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102. .NET Conf Mini 21.08 - WinUI 3 따라해 보기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7186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NET Conf Mini 21.08 - WinUI 3 따라해 보기

마침 .NET Conf에서 정세일 님의 강좌도 있고 하니, ^^

.NET Conf Mini 21.08 - WinUI 3 소개
; https://www.youtube.com/watch?v=i9zw6x6zQLI&t=205s

자, 그럼 따라 해 봅시다. ^^

우선, Microsoft Store에서 여러 가지 컨트롤 사용 예제를 제공하므로 다운로드하고,

Micorosoft Store - WinUI 3 Controls Gallery
; https://www.microsoft.com/en-us/p/winui-3-controls-gallery/9p3jfpwwdzrc

그다음, Visual Studio 2019의 "Extensions" / "Manage Extensions" 메뉴를 선택해 다음의 2가지 확장을 추가합니다.

  • Project Reunion
  • Windows Template Studio

전자의 것만 추가하면 새 프로젝트에 "Blank App, Packaged (WinUI 3 in Desktop)" 템플릿이 보이고, 후자의 것도 함께 추가하면 "App, Packaged (WinUI 3 in Desktop)" 템플릿까지 보일 것입니다.

강의에서는 "App (WinUI 3 in Desktop)" 템플릿으로 다음의 설정과 함께 시작하는데,

프로젝트 유형: MenuBar
Design Pattern: MVVM Toolkit
페이지: Settings, WebView, Content Grid
기능: MSIX Packaging

저는 그냥 "Blank App, Packaged (WinUI 3 in Desktop)" 템플릿을 선택하겠습니다. 아래 화면은, 기본 구조의 솔루션 탐색기 상태와 실행 모습을 보여줍니다.

winui3_app_1.png

특이한 것은, "시작 프로젝트" 설정이 "App1"이 아니라 "App1 (Package)"라는 점인데요, 만약 "Set as Startup Project" 메뉴를 이용해 "App1" 프로젝트로 설정을 바꾸면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합니다.

System.DllNotFoundException: 'Unable to load DLL 'Microsoft.UI.Xaml.dll' or one of its dependencies: The specified module could not be found. (0x8007007E)'

그러니까, 꼭 "... (Package)" 프로젝트로 Run/Debug 실행을 해야 합니다.




이 상태에서 App.xaml과 MainWindow.xaml을 보면 WPF 응용 프로그램과 거의 다를 바가 없습니다.

<Application
    x:Class="App1.App"
    xmlns="http://schemas.microsoft.com/winfx/2006/xaml/presentation"
    xmlns:x="http://schemas.microsoft.com/winfx/2006/xaml"
    xmlns:local="using:App1">
    <Application.Resources>
        <ResourceDictionary>
            <ResourceDictionary.MergedDictionaries>
                <XamlControlsResources xmlns="using:Microsoft.UI.Xaml.Controls" />
                <!-- Other merged dictionaries here -->
            </ResourceDictionary.MergedDictionaries>
            <!-- Other app resources here -->
        </ResourceDictionary>
    </Application.Resources>
</Application>

<Window
    x:Class="App1.MainWindow"
    xmlns="http://schemas.microsoft.com/winfx/2006/xaml/presentation"
    xmlns:x="http://schemas.microsoft.com/winfx/2006/xaml"
    xmlns:local="using:App1"
    xmlns:d="http://schemas.microsoft.com/expression/blend/2008"
    xmlns:mc="http://schemas.openxmlformats.org/markup-compatibility/2006"
    mc:Ignorable="d">

    <StackPanel Orientation="Horizontal" HorizontalAlignment="Center" VerticalAlignment="Center">
        <Button x:Name="myButton" Click="myButton_Click">Click Me</Button>
    </StackPanel>
</Window>

단지, 이렇게 만든 WinUI 앱은 Windows 10 1809 이상의 버전에서만 동작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자, 그럼 강의에서처럼 "Microsoft.Graphics.Win2D" 라이브러리를 설치해 주고,

