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0개 있습니다.)
Windows: 148. Windows - Raw Input의 Top level collection 의미
; https://www.sysnet.pe.kr/2/0/11612

.NET Framework: 788. RawInput을 이용한 키보드/마우스 입력 모니터링
; https://www.sysnet.pe.kr/2/0/11615

개발 환경 구성: 488. (User-mode 코드로 가상 USB 장치를 만들 수 있는) USB/IP PROJECT 소개
; https://www.sysnet.pe.kr/2/0/12213

개발 환경 구성: 490. C# - (Wireshark의) USBPcap을 이용한 USB 패킷 모니터링
; https://www.sysnet.pe.kr/2/0/12215

.NET Framework: 904. USB/IP PROJECT를 이용해 C#으로 USB Keyboard 가상 장치 만들기
; https://www.sysnet.pe.kr/2/0/12216

.NET Framework: 905. C# - DirectX 게임 클라이언트 실행 중 키보드 입력을 감지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18

.NET Framework: 917. C# - USB 관련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이용한 키보드 입력을 감지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46

.NET Framework: 990. C# - SendInput Win32 API를 이용한 가상 키보드/마우스
; https://www.sysnet.pe.kr/2/0/12469

.NET Framework: 1062. Windows Forms - 폼 내에서 발생하는 마우스 이벤트를 자식 컨트롤 영역에 상관없이 수신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660

개발 환경 구성: 607. 로컬의 USB 장치를 원격 머신에 제공하는 방법 - usbip-win
; https://www.sysnet.pe.kr/2/0/12858




로컬의 USB 장치를 원격 머신에 제공하는 방법 - usbip-win

예전에, usbip-win 프로젝트를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USB/IP PROJECT를 이용해 C#으로 USB Keyboard 가상 장치 만들기
; https://www.sysnet.pe.kr/2/0/12216

그런데, 근래에 다시 들어가보니 뭔가 좀 많이 바뀌었습니다.

cezanne / usbip-win
; https://github.com/cezanne/usbip-win

전에는, 사용자가 USB 장치를 만드는 프로그램을 연결할 수 있는 device driver였는데, 지금은 그 기능이 동작하지 않습니다. 실제로 "USB/IP PROJECT를 이용해 C#으로 USB Keyboard 가상 장치 만들기" 글에서 만든 프로그램을 device driver만 새로운 코드로 빌드한 것을 설치하면 동작하지 않습니다. 뭔가, 프로토콜이 바뀐 것인지... 아니면 아예 그 기능을 지원하지 않기로 한 것인지... 모르겠지만, 딱히 문서에 나와 있지 않아서 판단이 안 되는군요. ^^




일단, 현재 "cezanne / usbip-win" 프로젝트의 README에 나온 대로 어떤 기능을 하는 것인지 직접 실습을 해볼까요? ^^

이를 위해 컴퓨터가 2대(A와 B 컴퓨터) 있어야 합니다. 2대 모두, usbip-win 프로젝트를 빌드해 생성한 device driver를 설치하면,

// 설치 전에 usbip_tset.pfx를 Local Computer 영역의 "Trusted Publishers", "Trusted Root Certification Authority"에 등록해야 함

c:\temp> usbip install
usbip: info: vhci(ude) driver installed successfully

다음 화면과 같이 "Universal Serial Bus Controllers" 영역에 "usbip-win VHCI(ude)" 장치가 올라온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usbip_ude_1.png

이후 USB 장치를 공유할 A 컴퓨터에서 서버를 실행해 두어야 하는데요, 이를 위해 우선 공유할 USB 장치의 식별자를 확인한 다음,

C:\temp> usbip list -l
...[생략]...
 - busid 1-214 (046d:c042)
   Logitech, Inc. : G3 Laser Mouse (046d:c042)

원하는 장치의 busid(위의 경우 마우스가 1-214로 식별)를 이용해 (stub 드라이버로) 바인딩합니다.

C:\temp> usbip bind -b 1-214
usbip: info: bind device on busid 1-214: complete

위의 명령어가 수행되면, 대응하는 장치가 A 컴퓨터로부터 해제됩니다. 위의 경우 마우스를 바인딩했으므로 장치 관리자에서 "Mice and other pointing devices" 목록에서 해당 마우스가 제거됩니다. 그리고, 그 장치의 기능을 외부로 우회시키는 가상 장치가 새롭게 "System devices" 하위에 "USB/IP STUB"으로 생성됩니다.

이제, 해당 장치를 외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소켓 서버를 하나 띄워 두는 것으로 서버 측 준비는 마무리합니다.

C:\temp> usbipd -4 -d
usbipd: info: starting usbipd (usbip-win 0.3.5)
usbipd: debug: usbipd_sock.c:38:[build_sockfd] opening 0.0.0.0:3240
usbipd: info: listening on 0.0.0.0:3240

보는 바와 같이 3240 포트를 사용하므로 외부 컴퓨터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방화벽을 열어두어야 합니다.




