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4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318. gacutil.exe로 어셈블리 등록 시 시스템 변경 사항
; https://www.sysnet.pe.kr/2/0/1285

.NET Framework: 319. regasm.exe로 어셈블리 등록 시 시스템 변경 사항 (1) - .NET 2.0 + x86/x64/AnyCPU
; https://www.sysnet.pe.kr/2/0/1286

.NET Framework: 320. regasm.exe로 어셈블리 등록 시 시스템 변경 사항 (2) - .NET 4.0 + .NET 2.0
; https://www.sysnet.pe.kr/2/0/1287

.NET Framework: 321. regasm.exe로 어셈블리 등록 시 시스템 변경 사항 (3) - Type Library
; https://www.sysnet.pe.kr/2/0/1288

.NET Framework: 322. regsvcs.exe로 어셈블리 등록 시 시스템 변경 사항
; https://www.sysnet.pe.kr/2/0/1289




regasm.exe로 어셈블리 등록 시 시스템 변경 사항 (3) - Type Library

지난번 글에 이어서,

regasm.exe로 어셈블리 등록 시 시스템 변경 사항 (2) - .NET 4.0 + .NET 2.0
; https://www.sysnet.pe.kr/2/0/1287

예제를 다양화하기 위해 그 당시 테스트 환경을 다음과 같이 3개의 프로젝트로 분리했습니다.

regasm_tlb_1.png

ComBaseClass는 IAdminCode.cs 인터페이스를 보관해서, ConsoleApplication1 프로젝트와 ClassLibraryAsAdmin 프로젝트의 직접적인 참조관계를 끊어버렸습니다. 이렇게 예제를 바꾸면 관리해야 할 DLL이 한 개 더 늘어나므로 약간 귀찮은 면은 있습니다.

어쨌든, 여기까지 적용된 시스템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ClassLibraryAsAdmin의 CLSID/ProgId ===
ClassLibraryAsAdmin.AdminCode
CLSID\{41AC8568-9230-4E63-B7C5-CAAD997EE207}
Wow6432Node\ClassLibraryAsAdmin.AdminCode
Wow6432Node\CLSID\{41AC8568-9230-4E63-B7C5-CAAD997EE207}

=== GAC에 등록된 2개의 DLL 파일 ===
c:\windows\assembly\GAC_MSIL\ComBaseClass\1.0.0.0__c91e971f6240da9f\ComBaseClass.dll
c:\windows\assembly\GAC_MSIL\ClassLibraryAsAdmin\1.0.0.0__465ff3ec4fc809d7\ClassLibraryAsAdmin.dll

나아가서, regasm.exe에서 /tlb 옵션을 주어 등록을 하면 어떻게 될까요?

%windir%\Microsoft.NET\Framework\v2.0.50727\regasm.exe ComBaseClass.dll /tlb
%windir%\Microsoft.NET\Framework\v2.0.50727\regasm.exe ClassLibraryAsAdmin.dll /tlb

그러면, 제법 많은 변화가 발생합니다. 우선, 인터페이스가 레지스트리에 등록되고,

=== ComBaseClass.dll에 정의된 인터페이스 ===
Interface\{23172F2F-A3D3-4180-97AE-7805F74A5A46}
Wow6432Node\Interface\{23172F2F-A3D3-4180-97AE-7805F74A5A46}

=== ClassLibraryAsAdmin.dll에 정의된 인터페이스 ===
Interface\{D7CE4B41-D2A5-3CCD-BF38-5B8197825E09}
Wow6432Node\Interface\{D7CE4B41-D2A5-3CCD-BF38-5B8197825E09}

이어서 해당 인터페이스에 정의된 레지스트리를 가보면 다음과 같이 TypeLib가 연결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regasm_tlb_2.png

그리고, 각각의 타입라이브러리를 찾아가보면,

HKEY_CLASSES_ROOT\TypeLib\{728F14FE-B021-43EF-8AAC-D37A4AF5ED6A}
HKEY_CLASSES_ROOT\Wow6432Node\TypeLib\{728F14FE-B021-43EF-8AAC-D37A4AF5ED6A}

다음과 같이 regasm.exe /tlb 옵션으로 해당 폴더에 생성된 TLB 파일을 가리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egasm_tlb_3.png

마지막으로 Type Library까지 등록된 경우 시스템에 가해지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ClassLibraryAsAdmin에 대한 ProgId/CLSID ===
ClassLibraryAsAdmin.AdminCode
CLSID\{41AC8568-9230-4E63-B7C5-CAAD997EE207}
Wow6432Node\ClassLibraryAsAdmin.AdminCode
Wow6432Node\CLSID\{41AC8568-9230-4E63-B7C5-CAAD997EE207}

