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해당 DLL이 Managed인지 / Unmanaged인지 확인하는 방법

이에 대해서 검색을 해보면, 여러 가지 방법이 나옵니다. 도구로는 corflags.exe를 이용하거나, 코드로는 PE 포맷을 분석해서 판단하는 등의 글이 나옵니다.

일단, 코드로 알아내야 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제 경우에는 Reflection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그러고 보니, 예전에도 Reflection을 이용해서 해당 DLL에 대해 Debug/Release 빌드 여부를 알아내는 방법을 소개해 드렸었는데요.

해당 어셈블리가 Debug 빌드인지, Release 빌드인지 알아내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7

그래서, 간단하게 다음과 같이 테스트를 해볼 수 있습니다.

try
{
    return Assembly.ReflectionOnlyLoadFrom(filePath) != null;
}
catch
{
    return false;
}

당연히 Native DLL을 로드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합니다.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 was caught
  Message=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file:///D:\...\native.dll' or one of its dependencies. The module was expected to contain an assembly manifest.
  Source=mscorlib
  FileName=file:///D:\...\ConsoleApplication1\bin\Debug\native.dll
  FusionLog==== Pre-bind state information ===
LOG: User = ...
LOG: Where-ref bind. Location = D:\...\ConsoleApplication1\bin\Debug\native.dll
LOG: Appbase = file:///D:/.../ConsoleApplication1/bin/Debug/
LOG: Initial PrivatePath = NULL
Calling assembly : (Unknown).
===
LOG: This is an inspection only bind.
LOG: No application configuration file found.
LOG: Using machine configuration file from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2.0.50727\config\machine.config.
LOG: Attempting download of new URL file:///D:/.../ConsoleApplication1/bin/Debug/native.dll.
ERR: Failed to complete setup of assembly (hr = 0x80131018). Probing terminated.

  StackTrace:
       at System.Reflection.Assembly._nLoad(AssemblyName fileName, String codeBase, Evidence assemblySecurity, Assembly locationHint, StackCrawlMark& stackMark, Boolean throwOnFileNotFound, Boolean forIntrospection)
       at System.Reflection.Assembly.nLoad(AssemblyName fileName, String codeBase, Evidence assemblySecurity, Assembly locationHint, StackCrawlMark& stackMark, Boolean throwOnFileNotFound, Boolean forIntrospection)
       at System.Reflection.Assembly.InternalLoad(AssemblyName assemblyRef, Evidence assemblySecurity, StackCrawlMark& stackMark, Boolean forIntrospection)
       at System.Reflection.Assembly.InternalLoadFrom(String assemblyFile, Evidence securityEvidence, Byte[] hashValue, AssemblyHashAlgorithm hashAlgorithm, Boolean forIntrospection, StackCrawlMark& stackMark)
       at System.Reflection.Assembly.ReflectionOnlyLoadFrom(String assemblyFile)
       at ConsoleApplication1.Program.IsManaged(String filePath) in D:\...\ConsoleApplication1\Program.cs:line 27
  InnerException: 

이걸로 끝날까 싶었는데, 문제가 하나 있더군요. 바로, ReflectionOnlyLoadFrom 메서드를 실행하는 EXE 측의 CLR 런타임과 로드되는 DLL 측의 CLR 런타임이 다른 경우에도 예외가 발생한다는 점입니다.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 was caught
  Message=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file:///D:\...\net40.dll' or one of its dependencies. This assembly is built by a runtime newer than the currently loaded runtime and cannot be loaded.
  Source=mscorlib
...[생략]...
ERR: Failed to complete setup of assembly (hr = 0x8013101b). Probing terminated.
...[생략]...

그렇다면, Managed/Unmanaged DLL을 판별하기 위해 다중으로 EXE 파일을 만들어야만 할까요? 이전에 소개해드렸던 약간의 트릭을 쓰면 ^^ 그럴 필요가 없습니다.