Install-Package Microsoft.Graphics.Win2D

도움말에 따라,

Introduction
; https://microsoft.github.io/Win2D/WinUI3/html/Introduction.htm

CanvasControl Class
; https://microsoft.github.io/Win2D/WinUI3/html/T_Microsoft_Graphics_Canvas_UI_Xaml_CanvasControl.htm

CanvasControl과 함께,

<Window
    x:Class="App1.MainWindow"
    xmlns="http://schemas.microsoft.com/winfx/2006/xaml/presentation"
    xmlns:x="http://schemas.microsoft.com/winfx/2006/xaml"
    xmlns:local="using:App1"
    xmlns:d="http://schemas.microsoft.com/expression/blend/2008"
    xmlns:mc="http://schemas.openxmlformats.org/markup-compatibility/2006"
    xmlns:canvas="using:Microsoft.Graphics.Canvas.UI.Xaml"
    mc:Ignorable="d">

    <!--<StackPanel Orientation="Horizontal" HorizontalAlignment="Center" VerticalAlignment="Center">
        <Button x:Name="myButton" Click="myButton_Click">Click Me</Button>
    </StackPanel>-->
    
    <Grid>
        <canvas:CanvasControl x:Name="canvas" Draw="canvas_Draw" ClearColor="CornflowerBlue"  />
    </Grid>
</Window>

코드도 함께 추가합니다.

private void myButton_Click(object sender, RoutedEventArgs e)
{
    // myButton.Content = "Clicked";
}

private void canvas_Draw(Microsoft.Graphics.Canvas.UI.Xaml.CanvasControl sender, Microsoft.Graphics.Canvas.UI.Xaml.CanvasDrawEventArgs args)
{
    var g = args.DrawingSession;

    g.DrawEllipse(155, 115, 80, 30, Colors.Black, 3);
    g.DrawText("Hello, world!", 100, 100, Colors.Yellow);
}

이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winui3_app_2.png

거의 WPF 경험을 유사하게 가져갈 수가 있군요. ^^




Microsoft.Graphics.Win2D 참조 추가 후 실행 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면?

System.DllNotFoundException
  HResult=0x80131524
  Message=Unable to load DLL 'Microsoft.Graphics.Canvas.UI.Xaml.dll' or one of its dependencies: The specified module could not be found. (0x8007007E)
  Source=<Cannot evaluate the exception source>
  StackTrace:
<Cannot evaluate the exception stack trace>

이유는 알 수 없지만 그냥 무시하고 계속 실행하면 됩니다. 하지만, 번번이 뜨는 것이 귀찮으므로 다음 화면처럼 "Break when this exception type is user-unhandled" 옵션을 끄면 됩니다.

winui3_app_3.png

이후로 계속 다음의 오류도 뜰 수 있는데 역시 무시하시면 결국 실행까지 됩니다.