=== ClassLibraryAsAdmin에 대한 TypeLibrary ===
TypeLib\{728F14FE-B021-43EF-8AAC-D37A4AF5ED6A}
Wow6432Node\TypeLib\{728F14FE-B021-43EF-8AAC-D37A4AF5ED6A}

=== ComBaseClass에 대한 TypeLibrary ===
TypeLib\{1CCE4407-4EA5-4A60-BAF8-809AB169CE4D}
Wow6432Node\TypeLib\{1CCE4407-4EA5-4A60-BAF8-809AB169CE4D}

=== ClassLibraryAsAdmin에 대한 Interface === 
Interface\{D7CE4B41-D2A5-3CCD-BF38-5B8197825E09}
Wow6432Node\Interface\{D7CE4B41-D2A5-3CCD-BF38-5B8197825E09}

=== ComBaseClass에 대한 Interface === 
Interface\{23172F2F-A3D3-4180-97AE-7805F74A5A46}
Wow6432Node\Interface\{23172F2F-A3D3-4180-97AE-7805F74A5A46}

파일은 TLB 파일까지 포함하게 되어 4개로 늘어납니다.

c:\windows\assembly\GAC_MSIL\ComBaseClass\1.0.0.0__c91e971f6240da9f\ComBaseClass.dll
c:\windows\assembly\GAC_MSIL\ClassLibraryAsAdmin\1.0.0.0__465ff3ec4fc809d7\ClassLibraryAsAdmin.dll

D:\temp\net20\AnyCPU\ClassLibraryAsAdmin.tlb
D:\temp\net20\AnyCPU\ComBaseClass.tlb

regasm.exe의 등록으로 인한 시스템 변경 사항은 여기까지가 끝입니다. ^^

* 첨부된 파일은 여기까지 실습을 해온 간단한 3개의 프로젝트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30/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39정성태9/14/200619212오류 유형: 11. ProtocolsSection?
338정성태2/4/200727462개발 환경 구성: 12. BUG: 웹 서비스에서 DataTable 사용하기 [2]파일 다운로드1
350정성태10/2/200620653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2.1. ASMX 2.0 and SchemaImporterExtensions파일 다운로드1
335정성태8/20/200628413디버깅 기술: 8. COM+ 서버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F5 디버깅 방법
334정성태8/20/200623636디버깅 기술: 7. VS.NET 2003/2005의 다중 프로젝트 디버깅
333정성태8/20/200624077개발 환경 구성: 11. COM+ 서버 활성화 보안 설정
331정성태8/27/200617049개발 환경 구성: 10. 최대 절전 모드와 VPC 네트워크 문제
330정성태8/20/200617340개발 환경 구성: 9. VPC로 구성하는 개인 환경
328정성태8/20/200635084개발 환경 구성: 8. AppVerifier 사용법 [1]
327정성태8/16/200631871개발 환경 구성: 7. ActiveX 서명 과정 자동화 [1]
326정성태8/16/200625618Team Foundation Server: 13. Sysnet 웹 사이트 TFS Migration
322정성태8/15/200620517개발 환경 구성: 6. 4GB 메모리 구성 [1]
316정성태9/20/200639606디버깅 기술: 6. .NET 예외 처리 정리 [6]
309정성태12/27/200640516디버깅 기술: 5. PDB 이야기 [7]
310정성태8/5/200627597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WinForm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파일 다운로드1
311정성태8/10/200627081    답변글 디버깅 기술: 5.2.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Application Project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
312정성태8/5/200629826    답변글 디버깅 기술: 5.3.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Site Model 유형의 프로젝트
313정성태8/12/200628965    답변글 디버깅 기술: 5.4.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1)
317정성태8/12/200626432    답변글 디버깅 기술: 5.5.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2)
318정성태8/12/200632858    답변글 디버깅 기술: 5.6.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319정성태8/12/200627868    답변글 디버깅 기술: 5.7.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2) [1]
320정성태8/12/200631991    답변글 디버깅 기술: 5.8. WinDBG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321정성태8/13/200636413    답변글 디버깅 기술: 5.9. Microsoft의 PDB 파일 관리
323정성태8/15/200637795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0. Symbol Server 생성 [4]
324정성태8/15/200634648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1. PDB 파일과 소스 코드
325정성태9/8/200627338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2. CCP를 이용한 Windows Source Code 수준의 디버깅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