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24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12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인코딩 예제(encode_video.c)
; https://www.sysnet.pe.kr/2/0/12898

.NET Framework: 1134.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https://www.sysnet.pe.kr/2/0/12924

.NET Framework: 1135. C# - ffmpeg(FFmpeg.AutoGen)로 하드웨어 가속기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hw_decode.c)
; https://www.sysnet.pe.kr/2/0/12932

.NET Framework: 1136.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MP2 오디오 파일 디코딩 예제(decode_audio.c)
; https://www.sysnet.pe.kr/2/0/12933

.NET Framework: 1137. ffmpeg의 파일 해시 예제(ffhash.c)를 C#으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35

.NET Framework: 113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멀티미디어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보여주는 예제(metadata.c)
; https://www.sysnet.pe.kr/2/0/12936

.NET Framework: 113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오디오(mp2) 인코딩하는 예제(encode_audio.c)
; https://www.sysnet.pe.kr/2/0/12937

.NET Framework: 1147.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오디오 필터링 예제(filtering_audio.c)
; https://www.sysnet.pe.kr/2/0/12951

.NET Framework: 114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오디오 필터 예제(filter_audio.c)
; https://www.sysnet.pe.kr/2/0/12952

.NET Framework: 115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959

개발 환경 구성: 637.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세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960

.NET Framework: 1151.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프레임의 크기 및 포맷 변경 예제(scaling_video.c)
; https://www.sysnet.pe.kr/2/0/12961

.NET Framework: 1153.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avio_read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64

.NET Framework: 1157.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mux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71

.NET Framework: 115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qsvdec.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75

.NET Framework: 1161.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resampling_audio.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78

.NET Framework: 1166.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filtering_video.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84

.NET Framework: 116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demuxing_decod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87

.NET Framework: 117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transcode_aac.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91

.NET Framework: 117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http_multiclient.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3002

.NET Framework: 118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remux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3006

.NET Framework: 118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transcod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3023

.NET Framework: 119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vaapi_encode.c, vaapi_transcode.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3025

.NET Framework: 1191. C 언어로 작성된 FFmpeg Examples의 C# 포팅 전체 소스 코드
; https://www.sysnet.pe.kr/2/0/13026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인코딩 예제(encode_video.c)

제가 ffmpeg 라이브러리는 처음이라, 아직은 뭘 만들지는 못하고 ^^ 그저 만들어진 소스 코드가 있으면 따라 하는 수준으로 가능합니다.

그런데, ffmpeg 라이브러리의 하위 호환성이... 정말 좋지 않습니다. 실제로 웹에 퍼진 블로그의 자료들을 참고하는 경우 현재 FFmpeg.AutoGen이 지원하는 4.4.1 버전으로는 빌드되는 사례가 거의 없습니다. (그렇게 보면, 제가 지금 쓰는 글 역시 나중에는 deprecated 함수의 사용 예에 불과할 수 있다는 점!)

따라서, 블로그 등에서 ffmpeg 사용법을 찾기보다는 공식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예제를 보는 것이 더 좋습니다.

FFmpeg - Examples
; https://ffmpeg.org/doxygen/trunk/examples.html

물론 ^^ 저 모든 예제를 포팅하진 못하고 그중에서 encode_video.c 파일만,

decoding_encoding.c
; https://ffmpeg.org/doxygen/trunk/encode_video_8c-example.html

다음과 같이 C#으로 변환했습니다.

using FFmpeg.AutoGen;
using FFmpeg.AutoGen.Example;
using System;
using System.IO;

namespace FFmpegApp1
{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FmpegBinariesHelper.RegisterFFmpegBinaries();

#if DEBUG
            Console.WriteLine("Current directory: " + Environment.CurrentDirectory);
            Console.WriteLine("Running in {0}-bit mode.", Environment.Is64BitProcess ? "64" : "32");
            Console.WriteLine($"FFmpeg version info: {ffmpeg.av_version_info()}");
#endif
            Console.WriteLine();

            video_encode_example("C:\\temp\\test.h264", AVCodecID.AV_CODEC_ID_H264);
        }

        static unsafe void encode(AVCodecContext* enc_ctx, AVFrame* frame, AVPacket* pkt, BinaryWriter output)
        {
            int ret;

            /* send the frame to the encoder */
            if (frame != null)
            {
                Console.WriteLine($"Send frame {frame->pts}");
            }

            ret = ffmpeg.avcodec_send_frame(enc_ctx, frame);
            if (ret < 0)
            {
                Console.WriteLine("Error sending a frame for encoding");
                return;
            }

            while (ret >= 0)
            {
                ret = ffmpeg.avcodec_receive_packet(enc_ctx, pkt);
                if (ret == ffmpeg.AVERROR(ffmpeg.EAGAIN) || ret == ffmpeg.AVERROR_EOF)
                {
                    return;
                }
                else if (ret < 0)
                {
                    Console.WriteLine("Error during encoding");
                    return;
                }

