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windbg에서 python 스크립트 실행하는 방법 - pykd (2)

우선 아래의 페이지에서,

pykd-ext 
; https://githomelab.ru/pykd/pykd-ext
; https://githomelab.ru/pykd/pykd-ext/-/wikis/Downloads

pykd_ext_[vesrion].zip 파일을 다운로드해 압축을 풀어 둡니다. (이 글에서는 d:\wext 디렉터리로 가정합니다.)

이후, windbg preview를 실행해 pykd.dll을 로드합니다.

0:00> .load d:\wext\x64\pykd.dll

일단 위의 명령어까지는 잘 실행이 될 텐데, 그다음 pykd 명령어를 실행할 때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0:001> !py
failed to find python interpreter

전에도 이에 대해 설명은 했지만,

windbg - !py 확장 명령어 실행 시 "failed to find python interpreter"
; https://www.sysnet.pe.kr/2/0/12334

windbg에서 python 스크립트 실행하는 방법 - pykd
; https://www.sysnet.pe.kr/2/0/11227#python

구체적으로 어떻게 파이썬 인터프리터를 찾는가에 관해서는 "https://githomelab.ru/pykd/pykd-ext/-/blob/master/sources/pyinterpret.cpp#L321" 소스 코드에 잘 나옵니다. 즉, "HKEY_LOCAL_MACHINE"과 "HKEY_CURRENT_USER"에서 모두 "\SOFTWARE\Python" 설정을 찾는데, 반드시 그 하위에는 "InstallPath" 키를 포함하고 있어야 합니다.

그렇게 해서 검색이 되는 경로를 "!pkyd.info" 명령어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0:000> !pykd.info

pykd bootstrapper version: 2.0.0.13

Installed python:

Version:        Status:     Image:
------------------------------------------------------------------------------
* 3.8 x86-64    Unloaded    E:\Python38\python38.dll

이후, (pykd windbg 확장 모듈이 아닌) pykd 파이썬 모듈을 설치하면 끝!

E:\Python38\Scripts> pip install pykd




그건 그렇고, 아마도 Visual Studio의 설치와 함께 등록된 파이썬의 경우,

0:000> !pykd.info

pykd bootstrapper version: 2.0.0.25

Installed python:

Version:        Status:     Image:
------------------------------------------------------------------------------
* 3.9 x86-64    Loaded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Shared\Python39_64\python39.dll

뭔가 잘 안 맞는 부분이 있습니다. 가령 windbg 내에서 pykd 파이썬 모듈을 설치하려고 해도 이런 오류가 발생하고,

0:000> .load d:\wext\x64\pykd.dll

0:000> !pip install pykd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string>", line 1, in <module>

  File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Shared\Python39_64\Lib\runpy.py", line 206, in run_module
    mod_name, mod_spec, code = _get_module_details(mod_name)

  File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Shared\Python39_64\Lib\runpy.py", line 141, in _get_module_details
    raise error("No module named %s" % mod_name)

ImportError: No module named pip

이로 인해 관리자 권한의 cmd 명령행에서 설치하면 잘 진행은 되지만,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Shared\Python39_64\Scripts> pip install pykd
Collecting pykd
  Using cached pykd-0.3.4.15-cp37-none-win_amd64.whl (11.2 MB)
Installing collected packages: pykd
Successfully installed pykd-0.3.4.15

windbg 내에서 pykd를 로드하는 경우 여전히 오류가 발생합니다.

0:000> !py
Python 3.9.5 (tags/v3.9.5:0a7dcbd, May  3 2021, 17:27:52) [MSC v.1928 64 bit (AMD64)] on win32
Type "help", "copyright", "credits" or "license" for more information.
(InteractiveConsole)
>>> import pykd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console>", line 1, in <module>
  File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Shared\Python39_64\lib\site-packages\pykd\__init__.py", line 4, in <module>
    from pykd.pykd import *
ImportError: DLL load failed while importing pykd: %1 is not a valid Win32 application.
>>> 

0:000> !pip list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string>", line 1, in <module>

  File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Shared\Python39_64\Lib\runpy.py", line 206, in run_module
    mod_name, mod_spec, code = _get_module_details(mod_name)

  File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Shared\Python39_64\Lib\runpy.py", line 141, in _get_module_details
    raise error("No module named %s" % mod_name)

ImportError: No module named pip

일단 직접적인 해결은 못했고, (비주얼 스튜디오의 것이 아닌) 별도로 설치한 Python 런타임인 경우에는 잘 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래서 레지스트리에 원하는 런타임을 등록하기 위해 다음의 reg 파일을 만들고, (경로 및 버전은 각자의 환경에 맞게 조절합니다.)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LOCAL_MACHINE\SOFTWARE\Python]

[HKEY_LOCAL_MACHINE\SOFTWARE\Python\PythonCore]

[HKEY_LOCAL_MACHINE\SOFTWARE\Python\PythonCore\3.8]

[HKEY_LOCAL_MACHINE\SOFTWARE\Python\PythonCore\3.8\InstallPath]
@="E:\\Python38\\"

[HKEY_LOCAL_MACHINE\SOFTWARE\Python\PythonCore\3.8\InstallPath\InstallGroup]
@="Python 3.8"

[HKEY_LOCAL_MACHINE\SOFTWARE\Python\PythonCore\3.8\PythonPath]
@="E:\\Python38\\Lib;E:\\Python38\\DLLs"

등록한 다음, windbg 내에서 해당 런타임의 파이썬을 선택하면 됩니다.

