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601. PyCharm - 다중 프로세스 디버깅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722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1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592. JetBrains의 IDE(예를 들어, PyCharm)에서 Visual Studio 키보드 매핑 적용
; https://www.sysnet.pe.kr/2/0/12752

개발 환경 구성: 595. PyCharm - WSL과 연동해 Django App을 윈도우에서 리눅스 대상으로 개발
; https://www.sysnet.pe.kr/2/0/12773

개발 환경 구성: 597. PyCharm - 윈도우 환경에서 WSL을 이용해 파이썬 앱 개발/디버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789

개발 환경 구성: 598. PyCharm - 원격 프로세스를 디버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798

개발 환경 구성: 599. PyCharm - (반대로) 원격 프로세스가 PyCharm에 디버그 연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00

개발 환경 구성: 601. PyCharm - 다중 프로세스 디버깅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06

스크립트: 26. 파이썬 - PyCharm을 이용한 fork 디버그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23

개발 환경 구성: 603. GoLand - WSL 환경과 연동
; https://www.sysnet.pe.kr/2/0/12825

개발 환경 구성: 673. JetBrains IDE에서 "Squash Commits..." 메뉴가 비활성화된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3318

개발 환경 구성: 679. PyCharm(을 비롯해 JetBrains에 속한 여타) IDE에서 내부 Window들의 탭이 없어진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3369

개발 환경 구성: 697. GoLand에서 ldflags 지정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89




PyCharm - 다중 프로세스 디버깅 방법

이클립스 IDE에 익숙하신 분은 아마 감각적으로 아실 수 있는 내용인데요, 반면 Visual Studio에 익숙한 경우라면 이걸 잘 모르실 수도 있을 듯합니다.

테스트를 위해 PyCharm에서 "Pure Python" 유형으로 프로젝트를 하나 생성하고 내부에 2개의 py 파일을 넣어두겠습니다.

# server_sock.py

import socket

s = socket.socket(socket.AF_INET, socket.SOCK_STREAM)
s.bind(('127.0.0.1', 18080))
s.listen(5)

while True:
    clientSock, clientAddress = s.accept()
    readData = clientSock.recv(1024)
    if not readData:
        continue

    text = readData.decode()
    if text == 'quit':
        break

    print('Client sent:', clientAddress, text)

    clientSock.close()

# client_sock.py

import socket

s = socket.socket(socket.AF_INET, socket.SOCK_STREAM)
s.connect(("127.0.0.1", 18080))

s.send('test'.encode())

s.close()

이런 경우, 비주얼 스튜디오라면 2개의 프로젝트를 생성한 것과 유사하게 볼 수 있습니다. 즉 server_sock.py를 서버 소켓이 있는 프로젝트 하나로, client_sock.py를 클라이언트 소켓을 구현한 프로젝트가 됩니다.

이런 경우, 테스트를 위해 대개의 경우 2개 모두 실행해야 합니다. 이럴 때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그냥 편집 화면에서 (우선 server_sock.py 먼저) 마우스 우클릭을 해 "Run (server_sock)" 또는 "Debug (server_sock)" 메뉴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아래는 s.listen에 BP(BreakPoint)를 걸고 서버 소켓을 디버그 모드로 실행하는 것을 보여줍니다.

pycharm_multi_debug_1.png

그럼 하단에 "Debug" 창이 뜨면서 "server_sock" 탭이 하나 생성되고 s.listen에 BP를 걸었으므로 실행이 멈추게 됩니다. 더 실행을 하려면 "Run" / "Debugging Actions" / "Resume Program"을 선택합니다. (참고로 "Resume Program" 메뉴에 단축키가 없으므로 새로 지정해 두면 편합니다. 제 경우에는 F6 키로 등록해 두었습니다. ^^)

비주얼 스튜디오에서는 이렇게 한 번 디버그 모드로 진입하면 이후 다시 다른 프로젝트를 디버그로 시작하는 방법이 없습니다. (대신 애당초 다중 프로젝트 디버깅을 할 대상을 선택해 두어야 합니다.)