설치된 .NET 버전에 민감한 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다중으로 어셈블리를 만들어야 할까요?
; https://www.sysnet.pe.kr/2/0/1178

이를 모두 반영하면, 다음과 같이 .NET 2.0/4.0 DLL에 대해서 정상적으로 Managed 모듈임을 판명할 수 있습니다.

managed_unmanaged_1.png

소스 코드는 첨부 파일에 포함했으므로 참고하시고요.

PE 파일 포맷을 분석하는 대신에 간단하게 여기까지 만들어보았는데, 위의 모듈에는 한 가지 단점이 있습니다. .NET Framework 4.0이 설치되지 않은 PC에 .NET 4.0 DLL이 있는 경우에는 판정이 되지 않습니다. (사실, 이 부분은 생각하기 나름입니다. .NET 4.0이 없는 환경에서는 4.0용 어셈블리는 실행되지 않으므로 Native DLL과 달리 차이가 없어 보입니다.)

어쨌든... ^^ 이 부분까지 가능하게 하려면 PE 파일 포맷을 다뤄야 합니다. 이건 나중에 시간나면 한번 더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치기 전에, .NET 2.0 실행 파일에서 CSharpCodeProvider를 이용하여 .NET 4.0 대상으로 컴파일을 강제로 하면,

Dictionary<string, string> options = new Dictionary<string, string> 
{  
    { "CompilerVersion", "v4.0" } 
};

CSharpCodeProvider provider = new CSharpCodeProvider(options);

CompilerParameters compilerParams = new CompilerParameters();
compilerParams.GenerateExecutable = false;
compilerParams.GenerateInMemory = true;

string classText = " ...[생략]... ";

CompilerResults cr = provider.CompileAssemblyFromSource(compilerParams, classText);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합니다.

Unhandled Exception: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Compiler executable file csc.exe cannot be found.
   at System.CodeDom.Compiler.RedistVersionInfo.GetCompilerPath(IDictionary`2 provOptions, String compilerExecutable)
   at Microsoft.CSharp.CSharpCodeGenerator.FromFileBatch(CompilerParameters options, String[] fileNames)
   at Microsoft.CSharp.CSharpCodeGenerator.FromSourceBatch(CompilerParameters options, String[] sources)
   at Microsoft.CSharp.CSharpCodeGenerator.System.CodeDom.Compiler.ICodeCompiler.CompileAssemblyFromSourceBatch(CompilerParameters options, String[] sources)
   at System.CodeDom.Compiler.CodeDomProvider.CompileAssemblyFromSource(CompilerParameters options, String[] sources)
   at ClrUtility.ManagedDLL.get_Clr4Object() in D:\...\ClrUtility\ManagedDLL.cs:line 72
   at ClrUtility.ManagedDLL.IsManaged(String filePath) in D:\...\ClrUtility\ManagedDLL.cs:line 29
   at ConsoleApplication1.Program.Main(String[] args) in D:\...\ConsoleApplication1\Program.cs:line 17

이전의 글 "설치된 .NET 버전에 민감한 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다중으로 어셈블리를 만들어야 할까요?"에 포함된 예제에서는 .NET 4.0 실행 파일이었기 때문에 이 부분이 문제가 되지 않았는데, 이번 글에서는 .NET 2.0 실행 파일이기 때문에 .NET 4.0 컴파일을 하면 "Compiler executable file csc.exe cannot be found."라는 오류 메시지를 만나게 됩니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별도의 조치를 취해주어야 합니다. 즉, .NET 2.0 EXE 실행 파일로 만들되, .NET 4.0이 설치된 환경에서는 4.0 CLR 위에서 구동되도록 다음과 같이 supportedRuntime 설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
<configuration>
    <startup>
        <supportedRuntime version="v4.0.30319"/>
        <supportedRuntime version="v2.0.50727"/>
    </startup>
</configuration>

좀 뭔가 다소 복잡한데요. 모듈을 2개로 관리하는 것이 편할지, 위와 같이 다소 복잡한 처리를 하는 것이 관리하는 데 편할지는 경중을 따져보고 선택하시면 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25/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2-06-05 07시48분
PE 파일 포맷으로 판단하는 코드를 다음의 글에서 설명해 두었습니다.