자, 이제 다른 B 컴퓨터에서 A 컴퓨터의 바인딩된 USB 장치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C:\temp> usbip attach -r [...USB 장치를 제공하는 IP 주소...] -b 1-214
successfully attached to port 0

그럼, B 컴퓨터의 장치 관리자에는 그에 해당하는 장치가 새롭게 생성되는데, 위의 경우에는 마우스 장치가 추가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바인딩시켰던 A 컴퓨터의 마우스를 움직여보면, 그 동작이 "usbip attach ..."를 실행한 B 컴퓨터 측에서 이뤄집니다.




자, 그럼 이제 해제 단계를 볼까요?

우선, B 컴퓨터 측에서 마우스 장치를 detach 시킬 수 있습니다.

// 3240은 A 컴퓨터에 실행해 두었던 소켓 서버의 포트 번호

C:\temp> usbip detach -p 3240
port 3240 is successfully detached

A 컴퓨터 측에서도 장치 제공을 하고 싶지 않다면 단순히 usbipd 프로그램을 종료시키면 됩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바인딩이 풀린 것은 아니므로 여전히 USB 장치는 A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명시적으로 바인딩을 해제해 관련 장치 드라이버를 내려야 합니다.

C:\temp> usbip bind -b 1-214
usbip: info: bind device on busid 1-214: complete




이 글의 동작을 이해했으면, 이제 아래 글의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

Connecting USB devices to WSL
; https://devblogs.microsoft.com/commandline/connecting-usb-devices-to-wsl/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3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936정성태6/10/201918351Math: 58. C# - 최소 자승법의 1차, 2차 수렴 그래프 변화 확인 [2]파일 다운로드1
11935정성태6/9/201919910.NET Framework: 843. C# - PLplot 출력을 파일이 아닌 Window 화면으로 변경
11934정성태6/7/201921238VC++: 133. typedef struct와 타입 전방 선언으로 인한 C2371 오류파일 다운로드1
11933정성태6/7/201919585VC++: 132. enum 정의를 C++11의 enum class로 바꿀 때 유의할 사항파일 다운로드1
11932정성태6/7/201918754오류 유형: 544. C++ - fatal error C1017: invalid integer constant expression파일 다운로드1
11931정성태6/6/201919294개발 환경 구성: 441. C# - CairoSharp/GtkSharp 사용을 위한 프로젝트 구성 방법
11930정성태6/5/201919815.NET Framework: 842. .NET Reflection을 대체할 System.Reflection.Metadata 소개 [1]
11929정성태6/5/201919390.NET Framework: 841. Windows Forms/C# - 클립보드에 RTF 텍스트를 복사 및 확인하는 방법 [1]
11928정성태6/5/201918156오류 유형: 543. PowerShell 확장 설치 시 "Catalog file '[...].cat' is not found in the contents of the module" 오류 발생
11927정성태6/5/201919363스크립트: 15. PowerShell ISE의 스크립트를 복사 후 PPT/Word에 붙여 넣으면 한글이 깨지는 문제 [1]
11926정성태6/4/201919919오류 유형: 542. Visual Studio - pointer to incomplete class type is not allowed
11925정성태6/4/201919747VC++: 131. Visual C++ - uuid 확장 속성과 __uuidof 확장 연산자파일 다운로드1
11924정성태5/30/201921379Math: 57. C# - 해석학적 방법을 이용한 최소 자승법 [1]파일 다운로드1
11923정성태5/30/201921010Math: 56. C# - 그래프 그리기로 알아보는 경사 하강법의 최소/최댓값 구하기파일 다운로드1
11922정성태5/29/201918520.NET Framework: 840. ML.NET 데이터 정규화파일 다운로드1
11921정성태5/28/201924380Math: 55. C# - 다항식을 위한 최소 자승법(Least Squares Method)파일 다운로드1
11920정성태5/28/201916049.NET Framework: 839. C# - PLplot 색상 제어
11919정성태5/27/201920296Math: 54. C# - 최소 자승법의 1차 함수에 대한 매개변수를 단순 for 문으로 구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918정성태5/25/201921140Math: 53. C# - 행렬식을 이용한 최소 자승법(LSM: Least Square Method)파일 다운로드1
11917정성태5/24/201922119Math: 52. MathNet을 이용한 간단한 통계 정보 처리 - 분산/표준편차파일 다운로드1
11916정성태5/24/201919936Math: 51. MathNET + OxyPlot을 이용한 간단한 통계 정보 처리 - Histogram파일 다운로드1
11915정성태5/24/201923055Linux: 11. 리눅스의 환경 변수 관련 함수 정리 - putenv, setenv, unsetenv
11914정성태5/24/201922028Linux: 10. 윈도우의 GetTickCount와 리눅스의 clock_gettime파일 다운로드1
11913정성태5/23/201918757.NET Framework: 838. C# - 숫자형 타입의 bit(2진) 문자열, 16진수 문자열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912정성태5/23/201918721VS.NET IDE: 137. Visual Studio 2019 버전 16.1부터 리눅스 C/C++ 프로젝트에 추가된 WSL 지원
11911정성태5/23/201917485VS.NET IDE: 136. Visual Studio 2019 - 리눅스 C/C++ 프로젝트에 인텔리센스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