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115. C# 10 - (14) 구조체 타입에 기본 생성자 정의 가능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8575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5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094. C# 10 - (1) 구조체를 생성하는 record struct
; https://www.sysnet.pe.kr/2/0/12790

.NET Framework: 1096. C# 10 - (2) 전역 네임스페이스 선언
; https://www.sysnet.pe.kr/2/0/12792

.NET Framework: 1097. C# 10 - (3) 개선된 변수 초기화 판정
; https://www.sysnet.pe.kr/2/0/12793

.NET Framework: 1099. C# 10 - (4) 상수 문자열에 포맷 식 사용 가능
; https://www.sysnet.pe.kr/2/0/12796

.NET Framework: 1100. C# 10 - (5) 속성 패턴의 개선
; https://www.sysnet.pe.kr/2/0/12799

.NET Framework: 1101. C# 10 - (6) record class 타입의 ToString 메서드를 sealed 처리 허용
; https://www.sysnet.pe.kr/2/0/12801

.NET Framework: 1103. C# 10 - (7) Source Generator V2 APIs
; https://www.sysnet.pe.kr/2/0/12804

.NET Framework: 1104. C# 10 - (8) 분해 구문에서 기존 변수의 재사용 가능
; https://www.sysnet.pe.kr/2/0/12805

.NET Framework: 1105. C# 10 - (9) 비동기 메서드가 사용할 AsyncMethodBuilder 선택 가능
; https://www.sysnet.pe.kr/2/0/12807

.NET Framework: 1108. C# 10 - (10) 개선된 #line 지시자
; https://www.sysnet.pe.kr/2/0/12812

.NET Framework: 1109. C# 10 - (11) Lambda 개선
; https://www.sysnet.pe.kr/2/0/12813

.NET Framework: 1113. C# 10 - (12) 문자열 보간 성능 개선
; https://www.sysnet.pe.kr/2/0/12826

.NET Framework: 1114. C# 10 - (13) 단일 파일 내에 적용되는 namespace 선언
; https://www.sysnet.pe.kr/2/0/12828

.NET Framework: 1115. C# 10 - (14) 구조체 타입에 기본 생성자 정의 가능
; https://www.sysnet.pe.kr/2/0/12829

.NET Framework: 1116. C# 10 - (15) CallerArgumentExpression 특성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2835




C# 10 - (14) 구조체 타입에 기본 생성자 정의 가능

그동안, 구조체에 기본 생성자를 정의할 수 있게 해달라는 요구 사항이 있었지만 지금까지 미뤄오던 마이크로소프트가 드디어 ^^ C# 10에서 이 기능을 제공하게 되었습니다. 아마도 이번 역시 record struct가 나오면서 기본 생성자가 없는 record 정의가 기존의 record class에 비해 제약이 많아 더 미룰 수 없어 지원하게 된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그나저나, 아래에서 나열한 것들을 보면... 단지 기본 생성자 하나에 이렇게나 많이 주변 상황이 엮이는 것을 보면... 이 기능을 지원하지 않았던 마이크로소프트의 심정을 조금은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제목에서처럼 이제 구조체에 기본 생성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public struct S
{
    public int i;

    public S() { i = 10; }
}

// Get the default value of a type at runtime (Activator.CreateInstance vs untimeHelpers.GetUninitializedObject)
// https://www.meziantou.net/get-the-default-value-of-a-type-at-runtime.htm

다소 헷갈릴 수 있지만 아래의 경우는 (기본 생성자가 아닌) 기본값이 설정된 인자를 가진 생성자이기 때문에 (구조체의 기본 생성자를 호출하기 위한) new() 코드에서는 바인딩이 되지 않습니다.

struct S1 
{ 
    public S1(string s = "test") 
    {
        Console.WriteLine(s);
    }
}

struct S2 
{ 
    public S2(params object[] args) 
    {
        Console.WriteLine(args.Length);
    } 
}

public class Test
{
    public void Create()
    {
        {
            S1 instance1 = new S1(); // S1 생성자 호출이 되지 않음
            S2 instance2 = new S2(); // S2 생성자 호출이 되지 않음
        }

        {
            S1 instance1 = new S1(s: "test5"); // 명시적으로 인자를 가진 생성자 호출
            S2 instance2 = new S2(args: "test5"); // 명시적으로 인자를 가진 생성자 호출
        }
    }
}

