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해당 DLL이 Managed인지 / Unmanaged인지 확인하는 방법

이에 대해서 검색을 해보면, 여러 가지 방법이 나옵니다. 도구로는 corflags.exe를 이용하거나, 코드로는 PE 포맷을 분석해서 판단하는 등의 글이 나옵니다.

일단, 코드로 알아내야 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제 경우에는 Reflection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그러고 보니, 예전에도 Reflection을 이용해서 해당 DLL에 대해 Debug/Release 빌드 여부를 알아내는 방법을 소개해 드렸었는데요.

해당 어셈블리가 Debug 빌드인지, Release 빌드인지 알아내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7

그래서, 간단하게 다음과 같이 테스트를 해볼 수 있습니다.

try
{
    return Assembly.ReflectionOnlyLoadFrom(filePath) != null;
}
catch
{
    return false;
}

당연히 Native DLL을 로드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합니다.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 was caught
  Message=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file:///D:\...\native.dll' or one of its dependencies. The module was expected to contain an assembly manifest.
  Source=mscorlib
  FileName=file:///D:\...\ConsoleApplication1\bin\Debug\native.dll
  FusionLog==== Pre-bind state information ===
LOG: User = ...
LOG: Where-ref bind. Location = D:\...\ConsoleApplication1\bin\Debug\native.dll
LOG: Appbase = file:///D:/.../ConsoleApplication1/bin/Debug/
LOG: Initial PrivatePath = NULL
Calling assembly : (Unknown).
===
LOG: This is an inspection only bind.
LOG: No application configuration file found.
LOG: Using machine configuration file from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2.0.50727\config\machine.config.
LOG: Attempting download of new URL file:///D:/.../ConsoleApplication1/bin/Debug/native.dll.
ERR: Failed to complete setup of assembly (hr = 0x80131018). Probing terminated.

  StackTrace:
       at System.Reflection.Assembly._nLoad(AssemblyName fileName, String codeBase, Evidence assemblySecurity, Assembly locationHint, StackCrawlMark& stackMark, Boolean throwOnFileNotFound, Boolean forIntrospection)
       at System.Reflection.Assembly.nLoad(AssemblyName fileName, String codeBase, Evidence assemblySecurity, Assembly locationHint, StackCrawlMark& stackMark, Boolean throwOnFileNotFound, Boolean forIntrospection)
       at System.Reflection.Assembly.InternalLoad(AssemblyName assemblyRef, Evidence assemblySecurity, StackCrawlMark& stackMark, Boolean forIntrospection)
       at System.Reflection.Assembly.InternalLoadFrom(String assemblyFile, Evidence securityEvidence, Byte[] hashValue, AssemblyHashAlgorithm hashAlgorithm, Boolean forIntrospection, StackCrawlMark& stackMark)
       at System.Reflection.Assembly.ReflectionOnlyLoadFrom(String assemblyFile)
       at ConsoleApplication1.Program.IsManaged(String filePath) in D:\...\ConsoleApplication1\Program.cs:line 27
  InnerException: 

이걸로 끝날까 싶었는데, 문제가 하나 있더군요. 바로, ReflectionOnlyLoadFrom 메서드를 실행하는 EXE 측의 CLR 런타임과 로드되는 DLL 측의 CLR 런타임이 다른 경우에도 예외가 발생한다는 점입니다.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 was caught
  Message=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file:///D:\...\net40.dll' or one of its dependencies. This assembly is built by a runtime newer than the currently loaded runtime and cannot be loaded.
  Source=mscorlib
...[생략]...
ERR: Failed to complete setup of assembly (hr = 0x8013101b). Probing terminated.
...[생략]...

그렇다면, Managed/Unmanaged DLL을 판별하기 위해 다중으로 EXE 파일을 만들어야만 할까요? 이전에 소개해드렸던 약간의 트릭을 쓰면 ^^ 그럴 필요가 없습니다.

