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603. GoLand - WSL 환경과 연동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893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1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592. JetBrains의 IDE(예를 들어, PyCharm)에서 Visual Studio 키보드 매핑 적용
; https://www.sysnet.pe.kr/2/0/12752

개발 환경 구성: 595. PyCharm - WSL과 연동해 Django App을 윈도우에서 리눅스 대상으로 개발
; https://www.sysnet.pe.kr/2/0/12773

개발 환경 구성: 597. PyCharm - 윈도우 환경에서 WSL을 이용해 파이썬 앱 개발/디버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789

개발 환경 구성: 598. PyCharm - 원격 프로세스를 디버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798

개발 환경 구성: 599. PyCharm - (반대로) 원격 프로세스가 PyCharm에 디버그 연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00

개발 환경 구성: 601. PyCharm - 다중 프로세스 디버깅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06

스크립트: 26. 파이썬 - PyCharm을 이용한 fork 디버그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23

개발 환경 구성: 603. GoLand - WSL 환경과 연동
; https://www.sysnet.pe.kr/2/0/12825

개발 환경 구성: 673. JetBrains IDE에서 "Squash Commits..." 메뉴가 비활성화된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3318

개발 환경 구성: 679. PyCharm(을 비롯해 JetBrains에 속한 여타) IDE에서 내부 Window들의 탭이 없어진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3369

개발 환경 구성: 697. GoLand에서 ldflags 지정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89




GoLand - WSL 환경과 연동

JetBrains의 도구들이 좋은 점이 있다면, 제법 IDE 간에 설정을 공통화시켰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PyCharm 설정을 해 본 적이 있다면,

PyCharm - 윈도우 환경에서 WSL을 이용해 파이썬 앱 개발/디버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789

GoLand도 역시 쉽게 할 수 있습니다. 물론, 다음과 같이 공식 문서도 있습니다.

Create a run configuration for WSL
; https://www.jetbrains.com/help/go/how-to-use-wsl-development-environment-in-product.html#wsl_run_target

자, 그럼 따라해 볼까요? ^^

간단하게 "Run/Debug Configurations" 창에서 "Run on:" 항목을 "WSL"로 선택하면,

goland_wsl_1.png

"New Target: WSL" 창이 뜬 후 해당 WSL 환경 내의 go 설치 여부 등을 확인합니다. 그다음 아래와 같은 창이 뜨고,

goland_wsl_2.png

Go 컴파일러의 위치를 확인만 해주면 끝입니다. ^^ 이 상태에서 Run 또는 Debug를 하면, "PyCharm - 윈도우 환경에서 WSL을 이용해 파이썬 앱 개발/디버깅하는 방법"에서와 마찬가지로 현재의 디렉터리(위의 예제에서는 d:\gowork\work\hello)를 WSL에서 접근 가능한 디렉터리(/mnt/d/gowork/work/hello)로 자동 변경하기 때문에 아래의 예제와 같은 실행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ackage main

import (
    "fmt"
    "os"
)

func main() {
    fmt.Println("Hello Go World")
    fmt.Println(os.Getwd())
}

/* 출력 결과
Hello Go World
/mnt/d/gowork/work/hello
*/

엄청 편하죠? ^^ 당연히 BP를 걸어 디버깅하는 것도 WSL 환경의 실행을 기준으로 진행됩니다.




그렇다면 혹시 PyCharm처럼,

PyCharm - (반대로) 원격 프로세스가 PyCharm에 디버그 연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00

제 PC의 GoLand는 디버깅을 대기하고, 원격 프로세스가 제 PC로 디버깅 세션을 연결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아쉽게도 이런 방법은 없는 것 같고 대신 "attach" 시키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문서로. ^^

Attach to running Go processes with the debugger
; https://www.jetbrains.com/help/go/attach-to-running-go-processes-with-debugger.html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3/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30정성태8/20/200621597개발 환경 구성: 9. VPC로 구성하는 개인 환경
328정성태8/20/200639598개발 환경 구성: 8. AppVerifier 사용법 [1]
327정성태8/16/200636355개발 환경 구성: 7. ActiveX 서명 과정 자동화 [1]
326정성태8/16/200630220Team Foundation Server: 13. Sysnet 웹 사이트 TFS Migration
322정성태8/15/200625022개발 환경 구성: 6. 4GB 메모리 구성 [1]
316정성태9/20/200644641디버깅 기술: 6. .NET 예외 처리 정리 [6]
309정성태12/27/200645537디버깅 기술: 5. PDB 이야기 [7]
310정성태8/5/200632362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WinForm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파일 다운로드1
311정성태8/10/200632358    답변글 디버깅 기술: 5.2.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Application Project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
312정성태8/5/200634619    답변글 디버깅 기술: 5.3.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Site Model 유형의 프로젝트
313정성태8/12/200633555    답변글 디버깅 기술: 5.4.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1)
317정성태8/12/200630736    답변글 디버깅 기술: 5.5.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2)
318정성태8/12/200637362    답변글 디버깅 기술: 5.6.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319정성태8/12/200632287    답변글 디버깅 기술: 5.7.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2) [1]
320정성태8/12/200636419    답변글 디버깅 기술: 5.8. WinDBG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321정성태8/13/200641244    답변글 디버깅 기술: 5.9. Microsoft의 PDB 파일 관리
323정성태8/15/200642515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0. Symbol Server 생성 [4]
324정성태8/15/200638739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1. PDB 파일과 소스 코드
325정성태9/8/200631854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2. CCP를 이용한 Windows Source Code 수준의 디버깅
329정성태8/19/200630402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3. 소스 서버 구성 [1]
332정성태8/20/200632062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4. GAC 에 등록된 Assembly 디버그 [2]
341정성태9/16/200624335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5. [내용 예약]
342정성태9/16/200642196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6. ASP.NET 디버깅 환경 구성 [1]파일 다운로드1
306정성태2/13/200721361기타: 15. .NET 이 생산성이 높다는 증거(!)
304정성태7/21/200623639VS.NET IDE: 41. 하위 폴더의 모든 프로젝트의 출력물을 제거 (Clean)
305정성태7/21/200623377    답변글 VS.NET IDE: 41.1. 하위 폴더의 모든 프로젝트의 출력물을 제거 (Clean) [1]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