                Console.WriteLine($"Write packet {pkt->pts} (size={pkt->size})");
                output.Write(new ReadOnlySpan<byte>(pkt->data, pkt->size));

                ffmpeg.av_packet_unref(pkt);
            }
        }

        static unsafe void video_encode_example(string filename, AVCodecID codec_id)
        {
            AVCodec* _pCodec = null;
            AVCodecContext* _pCodecContext = null;
            AVFrame* frame = null;
            AVPacket* pkt = null;
            byte[] end_code = new byte[] { 0, 0, 1, 0xb7 };

            using BinaryWriter output = new BinaryWriter(new FileStream(filename, FileMode.Create));

            do
            {
                Console.WriteLine($"Encode video file {filename}");
                _pCodec = ffmpeg.avcodec_find_encoder(codec_id);

                if (_pCodec == null)
                {
                    Console.WriteLine($"Codec not found: {codec_id}");
                    break;
                }

                _pCodecContext = ffmpeg.avcodec_alloc_context3(_pCodec);
                if (_pCodecContext == null)
                {
                    Console.WriteLine($"Could not allocate video codec context: {codec_id}");
                    break;
                }

                pkt = ffmpeg.av_packet_alloc();
                if (pkt == null)
                {
                    break;
                }

                _pCodecContext->bit_rate = 400000;
                _pCodecContext->width = 352;
                _pCodecContext->height = 288;
                /* frames per second */
                _pCodecContext->time_base = new AVRational { num = 1, den = 25 };
                _pCodecContext->framerate = new AVRational { num = 25, den = 1 };

                _pCodecContext->gop_size = 10; /* emit one intra frame every ten frames */
                _pCodecContext->max_b_frames = 1;
                _pCodecContext->pix_fmt = AVPixelFormat.AV_PIX_FMT_YUV420P;

                if (codec_id == AVCodecID.AV_CODEC_ID_H264)
                {
                    ffmpeg.av_opt_set(_pCodecContext->priv_data, "preset", "slow", 0);
                }

                /* open it */
                if (ffmpeg.avcodec_open2(_pCodecContext, _pCodec, null) < 0)
                {
                    Console.WriteLine("Could not open codec");
                    break;
                }

                frame = ffmpeg.av_frame_alloc();

                if (frame == null)
                {
                    Console.WriteLine("Could not allocate video frame");
                    break;
                }

                frame->format = (int)_pCodecContext->pix_fmt;
                frame->width = _pCodecContext->width;
                frame->height = _pCodecContext->height;

                int ret = ffmpeg.av_frame_get_buffer(frame, 0);
                if (ret < 0)
                {
                    Console.WriteLine("Could not allocate raw picture buffer");
                    break;
                }

                int x = 0;
                int y = 0;

                for (int i = 0; i < 25 * 10; i++)
                {
                    ret = ffmpeg.av_frame_make_writable(frame);
                    if (ret < 0)
                    {
                        break;
                    }

                    for (y = 0; y < _pCodecContext->height; y++)
                    {
                        for (x = 0; x < _pCodecContext->width; x++)
                        {
                            frame->data[0][y * frame->linesize[0] + x] = (byte)(x + y + i * 3);
                        }
                    }

                    /* Cb and Cr */
                    for (y = 0; y < _pCodecContext->height / 2; y++)
                    {
                        for (x = 0; x < _pCodecContext->width / 2; x++)
                        {
                            frame->data[1][y * frame->linesize[1] + x] = (byte)(128 + y + i * 2);
                            frame->data[2][y * frame->linesize[2] + x] = (byte)(64 + x + i * 5);
                        }
                    }

                    frame->pts = i;

                    encode(_pCodecContext, frame, pkt, output);
                }

                // flush the encoder
                encode(_pCodecContext, null, pkt, output);