설치된 .NET 버전에 민감한 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다중으로 어셈블리를 만들어야 할까요?
; https://www.sysnet.pe.kr/2/0/1178

이를 모두 반영하면, 다음과 같이 .NET 2.0/4.0 DLL에 대해서 정상적으로 Managed 모듈임을 판명할 수 있습니다.

managed_unmanaged_1.png

소스 코드는 첨부 파일에 포함했으므로 참고하시고요.

PE 파일 포맷을 분석하는 대신에 간단하게 여기까지 만들어보았는데, 위의 모듈에는 한 가지 단점이 있습니다. .NET Framework 4.0이 설치되지 않은 PC에 .NET 4.0 DLL이 있는 경우에는 판정이 되지 않습니다. (사실, 이 부분은 생각하기 나름입니다. .NET 4.0이 없는 환경에서는 4.0용 어셈블리는 실행되지 않으므로 Native DLL과 달리 차이가 없어 보입니다.)

어쨌든... ^^ 이 부분까지 가능하게 하려면 PE 파일 포맷을 다뤄야 합니다. 이건 나중에 시간나면 한번 더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치기 전에, .NET 2.0 실행 파일에서 CSharpCodeProvider를 이용하여 .NET 4.0 대상으로 컴파일을 강제로 하면,

Dictionary<string, string> options = new Dictionary<string, string> 
{  
    { "CompilerVersion", "v4.0" } 
};

CSharpCodeProvider provider = new CSharpCodeProvider(options);

CompilerParameters compilerParams = new CompilerParameters();
compilerParams.GenerateExecutable = false;
compilerParams.GenerateInMemory = true;

string classText = " ...[생략]... ";

CompilerResults cr = provider.CompileAssemblyFromSource(compilerParams, classText);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합니다.

Unhandled Exception: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Compiler executable file csc.exe cannot be found.
   at System.CodeDom.Compiler.RedistVersionInfo.GetCompilerPath(IDictionary`2 provOptions, String compilerExecutable)
   at Microsoft.CSharp.CSharpCodeGenerator.FromFileBatch(CompilerParameters options, String[] fileNames)
   at Microsoft.CSharp.CSharpCodeGenerator.FromSourceBatch(CompilerParameters options, String[] sources)
   at Microsoft.CSharp.CSharpCodeGenerator.System.CodeDom.Compiler.ICodeCompiler.CompileAssemblyFromSourceBatch(CompilerParameters options, String[] sources)
   at System.CodeDom.Compiler.CodeDomProvider.CompileAssemblyFromSource(CompilerParameters options, String[] sources)
   at ClrUtility.ManagedDLL.get_Clr4Object() in D:\...\ClrUtility\ManagedDLL.cs:line 72
   at ClrUtility.ManagedDLL.IsManaged(String filePath) in D:\...\ClrUtility\ManagedDLL.cs:line 29
   at ConsoleApplication1.Program.Main(String[] args) in D:\...\ConsoleApplication1\Program.cs:line 17

이전의 글 "설치된 .NET 버전에 민감한 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다중으로 어셈블리를 만들어야 할까요?"에 포함된 예제에서는 .NET 4.0 실행 파일이었기 때문에 이 부분이 문제가 되지 않았는데, 이번 글에서는 .NET 2.0 실행 파일이기 때문에 .NET 4.0 컴파일을 하면 "Compiler executable file csc.exe cannot be found."라는 오류 메시지를 만나게 됩니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별도의 조치를 취해주어야 합니다. 즉, .NET 2.0 EXE 실행 파일로 만들되, .NET 4.0이 설치된 환경에서는 4.0 CLR 위에서 구동되도록 다음과 같이 supportedRuntime 설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
<configuration>
    <startup>
        <supportedRuntime version="v4.0.30319"/>
        <supportedRuntime version="v2.0.50727"/>
    </startup>
</configuration>

좀 뭔가 다소 복잡한데요. 모듈을 2개로 관리하는 것이 편할지, 위와 같이 다소 복잡한 처리를 하는 것이 관리하는 데 편할지는 경중을 따져보고 선택하시면 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25/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2-06-05 07시48분
PE 파일 포맷으로 판단하는 코드를 다음의 글에서 설명해 두었습니다.

