFramework>net6.0</TargetFramework>
        <Nullable>enable</Nullable>
        <LangVersion>preview</LangVersion>
        <ImplicitUsings>enable</ImplicitUsings>
    </PropertyGroup>

</Project>

그런데, 저렇게 csproj 파일을 편집하는 것이 나을까요? 아니면 .NET Framework의 관례를 따라 ./Properties/AssemblyInfo.cs 파일을 만들고 별도 관리를 하는 것이 더 나을까요? ^^

아마도 Jupyter Notebook과 같은,

Jupyter Notebok에서 C#(F#, PowerShell) 언어 사용을 위한 환경 구성
; https://www.sysnet.pe.kr/2/0/12509

REPL 환경에서는 저렇게 동작하는 것이 좋겠지만, 그 외의 환경에서는... 글쎄요. ^^

참고로, 기본 포함되는 namespace 목록은 프로젝트 유형 별로 다음과 같이 달라진다고 합니다.

Microsoft.NET.Sdk
    System
    System.Collections.Generic
    System.IO
    System.Linq
    System.Net.Http
    System.Threading
    System.Threading.Tasks

Microsoft.NET.Sdk.Web
    System.Net.Http.Json
    Microsoft.AspNetCore.Builder
    Microsoft.AspNetCore.Hosting
    Microsoft.AspNetCore.Http
    Microsoft.AspNetCore.Routing
    Microsoft.Extensions.Configuration
    Microsoft.Extensions.DependencyInjection
    Microsoft.Extensions.Hosting
    Microsoft.Extensions.Logging
    
Microsoft.NET.Sdk.Worker    
    Microsoft.Extensions.Configuration
    Microsoft.Extensions.DependencyInjection
    Microsoft.Extensions.Hosting
    Microsoft.Extensions.Logging




닷넷 코어 프로젝트는 자동 생성되는 파일들이 더 있는데요,

  • .NETCoreApp,Version=v6.0.AssemblyAttributes.cs
  • [프로젝트명].AssemblyInfo.cs

아직 이 파일들은 생성 시 using 문을 포함하기 때문에,

// <autogenerated />
using System;
using System.Reflection;
[assembly: global::System.Runtime.Versioning.TargetFrameworkAttribute(".NETCoreApp,Version=v6.0", FrameworkDisplayName = "")]

global 네임스페이스 사용과의 중복 선언으로 인해 "warning CS0105: The using directive for 'System' appeared previously in this namespace" 경고가 발생합니다. 아마도 이 문제들은 정식 버전이 나올 때쯤이면 없어질 듯한데요, 혹시, 이게 너무 귀찮으면 역시 자동 생성 옵션을 끄면 됩니다.

<PropertyGroup>
    <!--  [프로젝트명].AssemblyInfo.cs 자동 생성 중지  -->
    <GenerateAssemblyInfo>false</GenerateAssemblyInfo>

    <!--  .NETCoreApp,Version=v6.0.AssemblyAttributes.cs 자동 생성 중지  -->
    <GenerateTargetFrameworkAttribute>false</GenerateTargetFrameworkAttribute>
</PropertyGroup>




혹시, 최상위 문을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하도록,

// using static System.Console;

WriteLine("Hello World");

이렇게 Import 노드를 포함하면 어떨까요?

<ItemGroup>
    <Using Include="static System.Console"/>
</ItemGroup>

아쉽게도, (원래 가능한 사용법인데) 쓸데없이 "global::" 식별자를 자동 생성 코드에서 붙이는 바람에 다음과 같이 출력되어,

global using global::static System.Console;

구문에 맞지 않아 컴파일 오류가 발생합니다. 혹시 이것도 정식 버전에서는 개선이 될까요? ^^




C# 10 - (1) 구조체를 생성하는 record struct (공식 문서, Static Abstract Members In Interfaces C# 10 Preview)
; https://www.sysnet.pe.kr/2/0/12790

C# 10 - (2) 전역 네임스페이스 선언 (공식 문서, Global Using Directive)
; https://www.sysnet.pe.kr/2/0/12792

C# 10 - (3) 개선된 변수 초기화 판정 (공식 문서, Improved Definite Assignment)
; https://www.sysnet.pe.kr/2/0/12793

C# 10 - (4) 상수 문자열에 포맷 식 사용 가능 (공식 문서, Constant Interpolated Strings)
; https://www.sysnet.pe.kr/2/0/12796

C# 10 - (5) 속성 패턴의 개선 (공식 문서, Extended property patterns)
; https://www.sysnet.pe.kr/2/0/12799

C# 10 - (6) record class 타입의 ToString 메서드를 sealed 처리 허용 (공식 문서, Sealed record ToString)
; https://www.sysnet.pe.kr/2/0/12801

C# 10 - (7) Source Generator V2 APIs (Source Generator V2 APIs)
; https://www.sysnet.pe.kr/2/0/12804

C# 10 - (8) 분해 구문에서 기존 변수의 재사용 가능 (공식 문서, Mix declarations and variables in deconstruction)
; https://www.sysnet.pe.kr/2/0/12805

