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Visual Studio - We didn't find any interpreters 비주얼 스튜디오에 파이썬 구성 요소를 추가해 프로젝트를 생성했는데, F5 등으로 실행 시 다음과 같이 오류가 발생한다면? We didn't find any interpreters 다시 "Tools" / "Get Tools and Features..." 메뉴를 선택해 보면 아마도 이렇게 달랑 "Python development"만 체크되어 있을 것입니다. 그것만 하시면 안 되고 ^^ 아래 화면과 같이 우측에 "Python 3 64-bit(3.9.7)" 등의 항목도 체크해 설치하셔야 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오류 유형: 784. TFS - One or more source control bindings for this solution are not valid and are listed below.[이전 글] VS.NET IDE: 172. 비주얼 스튜디오 2022의 파이선 개발 환경 지원 [최초 등록일: 1/11/2022] [최종 수정일: 1/11/2022]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187정성태12/8/202215290개발 환경 구성: 654. openssl - CA로부터 인증받은 새로운 인증서를 생성하는 방법 (2)13186정성태12/6/202213066오류 유형: 831. The framework 'Microsoft.AspNetCore.App', version '...' was not found.13185정성태12/6/202214039개발 환경 구성: 653. Windows 환경에서의 Hello World x64 어셈블리 예제 (NASM 버전)13184정성태12/5/202212629개발 환경 구성: 652. ml64.exe와 link.exe x64 실행 환경 구성 [1]13183정성태12/4/202212456오류 유형: 830. MASM + CRT 함수를 사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컴파일 오류 정리 [1]13182정성태12/4/202214255Windows: 217. Windows 환경에서의 Hello World x64 어셈블리 예제 (MASM 버전)13181정성태12/3/202212776Linux: 54. 리눅스/WSL - hello world 어셈블리 코드 x86/x64 (nasm)13180정성태12/2/202213563.NET Framework: 2074. C# - 스택 메모리에 대한 여유 공간 확인하는 방법113179정성태12/2/202212296Windows: 216. Windows 11 - 22H2 업데이트 이후 Terminal 대신 cmd 창이 뜨는 경우13178정성태12/1/202213385Windows: 215. Win32 API 금지된 함수 - IsBadXxxPtr 유의 함수들이 안전하지 않은 이유113177정성태11/30/202213963오류 유형: 829. uwsgi 설치 시 fatal error: Python.h: No such file or directory13176정성태11/29/202211511오류 유형: 828. gunicorn -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flask'13175정성태11/29/202215816오류 유형: 827. Python - ImportError: cannot import name 'html5lib' from 'pip._vendor'13174정성태11/28/202212525.NET Framework: 2073. C# - VMMap처럼 스택 메모리의 reserve/guard/commit 상태 출력113173정성태11/27/202213448.NET Framework: 2072. 닷넷 응용 프로그램의 스레드 스택 크기 변경13172정성태11/25/202212946.NET Framework: 2071. 닷넷에서 ESP/RSP 레지스터 값을 구하는 방법113171정성태11/25/202212476Windows: 214. 윈도우 - 스레드 스택의 "red zone"13170정성태11/24/202213358Windows: 213. 윈도우 - 싱글 스레드는 컨텍스트 스위칭이 없을까요?13169정성태11/23/202214670Windows: 212. 윈도우의 Protected Process (Light) 보안 [1]213168정성태11/22/202212561제니퍼 .NET: 31. 제니퍼 닷넷 적용 사례 (9) - DB 서비스에 부하가 걸렸다?!13167정성태11/21/202213033.NET Framework: 2070. .NET 7 - Console.ReadKey와 리눅스의 터미널 타입13166정성태11/20/202212952개발 환경 구성: 651. Windows 사용자 경험으로 WSL 환경에 dotnet 런타임/SDK 설치 방법13165정성태11/18/202211990개발 환경 구성: 650. Azure - "scm" 프로세스와 엮인 서비스 모음13164정성태11/18/202213910개발 환경 구성: 649. Azure - 비주얼 스튜디오를 이용한 AppService 원격 디버그 방법13163정성태11/17/202214239개발 환경 구성: 648.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안드로이드 기기 인식하는 방법13162정성태11/15/202215723.NET Framework: 2069. .NET 7 - AOT(ahead-of-time) 컴파일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