해당 DLL이 Managed인지 / Unmanaged인지 확인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www.sysnet.pe.kr/2/0/1296
정성태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231정성태1/27/20233743오류 유형: 839. python - TypeError: '...' object is not callable
13230정성태1/26/20234107개발 환경 구성: 660. WSL 2 내부로부터 호스트 측의 네트워크로 UDP 데이터가 1개의 패킷으로만 제한되는 문제
13229정성태1/25/20235104.NET Framework: 2090. C# - UDP Datagram의 최대 크기
13228정성태1/24/20235238.NET Framework: 2089. C# - WMI 논리 디스크가 속한 물리 디스크의 정보를 얻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3227정성태1/23/20234931개발 환경 구성: 659. Windows - IP MTU 값을 바꿀 수 있을까요? [1]
13226정성태1/23/20234603.NET Framework: 2088. .NET 5부터 지원하는 GetRawSocketOption 사용 시 주의할 점
13225정성태1/21/20233849개발 환경 구성: 658. Windows에서 실행 중인 소켓 서버를 다른 PC 또는 WSL에서 접속할 수 없는 경우
13224정성태1/21/20234209Windows: 221. Windows - Private/Public/Domain이 아닌 네트워크 어댑터 단위로 방화벽을 on/off하는 방법
13223정성태1/20/20234410오류 유형: 838. RDP 연결 오류 - The two computers couldn't connect in the amount of time allotted
13222정성태1/20/20234096개발 환경 구성: 657. WSL - DockerDesktop.vhdx 파일 위치를 옮기는 방법
13221정성태1/19/20234323Linux: 57. C# - 리눅스 프로세스 메모리 정보파일 다운로드1
13220정성태1/19/20234444오류 유형: 837. NETSDK1045 The current .NET SDK does not support targeting .NET ...
13219정성태1/18/20234011Windows: 220. 네트워크의 인터넷 접속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 기준
13218정성태1/17/20233948VS.NET IDE: 178. Visual Studio 17.5 (Preview 2) - 포트 터널링을 이용한 웹 응용 프로그램의 외부 접근 허용
13217정성태1/13/20234529디버깅 기술: 185. windbg - 64비트 운영체제에서 작업 관리자로 뜬 32비트 프로세스의 덤프를 sos로 디버깅하는 방법
13216정성태1/12/20234782디버깅 기술: 184. windbg - 32비트 프로세스의 메모리 덤프인 경우 !peb 명령어로 나타나지 않는 환경 변수
13215정성태1/11/20236348Linux: 56. 리눅스 - /proc/pid/stat 정보를 이용해 프로세스의 CPU 사용량 구하는 방법 [1]
13214정성태1/10/20235883.NET Framework: 2087. .NET 6부터 SourceGenerator와 통합된 System.Text.Json [1]파일 다운로드1
13213정성태1/9/20235429오류 유형: 836. docker 이미지 빌드 시 "RUN apt install ..." 명령어가 실패하는 이유
13212정성태1/8/20235179기타: 85. 단정도/배정도 부동 소수점의 정밀도(Precision)에 따른 형변환 손실
13211정성태1/6/20235210웹: 42. (https가 아닌) http 다운로드를 막는 웹 브라우저
13210정성태1/5/20234300Windows: 219. 윈도우 x64의 경우 0x00000000`7ffe0000 아래의 주소는 왜 사용하지 않을까요?
13209정성태1/4/20234203Windows: 218. 왜 윈도우에서 가상 메모리 공간은 64KB 정렬이 된 걸까요?
13208정성태1/3/20234182.NET Framework: 2086. C# - Windows 운영체제의 2MB Large 페이지 크기 할당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207정성태12/26/20224447.NET Framework: 2085. C# - gpedit.msc의 "User Rights Assignment" 특권을 코드로 설정/해제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206정성태12/24/20224683.NET Framework: 2084. C# - GetTokenInformation으로 사용자 SID(Security identifiers) 구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