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610.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 https://www.sysnet.pe.kr/2/0/12863

개발 환경 구성: 611.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2) long_description, cmdclass 옵션
; https://www.sysnet.pe.kr/2/0/12865

개발 환경 구성: 612.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3) entry_points 옵션
; https://www.sysnet.pe.kr/2/0/12867

개발 환경 구성: 614.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4) package_data 옵션
; https://www.sysnet.pe.kr/2/0/12870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3) entry_points 옵션

지난 글에 다룬,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 https://www.sysnet.pe.kr/2/0/12863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2) long_description, cmdclass 옵션
; https://www.sysnet.pe.kr/2/0/12865

setup.py의 옵션 중에는 entry_points라는 것이 있습니다.

setup(
    name="net-util",
    description="utility functions for networking",
    long_description=readme(),
    long_description_content_type='text/markdown',
    # cmdclass={'sdist': UserCode},
    cmdclass={'bdist_wheel': UserCode},
    version=netutil.__version__,
    author=netutil.__author__,
    author_email="techsharer@outlook.com",
    url="https://www.sysnet.pe.kr",
    license="Ms-PL",
    packages=find_packages(exclude=[]),
    install_requires=["requests>=2.22.0"],

    entry_points={
        'console_scripts': [
            'netutil-admin = netutil.admin:main',
        ],
    },
)

위와 같이 지정한 경우라면, 당연히 "netutil.admin" 패키지가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간단하게 다음과 같은 식의 파일을 만들 수 있습니다.

# ./netutil/admin/__init__.py


def main():
    print('net-util administrations')

그럼, "pip install ..." 시에 위의 "netutil.admin::main"을 호출하는 'netutil-admin.py'를 사용자 디렉터리($HOME/.local/bin)에 다음과 같은 식으로 pip 프로그램이 생성해 줍니다.

/home/testusr/.local/bin$ cat netutil-admin
#!/usr/bin/python3
# -*- coding: utf-8 -*-
import re
import sys
from netutil.admin import main
if __name__ == '__main__':
    sys.argv[0] = re.sub(r'(-script\.pyw|\.exe)?$', '', sys.argv[0])
    sys.exit(main())

따라서 일종의 프로그램을 하나 제공하는 효과를 얻게 되는데 실제로 해당 명령어를 실행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netutil-admin
net-util administrations

이렇게 만드는 경우 주의할 것이 있다면 바로, 해당 파일(위의 경우 __init__.py)에서 같은 프로젝트에 포함된 모듈을 import하는 경우 명시적으로 상대 경로를 지정해야 하는 상황도 있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__init__py와 동일한 디렉터리에 info.py가 있고,

# ./netutil/admin/info.py


def help_cmd():
    print('netutil-admin')
    pass

위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단순히 __init__.py에서는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netutil/admin/__init__.py

import info


def main():
    print('net-util administrations')
    info.help_cmd()

하지만, 이것이 entry_points로 등록된 경우라면 상황이 달라집니다.

entry_points={
    'console_scripts': [
        'netutil-admin = netutil.admin:main',
    ],
},

저런 경우에는 netutil.admin 패키지에서 site-packages 경로를 기준으로 "import info"를 찾기 때문에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info'"라는 예외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상대 경로로 import를 해야 하는데 import 구문에는 상대 경로를 지정할 수 없으므로 sys.path.append를 이용하거나 다음과 같이 from 구문으로 바꿔 상대 경로를 지정하면 됩니다.

# ./netutil/admin/__init__.py

from .info import help_cmd


def main():
    print('net-util administrations')
    help_cmd()




entry_points로 등록한 경우 리눅스에서는 shell script로 "$HOME/.local/bin" 경로에 파일이 생성되는데, 그렇다면 윈도우의 경우에는 어떨까요?

개인적인 예상으로는 사실 지원하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왜냐하면, 윈도우의 경우 "%USERPROFILE%" 경로가 기본적으로 PATH 환경 변수에 등록되어 있진 않으므로 단순히 jennifer-admin.cmd 파일을 생성한다고 해서 실행되지는 않을 것이므로 여러모로 불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원을 합니다. ^^ 경로는, Python 설치 경로의 ".\Scripts\" 하위 디렉터리에 무려 EXE 파일로 생성이 됩니다. (cmd/bat가 아닌 굳이 왜 EXE로 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재미있는 것은, 윈도우 버전의 파이썬 Script 디렉터리에 있는 exe 파일들이,

pypi_adv_2.png

하나같이 104KB 크기로 된 것으로 봐서는 거의 템플릿화 되어 있는 듯합니다. 게다가 pip.exe 등도 결국 사용자가 컴파일해서 제공하는 것이 아닌, 결국 파이썬 모듈을 호출하는 console_scripts 설정으로 만들어진 실행 모듈이었던 것입니다. 그렇다면, 리눅스에서는 당연히 shell script로 연결된 것이라는 것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