하지만, PyCharm의 경우에는 이 상태에서 다시 client_sock.py 파일을 열어 서버에서 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마우스 우클릭을 해 "Run (client_sock)" 또는 "Debug (client_sock)" 메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얼마든지 다중 프로세스를 실행/디버깅할 수 있어 나름 상당히 편리합니다. ^^ 게다가, 저렇게 마우스를 이용한 우클릭 메뉴로 시작하면 그대로 "Run/Debug Configuration"로 보관까지 해주므로,

pycharm_multi_debug_2.png

복잡하게 "Edit Configurations..."을 이용해 추가할 필요도 없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24/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01정성태1/21/202119332.NET Framework: 1015. .NET 5부터 HTTP/1.1, 2.0 선택을 위한 HttpVersionPolicy 동작 방식파일 다운로드1
12500정성태1/21/202120694.NET Framework: 1014. ASP.NET Core(Kestrel)의 HTTP/2 지원 여부파일 다운로드1
12499정성태1/20/202122134.NET Framework: 1013. .NET Core Kestrel 호스팅 - 포트 변경, non-localhost 접속 지원 및 https 등의 설정 변경 [1]파일 다운로드1
12498정성태1/20/202118710.NET Framework: 1012. .NET Core Kestrel 호스팅 - 비주얼 스튜디오의 Kestrel/IIS Express 프로파일 설정
12497정성태1/20/202124192.NET Framework: 1011. C# - OWIN Web API 예제 프로젝트 [1]파일 다운로드2
12496정성태1/19/202120084.NET Framework: 1010. .NET Core 콘솔 프로젝트에서 Kestrel 호스팅 방법 [1]
12495정성태1/19/202122273웹: 40. IIS의 HTTP/2 지원 여부 - h2, h2c [1]
12494정성태1/19/202122022개발 환경 구성: 522. WSL 2 인스턴스와 호스트 측의 Hyper-V에 운영 중인 VM과 네트워크 연결을 하는 방법 [2]
12493정성태1/18/202120143.NET Framework: 1009. .NET 5에서의 네트워크 라이브러리 개선 (1) - HTTP 관련 [1]파일 다운로드1
12492정성태1/17/202118493오류 유형: 695. ASP.NET 0x80131620 Failed to bind to address
12491정성태1/16/202119640.NET Framework: 1008. 배열을 반환하는 C# COM 개체의 메서드를 C++에서 사용 시 메모리 누수 현상 [1]파일 다운로드1
12490정성태1/15/202118373.NET Framework: 1007. C# - foreach에서 열거 변수의 타입을 var로 쓰면 object로 추론하는 문제 [1]파일 다운로드1
12489정성태1/13/202121845.NET Framework: 1006. C# - DB에 저장한 텍스트의 (이모티콘을 비롯해) 유니코드 문자가 '?'로 보인다면? [1]
12488정성태1/13/202119634.NET Framework: 1005. C# - string 타입은 shallow copy일까요? deep copy일까요? [2]파일 다운로드1
12487정성태1/13/202118042.NET Framework: 1004. C# - GC Heap에 위치한 참조 개체의 주소를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486정성태1/12/202121409.NET Framework: 1003. x64 환경에서 참조형의 기본 메모리 소비는 얼마나 될까요? [1]
12485정성태1/11/202120190Graphics: 38. C# - OpenCvSharp.VideoWriter에 BMP 파일을 1초씩 출력하는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2484정성태1/9/202123236.NET Framework: 1002. C# - ReadOnlySequence<T> 소개파일 다운로드1
12483정성태1/8/202118982개발 환경 구성: 521. dotPeek - 훌륭한 역어셈블 소스 코드 생성 도구
12482정성태1/8/202120838.NET Framework: 1001. C# - 제네릭 타입/메서드에서 사용 시 경우에 따라 CS8377 컴파일 에러
12481정성태1/7/202120643.NET Framework: 1000. C# - CS8344 컴파일 에러: ref struct 타입의 사용 제한 메서드파일 다운로드1
12480정성태1/6/202123342.NET Framework: 999. C# - ArrayPool<T>와 MemoryPool<T> 소개파일 다운로드1
12479정성태1/6/202120716.NET Framework: 998. C# - OWIN 예제 프로젝트 만들기
12478정성태1/5/202124579.NET Framework: 997. C# - ArrayPool<T> 소개파일 다운로드1
12477정성태1/5/202125377기타: 79. github 코드 검색 방법 [1]
12476정성태1/5/202120098.NET Framework: 996. C# - 닷넷 코어에서 다른 스레드의 callstack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