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NET Core/5+에서 동적 컴파일한 C# 코드를 (Breakpoint도 활용하며) 디버깅하는 방법 - #line 지시자

지난 글에서,

.NET Core/5+에서 C# 코드를 동적으로 컴파일/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09

C# 소스 코드를 동적으로 컴파일 및 사용하는 방법을 다뤘는데요, 사실 이에 대한 디버깅도 가능합니다. 어떻게 할 수 있는지 한번 다뤄볼까요? ^^

지난 글의 소스 코드를 활용해 바꿔볼 텐데요, 우선 C# 코드를 별도의 파일로 빼내야 합니다. 테스트를 위해 "dynamic_code.txt"라는 파일로 동적 코드를 빼내고,

string codeToCompile = File.ReadAllText("dynamic_code.txt");

다음과 같이, 해당 파일은 "Build Action: None", "Copy to Output Directory: Copy if newer" 옵션을 설정해 줍니다. (위의 경우에는 "Build Action" 설정은 필요 없지만, 원래 C# 코드를 담은 파일의 확장자를 .cs로 주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그런 때를 위해 명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cs_dynamic_compile_debug_1.png

그리고, 디버깅이 가능하려면 debug 모드로 빌드해야 하므로 옵션을 조정하고,

CSharpCompilationOptions options = new CSharpCompilationOptions(OutputKind.DynamicallyLinkedLibrary
                , optimizationLevel: OptimizationLevel.Debug);

동적 빌드된 어셈블리의 바이너리뿐만 아니라 PDB 정보까지도 출력하도록 바꾸고, 사용할 때도 Symbol 정보를 로드하도록 바꿉니다.

using (var symbolsStream = new MemoryStream())
using (var ms = new MemoryStream())
{
    EmitResult result = compilation.Emit(ms, pdbStream: symbolsStream);

    if (result.Success)
    {
        ms.Seek(0, SeekOrigin.Begin);
        symbolsStream?.Seek(0, SeekOrigin.Begin);

        Assembly assembly = AssemblyLoadContext.Default.LoadFromStream(ms, symbolsStream);
        var type = assembly.GetType("MyType");
        var instance = assembly.CreateInstance("MyType");
        var meth = type.GetMember("Print").First() as MethodInfo;
        meth.Invoke(instance, new[] { "World" });
    }
}

혹은 새로운 옵션인 embedded를 사용해,

닷넷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PDB 옵션 - full, pdbonly, portable, embedded
; https://www.sysnet.pe.kr/2/0/12554

다음과 같이 코드를 좀 더 간략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using (var ms = new MemoryStream())
{
    var emitOptions = new EmitOptions(debugInformationFormat: DebugInformationFormat.Embedded);

    EmitResult result = compilation.Emit(ms,
        options: emitOptions);

    if (result.Success)
    {
        ms.Seek(0, SeekOrigin.Begin);

        Assembly assembly = AssemblyLoadContext.Default.LoadFromStream(ms);
        var type = assembly.GetType("MyType");
        var instance = assembly.CreateInstance("MyType");
        var meth = type.GetMember("Print").First() as MethodInfo;
        meth.Invoke(instance, new[] { "World" });
    }
}

기본적인 준비는 여기까지가 끝입니다.




자, 이제 마지막 남은 것이 하나 있는데요, 바로 비주얼 스튜디오에게 동적으로 컴파일한 MyType.Print 메서드가 불렸을 때 화면에 어떤 소스 코드 파일을 로드해 보여줄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바로 그런 역할을 하는 것이 #line 지시자입니다. 따라서 동적 소스 코드를 포함한 dynamic_code.txt 파일에 다음의 정보를 포함하고,

 1 
 2 #line 3 "dynamic_code.txt"
 3 
 4 using System;
 5 using System.Text;
 6 
 7 public class MyType
 8 {
 9     public void Print(object obj)
10     {
11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12         sb.Append(DateTime.Now);
13 
14         Console.WriteLine("Hello: " + obj + " : " + sb.ToString());
15     }
16 }

빌드하면, 이제 C# 컴파일러는 해당 소스 코드가 "dynamic_code.txt" 파일에 있으며 기준점으로 3번째 라인에 매핑시켜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제 위의 소스 코드에 Breakpoint를 걸 수도 있고 실제로 디버그 모드로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BP도 잡히고 심지어 Watch 창에서 변숫값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s_dynamic_compile_debug_2.png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한 가지 가정을 해볼까요? 만약 제가 Razor 템플릿 개발자이고 다음과 같은 코드 양식을 사용했을 때,