아울러 (대부분의 경우겠지만) 구조체가 필드를 가진다면 기본 생성자를 명시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반드시 모든 필드가 초기화되어야 합니다. 가령 다음과 같은 경우는 모두 컴파일 오류가 발생합니다.

struct Init0
{
    public int intField;
    public string textField;

    // intField의 초기화 누락: 컴파일 오류 - error CS0171: Field 'Init0.intField' must be fully assigned before control is returned to the caller
    public Init0()
    {
        textField = "None";
    }
}

struct Init1
{
    public int intField;
    public string textField;
    public float floatField = 0.5f;

    // textField 초기화 누락: error CS0171: Field 'Init1.textField' must be fully assigned before control is returned to the caller
    public Init1()
    {
        intField = 5;
    }
}

struct Init2
{
    public int intField;

    // 일단 생성자를 정의했다면 모든 필드를 초기화해야 함: error CS0171: Field 'Init2.intField' must be fully assigned before control is returned to the caller
    public Init2()
    {
    }
}

즉, 필드 선언에 초기화를 한 것과 생성자의 초기화를 합쳐 어쨌든 모든 필드가 초기화를 마쳐야만 합니다. 따라서 다음의 생성자 사용은 유효합니다.

struct Init3
{
    public int intField;
    public float floatField = 0.5f;
    
    // 필드 초기화와 생성자 초기화를 통해 모든 멤버 초기화 완료
    public Init3()
    {
        intField = 5;
    }
}

struct Init4
{
    public int intField = 5;
    public float floatField = 0.5f;

    // 모든 필드 초기화로 생성자에서는 초기화 코드 필요 없음
    public Init4()
    {
    }
}

struct Init5
{
    public int intField;
    public float floatField;

    // 생성자에서 모든 필드 초기화
    public Init5()
    {
        intField = 5;
        floatField = 0.5f;
    }
}

필드 초기화의 경우 결국 생성자의 코드로 병합이 됩니다. 생성자 내의 초기화 순서상으로 보면 필드 초기화 코드가 먼저 오고, 이후 생성자에 명시한 코드가 옵니다. 따라서, 위의 Init3, Init4 구조체는 결국 다음과 같이 생성자의 코드로 병합이 됩니다.

struct Init3
{
    public int intField;
    public float floatField; // = 0.5f;
    
    public Init3()
    {
        floatField = 0.5f; // 필드 초기화 먼저!
        intField = 5;
    }
}

struct Init4
{
    public int intField; // = 5;
    public float floatField; // = 0.5f;

    public Init4()
    {
        // 소스 코드에 명시한 순서로 초기화
        intField = 5;
        float floatField = 0.5f;
    }
}

따라서 필드 초기화를 한 경우 생성자에서도 중복돼 있다면 생성자의 코드가 최종 값이 됩니다. 또한 필드 초기화는 인자를 갖는 생성자가 있다면 그곳에도 함께 병합이 됩니다.

struct Init6
{
    public int intField = 5;
    public float floatField;

    public Init6()
    {
        // 이곳에 intField = 5 코드가 삽입됨
        floatField = 5.0f;
    }

    public Init6(float value)
    {
        // 이곳에도 intField = 5 코드가 삽입됨
        floatField = value;
    }
}




유의할 것은, 기본 생성자를 정의했다고 해서 new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구조체 인스턴스가 선언되었을 때 자동으로 생성자가 불리지는 않습니다

public static class Program
{
    static void WriteValue(Person instance)
    {
        Console.WriteLine(instance.Age);
        Console.WriteLine(instance.Name);
    }

    public static void Main()
    {
        {
            Person instance; // 기본 생성자가 호출된 것은 아니므로!