0:000> .load d:\wext\x64\pykd.dll

0:000> !pykd.info

pykd bootstrapper version: 2.0.0.25

Installed python:

Version:        Status:     Image:
------------------------------------------------------------------------------
  3.8 x86-64    Unloaded    E:\Python38\python38.dll
* 3.9 x86-64    Loaded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Shared\Python39_64\python39.dll

0:000> !pykd.select -3.8
0:000> !pykd.info

pykd bootstrapper version: 2.0.0.25

Installed python:

Version:        Status:     Image:
------------------------------------------------------------------------------
* 3.8 x86-64    Loaded      E:\Python38\python38.dll
  3.9 x86-64    Loaded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Shared\Python39_64\python39.dll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7/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089정성태12/23/201912148디버깅 기술: 146. gflags와 _CrtIsMemoryBlock을 이용한 Heap 메모리 손상 여부 체크
12088정성태12/23/201911094Linux: 28. Linux - 윈도우의 "Run as different user" 기능을 shell에서 실행하는 방법
12087정성태12/21/201911517디버깅 기술: 145. windbg/sos - Dictionary의 entries 배열 내용을 모두 덤프하는 방법 (do_hashtable.py) [1]
12086정성태12/20/201913574디버깅 기술: 144. windbg - Marshal.FreeHGlobal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12085정성태12/20/201911330오류 유형: 586. iisreset - The data is invalid. (2147942413, 8007000d) 오류 발생 - 두 번째 이야기 [1]
12084정성태12/19/201911983디버깅 기술: 143. windbg/sos - Hashtable의 buckets 배열 내용을 모두 덤프하는 방법 (do_hashtable.py) [1]
12083정성태12/17/201913285Linux: 27. linux - lldb를 이용한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의 메모리 덤프 분석 방법 [2]
12082정성태12/17/201913095오류 유형: 585. lsof: WARNING: can't stat() fuse.gvfsd-fuse file system
12081정성태12/16/201914978개발 환경 구성: 465. 로컬 PC에서 개발 중인 ASP.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을 다른 PC에서도 접근하는 방법 [5]
12080정성태12/16/201912814.NET Framework: 870. C# - 프로세스의 모든 핸들을 열람
12079정성태12/13/201914105오류 유형: 584. 원격 데스크톱(rdp) 환경에서 다중 또는 고용량 파일 복사 시 "Unspecified error" 오류 발생
12078정성태12/13/201913961Linux: 26.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메모리 덤프 방법 [3]
12077정성태12/13/201913515Linux: 25. 자주 실행할 명령어 또는 초기 환경을 "~/.bashrc" 파일에 등록
12076정성태12/12/201911621디버깅 기술: 142. Linux - lldb 환경에서 sos 확장 명령어를 이용한 닷넷 프로세스 디버깅 - 배포 방법에 따른 차이
12075정성태12/11/201912422디버깅 기술: 141. Linux - lldb 환경에서 sos 확장 명령어를 이용한 닷넷 프로세스 디버깅
12074정성태12/10/201912082디버깅 기술: 140. windbg/Visual Studio - 값이 변경된 경우를 위한 정지점(BP) 설정(Data Breakpoint)
12073정성태12/10/201913927Linux: 24. Linux/C# - 실행 파일이 아닌 스크립트 형식의 명령어를 Process.Start로 실행하는 방법
12072정성태12/9/201911349오류 유형: 583. iisreset 수행 시 "No such interface supported" 오류
12071정성태12/9/201913644오류 유형: 582. 리눅스 디스크 공간 부족 및 safemode 부팅 방법
12070정성태12/9/201915880오류 유형: 581. resize2fs: Bad magic number in super-block while trying to open /dev/.../root
12069정성태12/2/201912198디버깅 기술: 139. windbg - x64 덤프 분석 시 메서드의 인자 또는 로컬 변수의 값을 확인하는 방법
12068정성태11/28/201915763디버깅 기술: 138. windbg와 Win32 API로 알아보는 Windows Heap 정보 분석 [3]파일 다운로드2
12067정성태11/27/201912300디버깅 기술: 137. 실제 사례를 통해 Debug Diagnostics 도구가 생성한 닷넷 웹 응용 프로그램의 성능 장애 보고서 설명 [1]파일 다운로드1
12066정성태11/27/201912082디버깅 기술: 136. windbg - C# PInvoke 호출 시 마샬링을 담당하는 함수 분석 - OracleCommand.ExecuteReader에서 OpsSql.Prepare2 PInvoke 호출 분석
12065정성태11/25/201910938디버깅 기술: 135. windbg - C# PInvoke 호출 시 마샬링을 담당하는 함수 분석파일 다운로드1
12064정성태11/25/201913097오류 유형: 580. HTTP Error 500.0/500.33 - ANCM In-Process Handler Load Failure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