C# 10 - (9) 비동기 메서드가 사용할 AsyncMethodBuilder 선택 가능 (공식 문서, Async method builder override); 
; https://www.sysnet.pe.kr/2/0/12807

C# 10 - (10) 개선된 #line 지시자 (공식 문서, Enhanced #line directive)
; https://www.sysnet.pe.kr/2/0/12812

C# 10 - (11) Lambda 개선 (공식 문서 1, 공식 문서 2, Lambda improvements) 
; https://www.sysnet.pe.kr/2/0/12813

C# 10 - (12) 문자열 보간 성능 개선 (공식 문서, Interpolated string improvements)
; https://www.sysnet.pe.kr/2/0/12826

C# 10 - (13) 단일 파일 내에 적용되는 namespace 선언 (공식 문서, File-scoped namespace)
; https://www.sysnet.pe.kr/2/0/12828

C# 10 - (14) 구조체 타입에 기본 생성자 정의 가능 (공식 문서, Parameterless struct constructors)
; https://www.sysnet.pe.kr/2/0/12829

C# 10 - (15) CallerArgumentExpression 특성 추가 (공식 문서, Caller expression attribute)
; https://www.sysnet.pe.kr/2/0/12835

Language Feature Status
; https://github.com/dotnet/roslyn/blob/main/docs/Language%20Feature%20Status.md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1/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107정성태1/10/202018491.NET Framework: 877. C# - 프로세스의 모든 핸들을 열람 - 두 번째 이야기
12106정성태1/8/202019581VC++: 136. C++ - OSR Driver Loader와 같은 Legacy 커널 드라이버 설치 프로그램 제작 [1]
12105정성태1/8/202018092디버깅 기술: 153. C# - PEB를 조작해 로드된 DLL을 숨기는 방법
12104정성태1/7/202019269DDK: 9. 커널 메모리를 읽고 쓰는 NT Legacy driver와 C#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4]
12103정성태1/7/202022366DDK: 8. Visual Studio 2019 + WDK Legacy Driver 제작- Hello World 예제 [1]파일 다운로드2
12102정성태1/6/202018749디버깅 기술: 152. User 권한(Ring 3)의 프로그램에서 _ETHREAD 주소(및 커널 메모리를 읽을 수 있다면 _EPROCESS 주소) 구하는 방법
12101정성태1/5/202018960.NET Framework: 876. C# - PEB(Process Environment Block)를 통해 로드된 모듈 목록 열람
12100정성태1/3/202016452.NET Framework: 875. .NET 3.5 이하에서 IntPtr.Add 사용
12099정성태1/3/202019260디버깅 기술: 151. Windows 10 - Process Explorer로 확인한 Handle 정보를 windbg에서 조회 [1]
12098정성태1/2/202019018.NET Framework: 874. C# - 커널 구조체의 Offset 값을 하드 코딩하지 않고 사용하는 방법 [3]
12097정성태1/2/202017099디버깅 기술: 150. windbg - Wow64, x86, x64에서의 커널 구조체(예: TEB) 구조체 확인
12096정성태12/30/201919835디버깅 기술: 149. C# - DbgEng.dll을 이용한 간단한 디버거 제작 [1]
12095정성태12/27/201921533VC++: 135. C++ - string_view의 동작 방식
12094정성태12/26/201919248.NET Framework: 873. C# - 코드를 통해 PDB 심벌 파일 다운로드 방법
12093정성태12/26/201918803.NET Framework: 872. C# - 로딩된 Native DLL의 export 함수 목록 출력파일 다운로드1
12092정성태12/25/201917647디버깅 기술: 148. cdb.exe를 이용해 (ntdll.dll 등에 정의된) 커널 구조체 출력하는 방법
12091정성태12/25/201919925디버깅 기술: 147. pdb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symchk.exe 실행에 필요한 최소 파일 [1]
12090정성태12/24/201920023.NET Framework: 871. .NET AnyCPU로 빌드된 PE 헤더의 로딩 전/후 차이점 [1]파일 다운로드1
12089정성태12/23/201918918디버깅 기술: 146. gflags와 _CrtIsMemoryBlock을 이용한 Heap 메모리 손상 여부 체크
12088정성태12/23/201917902Linux: 28. Linux - 윈도우의 "Run as different user" 기능을 shell에서 실행하는 방법
12087정성태12/21/201918353디버깅 기술: 145. windbg/sos - Dictionary의 entries 배열 내용을 모두 덤프하는 방법 (do_hashtable.py) [1]
12086정성태12/20/201920806디버깅 기술: 144. windbg - Marshal.FreeHGlobal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12085정성태12/20/201918800오류 유형: 586. iisreset - The data is invalid. (2147942413, 8007000d) 오류 발생 - 두 번째 이야기 [1]
12084정성태12/19/201919251디버깅 기술: 143. windbg/sos - Hashtable의 buckets 배열 내용을 모두 덤프하는 방법 (do_hashtable.py) [1]
12083정성태12/17/201922231Linux: 27. linux - lldb를 이용한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의 메모리 덤프 분석 방법 [2]
12082정성태12/17/201920518오류 유형: 585. lsof: WARNING: can't stat() fuse.gvfsd-fuse file system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