해당 DLL이 Managed인지 / Unmanaged인지 확인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www.sysnet.pe.kr/2/0/1296
정성태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082정성태6/19/20226319.NET Framework: 2023. C# - Process의 I/O 사용량을 보여주는 GetProcessIoCounters Win32 API파일 다운로드1
13081정성태6/17/20226393.NET Framework: 2022. C# - .NET 7 Preview 5 신규 기능 - System.IO.Stream ReadExactly / ReadAtLeast파일 다운로드1
13080정성태6/17/20227008개발 환경 구성: 643. Visual Studio 2022 17.2 버전에서 C# 11 또는 .NET 7.0 preview 적용
13079정성태6/17/20224657오류 유형: 814. 파이썬 - Error: The file/path provided (...) does not appear to exist
13078정성태6/16/20226708.NET Framework: 2021. WPF - UI Thread와 Render Thread파일 다운로드1
13077정성태6/15/20227050스크립트: 40. 파이썬 - PostgreSQL 환경 구성
13075정성태6/15/20226009Linux: 50. Linux - apt와 apt-get의 차이 [2]
13074정성태6/13/20226315.NET Framework: 2020. C# - NTFS 파일에 사용자 정의 속성값 추가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073정성태6/12/20226548Windows: 207. Windows Server 2022에 도입된 WSL 2
13072정성태6/10/20226830Linux: 49. Linux - ls 명령어로 출력되는 디렉터리 색상 변경 방법
13071정성태6/9/20227410스크립트: 39. Python에서 cx_Oracle 환경 구성
13070정성태6/8/20227198오류 유형: 813. Windows 11에서 입력 포커스가 바뀌는 문제 [1]
13069정성태5/26/20229433.NET Framework: 2019. C# - .NET에서 제공하는 3가지 Timer 비교 [2]
13068정성태5/24/20227937.NET Framework: 2018. C# - 일정 크기를 할당하는 동안 GC를 (가능한) 멈추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3067정성태5/23/20227252Windows: 206. Outlook - 1년 이상 지난 메일이 기본적으로 안 보이는 문제
13066정성태5/23/20226585Windows: 205. Windows 11 - Windows + S(또는 Q)로 뜨는 작업 표시줄의 검색 바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13065정성태5/20/20227274.NET Framework: 2017. C# - Windows I/O Ring 소개 [2]파일 다운로드1
13064정성태5/18/20226810.NET Framework: 2016. C# - JIT 컴파일러의 인라인 메서드 처리 유무
13063정성태5/18/20227221.NET Framework: 2015. C# - 인라인 메서드(inline methods)
13062정성태5/17/20228016.NET Framework: 2014. C# - async/await 그리고 스레드 (4) 비동기 I/O 재현파일 다운로드1
13061정성태5/16/20226821.NET Framework: 2013. C# - FILE_FLAG_OVERLAPPED가 적용된 파일의 읽기/쓰기 시 Position 관리파일 다운로드1
13060정성태5/15/20229308.NET Framework: 2012. C# - async/await 그리고 스레드 (3) Task.Delay 재현파일 다운로드1
13059정성태5/14/20227758.NET Framework: 2011. C# - CLR ThreadPool의 I/O 스레드에 작업을 맡기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3058정성태5/13/20227660.NET Framework: 2010. C# - ThreadPool.SetMaxThreads 사용법
13057정성태5/12/20229335오류 유형: 812. 파이썬 - ImportError: cannot import name ...
13056정성태5/12/20226461.NET Framework: 2009. C# - async/await 그리고 스레드 (2) MyTask의 호출 흐름 [2]파일 다운로드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