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610.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1225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610.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 https://www.sysnet.pe.kr/2/0/12863

개발 환경 구성: 611.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2) long_description, cmdclass 옵션
; https://www.sysnet.pe.kr/2/0/12865

개발 환경 구성: 612.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3) entry_points 옵션
; https://www.sysnet.pe.kr/2/0/12867

개발 환경 구성: 614.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4) package_data 옵션
; https://www.sysnet.pe.kr/2/0/12870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닷넷의 NuGet처럼, 파이썬에는 PyPI 저장소가 있는데요, 바로 그곳에 파이썬으로 만든 패키지(흔한 말로 라이브러리)를 올리는 실습을 해보겠습니다.

Find, install and publish Python packages with the Python Package Index
; https://pypi.org/

등록할 패키지는 테스트 삼아 간단하게 다음의 코드로 합니다.

# iputil.py

import requests


def get():
    """
    Get my Public IP in Python
    ; https://pytutorial.com/python-get-public-ip
    :return:
    """
    endpoint = 'https://ipinfo.io/json'
    response = requests.get(endpoint, verify=True)

    if response.status_code != 200:
        return 'Status:', response.status_code, 'Problem with the request. Exiting.'
        exit()

    data = response.json()

    return data['ip']


if __name__ == '__main__':
    print(get())

그리고 편의상 위의 코드를 담은 파일을 프로젝트 루트의 하위에 디렉터리를 하나 만들어 그 안에 패키지로 묶일 파일들을 담아 둘 텐데요, 가령 "netutil" 이름의 디렉터리를 만들고 그 안에 위의 코드를 담은 "iputil.py" 파일과, 패키지임을 알리는 __init__.py를 위치시킵니다.

# __init__.py

from netutil import iputil

__version__ = '1.0.0.1'
__author__ = 'techshare'

이와 함께 setup.py를 프로젝트의 루트 디렉터리에 생성하는데요, 따라서 대략 다음과 같은 구조가 됩니다.

.
├── netutil
│   ├── __init__.py
│   └── iputil.py
└── setup.py

그리고 setup.py는 다음의 코드를 담습니다.

from setuptools import setup, find_packages
import netutil


setup(
    name="net-util",
    description="utility functions for networking",
    version=netutil.__version__,
    author=netutil.__author__,
    author_email="techsharer@outlook.com",
    url="https://www.sysnet.pe.kr",
    license="Ms-PL",
    packages=find_packages(exclude=[]),
    install_requires=["requests>=2.22.0"],
)

자, 그럼 여기까지 해서 오류가 없음을 다음의 명령어로 테스트해 줍니다.

c:\temp> python setup.py
usage: setup.py [global_opts] cmd1 [cmd1_opts] [cmd2 [cmd2_opts] ...]
   or: setup.py --help [cmd1 cmd2 ...]
   or: setup.py --help-commands
   or: setup.py cmd --help

error: no commands supplied

setup.py에 문제가 없다면 위와 같은 식의 출력이 나와야 합니다.




"python setup.py" 명령어의 출력에도 나오지만, 필요한 cmd 인자가 하나 더 있습니다. 이것은 "--help-commands"를 주면 알 수 있는데, 여러 가지 명령어 중에 여기서는 bdist_wheel을 사용합니다.

c:\temp> python setup.py bdist_wheel
running bdist_wheel
running build
running build_py
creating build
creating build\lib
creating build\lib\netutil
copying netutil\iputil.py -> build\lib\netutil
copying netutil\__init__.py -> build\lib\netutil
installing to build\bdist.win-amd64\wheel
running install
running install_lib
creating build\bdist.win-amd64
creating build\bdist.win-amd64\wheel
creating build\bdist.win-amd64\wheel\netutil
copying build\lib\netutil\iputil.py -> build\bdist.win-amd64\wheel\.\netutil
copying build\lib\netutil\__init__.py -> build\bdist.win-amd64\wheel\.\netutil
running install_egg_info
running egg_info
creating net_util.egg-info
writing net_util.egg-info\PKG-INFO
writing dependency_links to net_util.egg-info\dependency_links.txt
writing top-level names to net_util.egg-info\top_level.txt
writing manifest file 'net_util.egg-info\SOURCES.txt'
reading manifest file 'net_util.egg-info\SOURCES.txt'
writing manifest file 'net_util.egg-info\SOURCES.txt'
Copying net_util.egg-info to build\bdist.win-amd64\wheel\.\net_util-1.0.0.0-py3.7.egg-info
running install_scripts
creating build\bdist.win-amd64\wheel\net_util-1.0.0.0.dist-info\WHEEL
creating 'dist\net_util-1.0.0.0-py3-none-any.whl' and adding 'build\bdist.win-amd64\wheel' to it
adding 'netutil/__init__.py'
adding 'netutil/iputil.py'
adding 'net_util-1.0.0.0.dist-info/METADATA'
adding 'net_util-1.0.0.0.dist-info/WHEEL'
adding 'net_util-1.0.0.0.dist-info/top_level.txt'
adding 'net_util-1.0.0.0.dist-info/RECORD'
removing build\bdist.win-amd64\wheel