            } while (false);

            if (_pCodec->id == AVCodecID.AV_CODEC_ID_MPEG1VIDEO || _pCodec->id == AVCodecID.AV_CODEC_ID_MPEG2VIDEO)
            {
                output.Write(end_code, 0, end_code.Length);
            }

            if (frame != null)
            {
                ffmpeg.av_frame_free(&frame);
            }
            
            if (pkt != null)
            {
                ffmpeg.av_packet_free(&pkt);
            }

            if (_pCodecContext != null)
            {
                ffmpeg.avcodec_free_context(&_pCodecContext);
            }
        }
    }
}

video_encode_example 메서드의 중간에 나오는 for 루프는 25fps * 10초만큼의 비디오 영상을 YUV420P 포맷으로 직접 생성해, encode 메서드에서 AV_CODEC_ID_H264 코덱으로 파일에 쓰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위의 코드로 생성된 "C:\\temp\\test.h264" 파일을 재생하면 다음과 같은 식의 영상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encode_video_sample_1.png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단지, 압축 파일 크기를 줄이기 위해 ./FFmpeg/bin/x64 하위의 DLL은 제거했습니다.)
(이 글의 소스 코드는 github에 올려져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1/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2-01-03 10시59분
[이승준] 위의 소스는 나중에도 별 문제 없을 겁니다.
encoder2같은 프레임을 한번에 압축하는 api는 삭제된지 오래되었고
위의 소스 방식으로 바뀐지는 상당히 오래 되었습니다.
그리고 deprecated 처리가 되더라도 오류만 안나게 하면
대부분은 빌드 됩니다. ffmpeg이 api나 변수 삭제를 엄청나게 안하더라고요.
[guest]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504정성태9/24/201330276.NET Framework: 387. UDP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해 서비스 측의 IP 주소를 구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503정성태9/21/201335426개발 환경 구성: 199. Visual Studio - github 연동 [7]
1502정성태9/21/201339025개발 환경 구성: 198. Visual Studio - git을 이용한 로컬 소스 컨트롤
1501정성태9/21/201346118개발 환경 구성: 197. Visual Studio를 위한 Git 환경 설정 [5]
1500정성태9/20/201345091.NET Framework: 386. C# 버전의 한글 형태소 분석기 [1]파일 다운로드1
1499정성태9/20/201321681개발 환경 구성: 196. Windows Azure - Cloud Service의 인스턴스 타입 변경하는 방법
1498정성태9/20/201327803Windows: 76. 윈도우 8.1 / 서버 2012 R2 마이그레이션 [5]
1497정성태9/20/201360078웹: 28. IE 11로 바꾼 후 발생하는 문제 정리
1496정성태9/20/201332393Windows: 75. 윈도우 8.1, 2012 R2 설치 후 원격 접속이 안 되는 문제
1495정성태9/20/201323537웹: 27. IE 11 - YBM Sisa.com에서 검색된 영단어의 발음 기호가 안 나오는 문제
1494정성태9/13/201333121.NET Framework: 385. Html Agility Pack 소개 - 웹 문서에서 텍스트만 분리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493정성태9/13/201334909.NET Framework: 384. WebClient.DownloadString 문자열 인코딩 문제
1492정성태9/13/201322347오류 유형: 186. The .NET assembly 'Microsoft.Vsa' could not be found.
1491정성태9/9/201325469.NET Framework: 383. RSAParameters의 ToXmlString과 ExportParameters의 결과 비교
1490정성태9/7/201360475기타: 34. 도서: 시작하세요! C#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7]
1489정성태9/4/201344913오류 유형: 185. 오피스 워드 파일이 저장되지 않는 문제 [2]
1488정성태8/27/201329053.NET Framework: 382. WCF에서 DataSet을 binary encoding으로 직렬화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487정성태8/27/201331359개발 환경 구성: 195. 로컬 PC에서의 WCF 통신을 Fiddler로 보는 방법 [1]
1486정성태8/27/201328860.NET Framework: 381. SqlCommand를 이용해 Microsoft SQL 서버의 쿼리 실행 계획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485정성태8/26/201332556.NET Framework: 380. 프로세스 스스로 풀 덤프 남기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484정성태8/23/201326804제니퍼 .NET: 24. 제니퍼 닷넷 적용 사례 (4) - GZIP 인코딩으로 인한 성능 하락
1483정성태8/23/201326925.NET Framework: 379. System.IO.MemoryStream, ArraySegment&lt;T&gt; 의 효율적인 사용법 [1]
1482정성태8/23/201320367.NET Framework: 378. Java / C# - 정수의 부호 유무에 따른 16진수 문자열 변환
1481정성태8/22/201321191오류 유형: 184. PaaS 유형(Cloud Services)의 Azure VM에 연결할 때 계정 만료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1480정성태8/22/201337863개발 환경 구성: 194. 윈도우 서버의 80 포트에 대한 port forwarding 설정 방법파일 다운로드1
1479정성태8/14/201325193오류 유형: 183. IIS - 바인딩 추가 시 Object reference not set to an instance of an object 오류 [5]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