            // 컴파일 에러 - error CS0165: Use of unassigned local variable 'instance'
            WriteValue(instance);
        }

        {
            Person instance; // 생성자가 호출되지는 않았지만,

            // 모든 필드를 초기화했으므로,
            instance.Age = 35;
            instance.Name = "Anders";

            // 정상적으로 호출 가능
            WriteValue(instance);
        }

        {
            Person instance = new Person(); // 기본 생성자가 호출돼 모든 필드가 초기화되었으므로!
            WriteValue(instance); // 컴파일 가능
        }
    }
}

public struct Person
{
    public int Age;
    public string Name;

    public Person()
    {
        Age = 1;
        Name = "Doe";
    }
}

위에서 보는 것처럼, C# 컴파일러는 해당 구조체의 멤버가 사용되기 전 초기화가 안 되었음을 알고 있으므로 그에 따른 컴파일 오류를 냅니다. 하지만, 이런 필드 초기화 판단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는데, 다음과 같이 인자가 있는 생성자를 가진 구조체에 대해 new를 하는 경우입니다.

struct S
{
    public int i = 5;

    public S(int i) { this.i = i; }
}

public class Test
{
    static T CreateNew<T>() where T : new() => new T(); // 기본 생성자가 없으면 무시, 있으면 호출

    public void Create()
    {
        // 클래스의 경우 기본 생성자 없이 인자만 가진 생성자가 있으면 컴파일 오류가 발생하지만,
        // 구조체의 경우에는 가능
        {
            S instance = new S(); // 필드 i가 초기화되지 않았지만 컴파일 성공
                                  // 공식 문서에서는 경고가 발생한다고 하지만, 현재 테스트로는 경고 없음
            Console.WriteLine(instance.i); // 출력 결과: 0
        }

        {
            S instance = CreateNew<S>(); // 필드 i가 초기화되지 않았지만 컴파일 성공
            Console.WriteLine(instance.i); // 출력 결과: 0
        }
    }
}

new의 또 다른 사례로, 메서드의 기본 값 구문에 사용된다면 기본 생성자를 가진 인스턴스는 컴파일 오류가 발생합니다.

public struct WithCtor
{
    public WithCtor() {  }
}

public struct WithoutCtor
{
}

public class Test
{
    // 기본 생성자를 가진 타입의 경우
    // 컴파일 오류 - error CS1736: Default parameter value for 'instance' must be a compile-time constant
    public void Default(WithCtor instance = new()) 
    {
    }

    // 기본 생성자가 없는 타입의 경우 - 컴파일 허용
    public void Default(WithoutCtor instance = new())
    {
    }
}

또한, 구조체 내에 구조체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생성자가 호출되지 않고,

struct S0
{
    public S0() { } // 생성자를 가진 S0 타입
}

struct S1
{
    S0 F; // S0 생성자 호출 없음
}

struct S<T> where T : struct
{
    T F; // 형식 인자 T로 생성자를 가진 구조체가 와도 생성자 호출 없음
}

default 식도 생성자를 배려하지 않으며,

_ = default(S0); // S0 타입이 생성자가 있어도 호출되지는 않음

배열에서도 생성자 호출은 없습니다.

struct S { public S() { } }

var a = new S[10]; // 10개의 구조체 모두 생성자 호출은 없음




클래스와는 달리 구조체의 경우 public 이외의 접근자를 가진 기본 생성자를 정의할 수 없습니다.

struct S1 { public S1() { } } // 가능

// 컴파일 오류 - error CS8958: The parameterless struct constructor must be 'public'.
struct S2 { internal S2() { } }

따라서 Factory 패턴이나, Singleton 패턴을 구현하기에는 적당하지 않습니다.




this를 이용해 생성자 간에 연결은 가능하지만,

public struct Vector
{
    public float X;
    public float Y;

    public Vector() : this(0.0f, 0.0f)
    {
    }

    public Vector(float x, float y)
    {
        this.X = x;
        this.Y = y;
    }
}

base 호출은 할 수 없습니다.

public struct Point
{
    public int X;
    public int Y;

    // 컴파일 오류 - error CS0522: 'Point': structs cannot call base class constructors
    public Point() : base()
    {
        X = 0;
        Y = 0;
    }
}

사실 모든 struct는 sealed 유형이므로 상속이 불가능해 base 생성자를 호출하는 것이 (굳이 막을 필요도 없었겠지만) 의미가 없긴 합니다.