그럼, 현재 디렉터리 기준으로 하위에 "build", "dist", "[setup.py에 지정한 name].egg-info" 디렉터리가 생성이 되는데 최종 결과물은 "dist" 하위에 생성되고, 예제의 경우 "net_util-1.0.0.0-py3-none-any.whl"이 됩니다. (그동안,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해 보셨다면 whl 파일도 결국 zip 파일임을 예상할 수 있을 것입니다. ^^)




whl 파일(PEP 427 The Wheel Binary Package Format 1.0)은 최종 패키징 파일이기 때문에 이것 자체로 pip을 이용한 설치가 가능합니다.

c:\temp\dist> pip install net_util-1.0.0.0-py3-none-any.whl
Processing c:\temp\dist\net_util-1.0.0.0-py3-none-any.whl
Requirement already satisfied: requests>=2.22.0 in e:\python37\lib\site-packages (from net-util==1.0.0.0) (2.26.0)
Requirement already satisfied: urllib3<1.27,>=1.21.1 in e:\python37\lib\site-packages (from requests>=2.22.0->net-util==1.0.0.0) (1.26.6)
Requirement already satisfied: charset-normalizer~=2.0.0 in e:\python37\lib\site-packages (from requests>=2.22.0->net-util==1.0.0.0) (2.0.4)
Requirement already satisfied: certifi>=2017.4.17 in e:\python37\lib\site-packages (from requests>=2.22.0->net-util==1.0.0.0) (2021.5.30)
Requirement already satisfied: idna<4,>=2.5 in e:\python37\lib\site-packages (from requests>=2.22.0->net-util==1.0.0.0) (3.2)
Installing collected packages: net-util
Successfully installed net-util-1.0.0.0

이후, 다른 파이썬 프로젝트에서 다음과 같이 import시켜 사용할 수 있습니다.

import netutil

print(netutil.iputil.get_public_ip())

사실 로컬에서 사용할 거라면 (develop mode를 지원하는) "pip install -e ." 등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더 편리하지만, 그래도 복잡한 setup.py를 구성한 경우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저런 식으로 테스트하는 것도 좋겠습니다.

자, 그럼 제대로 setup.py가 동작했다면 이제 결과물을 PyPI에 올려야 할 텐데요, 재미있는 것은 PyPI의 경우 직접 패키징 파일을 업로드하는 기능이 사이트에서 제공하지 않습니다. (제가 못 찾은 걸 수도 있습니다. ^^;)

대신, twine과 같은 식의 도구를 사용해 다음과 같이 등록할 수 있습니다.

c:\temp> pip install twine

C:\temp> twine upload dist/net_util-1.0.0.0-py3-none-any.whl
Uploading distributions to https://upload.pypi.org/legacy/
Enter your username: techshare
Enter your password:
Uploading net_util-1.0.0.0-py3-none-any.whl
100%|███████████████████████████████████████████████| 4.51k/4.51k [00:01<00:00, 2.46kB/s]

View at:
https://pypi.org/project/net-util/1.0.0.0/

그런데, 저렇게 실행 시 계정 정보를 입력받는 것이 영 못마땅한데요, 다행히 별도 설정 파일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윈도우]
%USERPROFILE%\.pypirc

[리눅스]
$HOME/.pypirc

환경에 따라 위의 경로로 ".pypirc" 파일을 만들고 그 안에 계정 정보를 넣어두면,

[pypi]
  username = ...사용자 계정...
  password = ...사용자 암호...

twine 실행 시 계정 정보를 묻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래도 여전히 "사용자 암호"가 노출되는데, 이러한 문제는 PyPI 사이트로부터 "API 토큰"을 생성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pypi_api_token_1.png

토큰 값은 한 번만 출력되므로 페이지를 벗어나기 전에 반드시 복사해 두어야 합니다. 그래서 여러분들의 .pypirc 파일에 다음과 같이 값을 채워주면 됩니다.

[pypi]
  username = __token__
  password = pypi-AgE...[생략]...bHMWc

혹은 여러 계정을 관리해야 한다면?