@page
@{
    var name = string.Empty;
    if (Request.HasFormContentType)
    {
        name = Request.Form["name"];
    }
}
<div style="margin-top:30px;">
    <form method="post">
        <div>
            Name: <input name="name" />
        </div>
        <div>
            <input type="submit" />
        </div>
    </form>
</div>
<div>
    @if (!string.IsNullOrEmpty(name))
    {
    <p>Hello @name!</p>
    }
</div>

어떻게 저 razor 파일 내에 있는 C# 코드에 BP를 걸게 만들 수 있었을까요? ^^ 그렇습니다. 자동 생성된 코드에서 저 파일을 지정하도록 하면 되는 것입니다.

// sample.cshtml.g.cs

#line 3 "sample.cshtml"  // 위의 파일 이름이 sample.cshtml라고 가정
using System;
using System.Text;

// razor 파일을 C#으로 다루는 코드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2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18정성태11/15/20245308Windows: 272. Windows 11 24H2 - sudo 추가
13817정성태11/14/20244945Linux: 106. eBPF / bpf2go - (BPF_MAP_TYPE_HASH) Map을 이용한 전역 변수 구현
13816정성태11/14/20245400닷넷: 2312. C#, C++ - Windows / Linux 환경의 Thread Name 설정파일 다운로드1
13815정성태11/13/20244822Linux: 105. eBPF - bpf2go에서 전역 변수 설정 방법
13814정성태11/13/20245294닷넷: 2311. C# - Windows / Linux 환경에서 Native Thread ID 가져오기파일 다운로드1
13813정성태11/12/20245053닷넷: 2310. .NET의 Rune 타입과 emoji 표현파일 다운로드1
13812정성태11/11/20245275오류 유형: 933. Active Directory - The forest functional level is not supported.
13811정성태11/11/20244862Linux: 104. Linux - COLUMNS 환경변수가 언제나 80으로 설정되는 환경
13810정성태11/10/20245391Linux: 103. eBPF (bpf2go) - Tracepoint를 이용한 트레이스 (BPF_PROG_TYPE_TRACEPOINT)
13809정성태11/10/20245267Windows: 271. 윈도우 서버 2025 마이그레이션
13808정성태11/9/20245272오류 유형: 932. Linux - 커널 업그레이드 후 "error: bad shim signature" 오류 발생
13807정성태11/9/20244996Linux: 102. Linux - 커널 이미지 파일 서명 (Ubuntu 환경)
13806정성태11/8/20244917Windows: 270. 어댑터 상세 정보(Network Connection Details) 창의 내용이 비어 있는 경우
13805정성태11/8/20244749오류 유형: 931. Active Directory의 adprep 또는 복제가 안 되는 경우
13804정성태11/7/20245379Linux: 101. eBPF 함수의 인자를 다루는 방법
13803정성태11/7/20245337닷넷: 2309. C# - .NET Core에서 바뀐 DateTime.Ticks의 정밀도
13802정성태11/6/20245719Windows: 269. GetSystemTimeAsFileTime과 GetSystemTimePreciseAsFileTime의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3801정성태11/5/20245493Linux: 100. eBPF의 2가지 방식 - libbcc와 libbpf(CO-RE)
13800정성태11/3/20246341닷넷: 2308. C# - ICU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문자열의 대소문자 변환 [2]파일 다운로드1
13799정성태11/2/20244922개발 환경 구성: 732. 모바일 웹 브라우저에서 유니코드 문자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13798정성태11/2/20245526개발 환경 구성: 731. 유니코드 - 출력 예시 및 폰트 찾기
13797정성태11/1/20245515C/C++: 185. C++ - 문자열의 대소문자를 변환하는 transform + std::tolower/toupper 방식의 문제점파일 다운로드1
13796정성태10/31/20245396C/C++: 184. C++ - ICU dll을 이용하는 예제 코드 (Windows)파일 다운로드1
13795정성태10/31/20245179Windows: 268. Windows - 리눅스 환경처럼 공백으로 끝나는 프롬프트 만들기
13794정성태10/30/20245272닷넷: 2307.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3793정성태10/28/20245149C/C++: 183.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