$ cat /usr/bin/pip
#!/usr/bin/python3
# EASY-INSTALL-ENTRY-SCRIPT: 'pip==20.0.2','console_scripts','pip'
__requires__ = 'pip==20.0.2'
import re
import sys
from pkg_resources import load_entry_point

if __name__ == '__main__':
    sys.argv[0] = re.sub(r'(-script\.pyw?|\.exe)?$', '', sys.argv[0])
    sys.exit(
        load_entry_point('pip==20.0.2', 'console_scripts', 'pip')()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559정성태6/25/201828648개발 환경 구성: 384. 영문 설정의 Windows 10 명령행 창(cmd.exe)의 한글 지원 [6]
11558정성태6/24/201822278.NET Framework: 775. C# 7.3 - unmanaged(blittable) 제네릭 제약파일 다운로드1
11557정성태6/22/201821743.NET Framework: 774. C# - blittable 타입이란?파일 다운로드1
11556정성태6/19/201828611.NET Framework: 773. C# 7.3 - 구조체의 고정 크기를 갖는 fixed 배열 필드에 대한 직접 접근 가능 [1]파일 다운로드1
11555정성태6/18/201820286.NET Framework: 772. C# 7.3 - 사용자 정의 타입에 fixed 적용 가능(Custom fixed)파일 다운로드1
11554정성태6/17/201822336.NET Framework: 771. C# 7.3 - 자동 구현 속성에 특성 적용 가능(Attribute on backing field)
11553정성태6/15/201821899.NET Framework: 770. C# 7.3 - 개선된 메서드 선택 규칙 3가지(Improved overload candidates)파일 다운로드1
11552정성태6/15/201823896.NET Framework: 769. C# 7.3에서 개선된 문법 4개(Support == and != for tuples, Ref Reassignment, Constraints, Stackalloc initializers)파일 다운로드1
11551정성태6/14/201820485개발 환경 구성: 383. BenchmarkDotNet 사용 시 주의 사항
11550정성태6/13/201820379.NET Framework: 768. BenchmarkDotNet으로 Span<T> 성능 측정 [2]
11549정성태6/13/201822050개발 환경 구성: 382. BenchmarkDotNet에서 생성한 BuildPlots.R 파일을 실행하는 방법
11548정성태6/13/201819263오류 유형: 470. .NET Core + BenchmarkDotNet 실행 시 프레임워크를 찾지 못하는 문제
11547정성태6/13/201824376.NET Framework: 767. BenchmarkDotNet 라이브러리 소개파일 다운로드1
11546정성태6/12/201824544.NET Framework: 766. C# 7.2의 특징 - GC 및 메모리 복사 방지를 위한 struct 타입 개선 [9]파일 다운로드1
11545정성태6/11/201822790오류 유형: 469. .NET Core 프로젝트를 Visual Studio에서 실행 시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 발생하는 경우 [1]
11544정성태6/10/201822381.NET Framework: 765. C# 7.2 - 숫자 리터럴의 선행 밑줄과 뒤에 오지 않는 명명된 인수
11543정성태6/9/201821960.NET Framework: 764. C# 7.2 - private protected 접근자 추가파일 다운로드1
11542정성태6/9/201860359개발 환경 구성: 381. Azure Web App 확장 예제 - Remove Custom Headers
11541정성태6/9/201819519개발 환경 구성: 380. Azure Web App 확장 배포 방법 [1]
11540정성태6/9/201820293개발 환경 구성: 379. Azure Web App 확장 예제 제작 [2]
11539정성태6/8/201820118.NET Framework: 763. .NET Core 2.1 - Tiered Compilation 도입파일 다운로드1
11538정성태6/8/201819407.NET Framework: 762. .NET Core 2.1 - 확장 도구(Tools) 관리 [1]
11537정성태6/8/201823908.NET Framework: 761. C# - SmtpClient로 SMTP + SSL/TLS 서버를 이용하는 방법 [5]
11536정성태6/7/201821555.NET Framework: 760. Microsoft Build 2018 - The future of C# 동영상 내용 정리 [1]파일 다운로드1
11535정성태6/7/201823363.NET Framework: 759. C# - System.Span<T> 성능 [1]
11534정성태6/6/201829106.NET Framework: 758. C# 7.2 - Span<T> [6]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