당연히 위의 모든 변화는 record struct에도 반영이 되고, 원칙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습니다.

record struct R1
{ 
    int F = 42; // 기본 생성자에서 초기화
}

record struct R2(int F)
{ 
    int F = F;  // (기본 생성자가 아닌) int F를 인자로 받는 생성자에서 초기화
}

record struct R3(int F)
{
    public R3() : this(0) { } // 반드시 (int F) 생성자 호출을 해 필드 초기화
}

위의 코드는 record struct가 가진 몇몇 특이함을 보여줍니다. 가령 R3 구조체의 경우, "record struct R3(int F)"로 인해 추가되는 생성자를 this로 호출하지 않고, 다음과 같이 초기화 코드를 포함하는 식으로 바꿔도 오류가 발생합니다.

record struct R3(int F) // 이렇게 생성자가 정의되는 경우,
{
    // 필드 초기화를 했어도 컴파일 오류, 반드시 this로 연계해 필드 초기화
    // error CS8862: A constructor declared in a record with parameter list must have 'this' constructor initializer.
    public R3() { this.F = 0; }
}

또한 R2의 경우 굳이 필드 초기화를 할 필요가 없어 다음의 코드와 동일합니다.

record struct R2(int F);

즉, R1과 R2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생성자 코드에 병합됩니다.

record struct R1
{ 
    int F; // = 42; 

    public R1() // 인자 없는 생성자에 병합
    {   
        F = 42;
    }
}

record struct R2(int F)
{ 
    int F; // = F; 

    public R2(int F) // 기존의 생성자 코드에 병합
    {
        this.F = F;
    }
}

마지막으로 현실적인 사용 사례로 봤을 때, C# 10에서 struct의 기본 생성자를 허용하게 된 것은, 결국 다음과 같이 record class/struct를 동일한 방식의 초기화 코드로 다룰 수 있도록 만들고 싶었기 때문일 듯합니다.

record struct Student()
{
    public string Name { get; init; } = "";
    public object Id { get; init; } = DateTime.Now;
    public int Age { get; init; } = 0;
}

record class Teacher()
{
    public string Name { get; init; } = "";
    public object Id { get; init; } = DateTime.Now;
    public int Age { get; init; } = 0;
}




C# 10 - (1) 구조체를 생성하는 record struct (공식 문서, Static Abstract Members In Interfaces C# 10 Preview)
; https://www.sysnet.pe.kr/2/0/12790

C# 10 - (2) 전역 네임스페이스 선언 (공식 문서, Global Using Directive)
; https://www.sysnet.pe.kr/2/0/12792

C# 10 - (3) 개선된 변수 초기화 판정 (공식 문서, Improved Definite Assignment)
; https://www.sysnet.pe.kr/2/0/12793

C# 10 - (4) 상수 문자열에 포맷 식 사용 가능 (공식 문서, Constant Interpolated Strings)
; https://www.sysnet.pe.kr/2/0/12796

C# 10 - (5) 속성 패턴의 개선 (공식 문서, Extended property patterns)
; https://www.sysnet.pe.kr/2/0/12799

C# 10 - (6) record class 타입의 ToString 메서드를 sealed 처리 허용 (공식 문서, Sealed record ToString)
; https://www.sysnet.pe.kr/2/0/12801

C# 10 - (7) Source Generator V2 APIs (Source Generator V2 APIs)
; https://www.sysnet.pe.kr/2/0/12804

C# 10 - (8) 분해 구문에서 기존 변수의 재사용 가능 (공식 문서, Mix declarations and variables in deconstruction)
; https://www.sysnet.pe.kr/2/0/12805

C# 10 - (9) 비동기 메서드가 사용할 AsyncMethodBuilder 선택 가능 (공식 문서, Async method builder override); 
; https://www.sysnet.pe.kr/2/0/12807

C# 10 - (10) 개선된 #line 지시자 (공식 문서, Enhanced #line directive)
; https://www.sysnet.pe.kr/2/0/12812

C# 10 - (11) Lambda 개선 (공식 문서 1, 공식 문서 2, Lambda improvements) 
; https://www.sysnet.pe.kr/2/0/12813

C# 10 - (12) 문자열 보간 성능 개선 (공식 문서, Interpolated string improvements)
; https://www.sysnet.pe.kr/2/0/12826

C# 10 - (13) 단일 파일 내에 적용되는 namespace 선언 (공식 문서, File-scoped namespace)
; https://www.sysnet.pe.kr/2/0/12828