[distutils]
index-servers=
    mypypi
    testpypi

[mypypi]
  username = __token__
  password = pypi-AgE...[생략]...bHMWc

[testpypi]
  username = __token__
  password = pypi-AgE...[생략]...bHMWc

(다중 설정의 경우 twine 명령행에 "--repository testpypi"와 같은 식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 정도면 기본적인 사용법은 대충 마무리된 것 같습니다. 이후에는 낯선 옵션과 용어들을 좀 더 넓혀가는 것만 남았군요. ^^




개인적으로, 처음 setup.py를 봤을 때 직관적으로 잘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보통 그동안의 경험상 setup이라고 하면 설치 파일(setup.exe)을 연상하게 되는데 이번 경우에는 "make_package"에 해당하기 때문에 혼란이 온 것입니다. (어쨌든, "set up a package"라는 의미였겠지만... ^^;)

참고로, 아래의 글도 읽어보시길 권장합니다.

Deep Dive into pip - 1
; https://suhwan.dev/2018/10/24/deep-dive-into-pip-1/

Deep Dive into pip - 2
; https://suhwan.dev/2018/10/30/deep-dive-into-pip-2/

The Pip Python Package Manager
; https://www.datacamp.com/community/tutorials/pip-python-package-manager

그나저나, setup.py를 이용한 방식도 이젠 legacy라고... ^^;

setup.py 멈춰!
; https://tech.buzzvil.com/blog/setup.py-%EB%A9%88%EC%B6%B0/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800정성태11/4/201425037오류 유형: 258. 이벤트 로그 - Starting a SMART disk polling operation in Automatic mode.
1799정성태11/4/201428581오류 유형: 257. 이벤트 로그 - The WMI Performance Adapter service entered the stopped state.
1798정성태11/4/201437544오류 유형: 256. 이벤트 로그 - The WinHTTP Web Proxy Auto-Discovery Service service entered the stopped state. [1]
1797정성태11/4/201423097오류 유형: 255. 이벤트 로그 - The Adobe Flash Player Update Service service entered the stopped state.
1796정성태10/30/201430512개발 환경 구성: 249. Visual Studio 2013에서 Mono 컴파일하는 방법
1795정성태10/29/201432320개발 환경 구성: 248. Lync 2013 서버 설치 방법
1794정성태10/29/201428075개발 환경 구성: 247. "Microsoft Office 365 Enterprise E3" 서비스에 대한 간략 소개
1793정성태10/27/201429220.NET Framework: 474. C# - chromiumembedded 사용 - 두 번째 이야기 [2]파일 다운로드1
1792정성태10/27/201429559.NET Framework: 473. WebClient 객체에 쿠키(Cookie)를 사용하는 방법
1791정성태10/22/201428857VC++: 83. G++ - 템플릿 클래스의 iterator 코드 사용에서 발생하는 컴파일 오류 [5]
1790정성태10/22/201423327오류 유형: 254. NETLOGON Service is paused on [... AD Server...]
1789정성태10/22/201427117오류 유형: 253. 이벤트 로그 - The client-side extension could not remove user policy settings for '...'
1788정성태10/22/201428478VC++: 82. COM 프로그래밍에서 HRESULT 타입의 S_FALSE는 실패일까요? 성공일까요? [2]
1787정성태10/22/201437691오류 유형: 252. COM 개체 등록시 0x8002801C 오류가 발생한다면?
1786정성태10/22/201439020디버깅 기술: 65. 프로세스 비정상 종료 시 "Debug Diagnostic Tool"를 이용해 덤프를 남기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785정성태10/22/201428748오류 유형: 251. 이벤트 로그 - Load control template file /_controltemplates/TaxonomyPicker.ascx failed [1]
1784정성태10/22/201436058.NET Framework: 472. C/C++과 C# 사이의 메모리 할당/해제 방법파일 다운로드1
1783정성태10/21/201429322VC++: 81. 프로그래밍에서 borrowing의 개념
1782정성태10/21/201426249오류 유형: 250. 이벤트 로그 - Application Server job failed for service instance Microsoft.Office.Server.Search.Administration.SearchServiceInstance
1781정성태10/21/201427493디버깅 기술: 64. new/delete의 짝이 맞는 경우에도 메모리 누수가 발생한다면?
1780정성태10/15/201430248오류 유형: 249. The application-specific permission settings do not grant Local Activation permission for the COM Server application with CLSID
1779정성태10/15/201425752오류 유형: 248. Active Directory에서 OU가 지워지지 않는 경우
1778정성태10/10/201424728오류 유형: 247. The Netlogon service could not create server share C:\Windows\SYSVOL\sysvol\[도메인명]\SCRIPTS.
1777정성태10/10/201427499오류 유형: 246. The processing of Group Policy failed. Windows attempted to read the file \\[도메인]\sysvol\[도메인]\Policies\{...GUID...}\gpt.ini
1776정성태10/10/201424064오류 유형: 245. 이벤트 로그 - Name resolution for the name _ldap._tcp.dc._msdcs.[도메인명]. timed out after none of the configured DNS servers responded.
1775정성태10/9/201425592오류 유형: 244. Visual Studio 디버깅 (2) - Unable to break execution. This process is not currently executing the type of code that you selected to debug.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