System.Runtime.InteropServices.COMException
  HResult=0x80070000
  Message=The operation completed successfully. (0x80070000)
  Source=System.Private.CoreLib
  StackTrace:
   at System.Runtime.InteropServices.Marshal.ThrowExceptionForHR(Int32 errorCode) in /_/src/libraries/System.Private.CoreLib/src/System/Runtime/InteropServices/Marshal.cs:line 601
   at WinRT.DllModule..ctor(String fileName)
   at WinRT.DllModule.Load(String fileName)
   at WinRT.BaseActivationFactory..ctor(String typeNamespace, String typeFullName)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
  HResult=0x8007007E
  Message=The specified module could not be found. (0x8007007E)
  Source=System.Private.CoreLib
  StackTrace:
   at System.Runtime.InteropServices.Marshal.ThrowExceptionForHR(Int32 errorCode) in /_/src/libraries/System.Private.CoreLib/src/System/Runtime/InteropServices/Marshal.cs:line 601
   at WinRT.DllModule..ctor(String fileName)
   at WinRT.DllModule.Load(String fileName)
   at WinRT.BaseActivationFactory..ctor(String typeNamespace, String typeFullName)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23/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4-01-12 10시31분
Short history of all Windows UI frameworks and libraries
; https://www.irrlicht3d.org/index.php?t=1626
정성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793정성태10/28/20245149C/C++: 183.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3792정성태10/27/20244633Linux: 99. Linux - 프로세스의 실행 파일 경로 확인
13791정성태10/27/20244901Windows: 267. Win32 API의 A(ANSI) 버전은 DBCS를 사용할까요?파일 다운로드1
13790정성태10/27/20244621Linux: 98. Ubuntu 22.04 - 리눅스 커널 빌드 및 업그레이드
13789정성태10/27/20244914Linux: 97. menuconfig에 CONFIG_DEBUG_INFO_BTF, CONFIG_DEBUG_INFO_BTF_MODULES 옵션이 없는 경우
13788정성태10/26/20244459Linux: 96. eBPF (bpf2go) - fentry, fexit를 이용한 트레이스
13787정성태10/26/20244973개발 환경 구성: 730. github - Linux 커널 repo를 윈도우 환경에서 git clone하는 방법 [1]
13786정성태10/26/20245218Windows: 266. Windows - 대소문자 구분이 가능한 파일 시스템
13785정성태10/23/20244985C/C++: 182. 윈도우가 운영하는 2개의 Code Page파일 다운로드1
13784정성태10/23/20245248Linux: 95. eBPF - kprobe를 이용한 트레이스
13783정성태10/23/20244860Linux: 94. eBPF - vmlinux.h 헤더 포함하는 방법 (bpf2go에서 사용)
13782정성태10/23/20244621Linux: 93. Ubuntu 22.04 - 커널 이미지로부터 커널 함수 역어셈블
13781정성태10/22/20244801오류 유형: 930. WSL + eBPF: modprobe: FATAL: Module kheaders not found in directory
13780정성태10/22/20245550Linux: 92. WSL 2 - 커널 이미지로부터 커널 함수 역어셈블
13779정성태10/22/20244845개발 환경 구성: 729. WSL 2 - Mariner VM 커널 이미지 업데이트 방법
13778정성태10/21/20245671C/C++: 181. C/C++ - 소스코드 파일의 인코딩, 바이너리 모듈 상태의 인코딩
13777정성태10/20/20244952Windows: 265. Win32 API의 W(유니코드) 버전은 UCS-2일까요? UTF-16 인코딩일까요?
13776정성태10/19/20245269C/C++: 180. C++ - 고수준 FILE I/O 함수에서의 Unicode stream 모드(_O_WTEXT, _O_U16TEXT, _O_U8TEXT)파일 다운로드1
13775정성태10/19/20245492개발 환경 구성: 728. 윈도우 환경의 개발자를 위한 UTF-8 환경 설정
13774정성태10/18/20245196Linux: 91. Container 환경에서 출력하는 eBPF bpf_get_current_pid_tgid의 pid가 존재하지 않는 이유
13773정성태10/18/20244883Linux: 90.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으로 본 WSL 2 + docker-desktop
13772정성태10/17/20245160Linux: 89.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으로 본 WSL 2 배포본의 계층 관계
13771정성태10/17/20245066Linux: 88. WSL 2 리눅스 배포본 내에서의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
13770정성태10/17/20245337Linux: 87. ps + grep 조합에서 grep 명령어를 사용한 프로세스를 출력에서 제거하는 방법
13769정성태10/15/20246114Linux: 86. Golang + bpf2go를 사용한 eBPF 기본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768정성태10/15/20245396C/C++: 179. C++ - _O_WTEXT, _O_U16TEXT, _O_U8TEXT의 Unicode stream 모드파일 다운로드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