C# 10 - (14) 구조체 타입에 기본 생성자 정의 가능 (공식 문서, Parameterless struct constructors)
; https://www.sysnet.pe.kr/2/0/12829

C# 10 - (15) CallerArgumentExpression 특성 추가 (공식 문서, Caller expression attribute)
; https://www.sysnet.pe.kr/2/0/12835

Language Feature Status
; https://github.com/dotnet/roslyn/blob/main/docs/Language%20Feature%20Status.md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16/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730정성태8/11/201422164개발 환경 구성: 234. Royal TS의 터미널(Terminal) 연결에서 한글이 깨지는 현상 해결 방법
1729정성태8/11/201418221오류 유형: 236. SqlConnection - The requested Performance Counter is not a custom counter, it has to be initialized as ReadOnly.
1728정성태8/8/201430275.NET Framework: 453. C# - 오피스 파워포인트(Powerpoint) 파일을 WinForm에서 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727정성태8/6/201420507오류 유형: 235. SignalR 오류 메시지 - Counter 'Messages Bus Messages Published Total' does not exist in the specified Category. [2]
1726정성태8/6/201419396오류 유형: 234. IIS Express에서 COM+ 사용 시 SecurityException - "Requested registry access is not allowed" 발생
1725정성태8/6/201421348오류 유형: 233. Visual Studio 2013 Update3 적용 후 Microsoft.VisualStudio.Web.PageInspector.Runtime 모듈에 대한 FileNotFoundException 예외 발생
1724정성태8/5/201426102.NET Framework: 452. .NET System.Threading.Thread 개체에서 Native Thread Id를 구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파일 다운로드1
1723정성태7/29/201458356개발 환경 구성: 233. DirectX 9 예제 프로젝트 빌드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722정성태7/25/201421052오류 유형: 232. IIS 500 Internal Server Error - NTFS 암호화된 폴더에 웹 애플리케이션이 위치한 경우
1721정성태7/24/201424060.NET Framework: 451. 함수형 프로그래밍 개념 - 리스트 해석(List Comprehension)과 순수 함수 [2]
1720정성태7/23/201422077개발 환경 구성: 232. C:\WINDOWS\system32\LogFiles\HTTPERR 폴더에 로그 파일을 남기지 않는 설정
1719정성태7/22/201426034Math: 13. 동전을 여러 더미로 나누는 경우의 수 세기(Partition Number)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718정성태7/19/201435293Math: 12. HTML에서 수학 관련 기호/수식을 표현하기 위한 방법 - MathJax.js [4]
1716정성태7/17/201435004개발 환경 구성: 231. PC 용 무료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 - genymotion
1715정성태7/13/201430602기타: 47. 운영체제 종료 후에도 USB 외장 하드의 전원이 꺼지지 않는 경우 [3]
1714정성태7/11/201420891VS.NET IDE: 92. Visual Studio 2013을 지원하는 IL Support 확장 도구
1713정성태7/11/201444603Windows: 98. 윈도우 시스템 디스크 용량 확보를 위한 "Package Cache" 폴더 이동 [1]
1712정성태7/10/201432860.NET Framework: 450. 영문 윈도우에서 C# 콘솔 프로그램의 유니코드 출력 방법 [3]
1711정성태7/10/201438050Windows: 97. cmd.exe 창에서 사용할 폰트를 추가하는 방법 [1]
1710정성태7/8/201430582개발 환경 구성: 230. 유니코드의 Surrogate Pair, Supplementary Characters가 뭘까요?파일 다운로드2
1709정성태7/8/201427378VS.NET IDE: 91. Visual Studio에서 32/64비트 IIS Express 실행하는 방법
1708정성태7/7/201424752VS.NET IDE: 90. Visual Studio - 사용자 정의 정적 분석 규칙 만드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707정성태7/4/201423018.NET Framework: 449. C#에서 C++로 VARIANT 넘겨주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706정성태7/3/201421427.NET Framework: 448. .NET SmartClient 컨트롤을 윈도우 8/2012에서 활성화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705정성태7/2/201435055VC++: 78. 보이어-무어(Boyer-Moore) 알고리즘이 정말 빠를까? [6]파일 다운로드1
1704정성태7/2/201421642.NET Framework: 447. w3wp.exe AppPool 재생(recycle)하는 방법 정리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