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24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12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인코딩 예제(encode_video.c)
; https://www.sysnet.pe.kr/2/0/12898

.NET Framework: 1134.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https://www.sysnet.pe.kr/2/0/12924

.NET Framework: 1135. C# - ffmpeg(FFmpeg.AutoGen)로 하드웨어 가속기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hw_decode.c)
; https://www.sysnet.pe.kr/2/0/12932

.NET Framework: 1136.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MP2 오디오 파일 디코딩 예제(decode_audio.c)
; https://www.sysnet.pe.kr/2/0/12933

.NET Framework: 1137. ffmpeg의 파일 해시 예제(ffhash.c)를 C#으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35

.NET Framework: 113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멀티미디어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보여주는 예제(metadata.c)
; https://www.sysnet.pe.kr/2/0/12936

.NET Framework: 113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오디오(mp2) 인코딩하는 예제(encode_audio.c)
; https://www.sysnet.pe.kr/2/0/12937

.NET Framework: 1147.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오디오 필터링 예제(filtering_audio.c)
; https://www.sysnet.pe.kr/2/0/12951

.NET Framework: 114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오디오 필터 예제(filter_audio.c)
; https://www.sysnet.pe.kr/2/0/12952

.NET Framework: 115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959

개발 환경 구성: 637.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세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960

.NET Framework: 1151.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프레임의 크기 및 포맷 변경 예제(scaling_video.c)
; https://www.sysnet.pe.kr/2/0/12961

.NET Framework: 1153.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avio_read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64

.NET Framework: 1157.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mux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71

.NET Framework: 115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qsvdec.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75

.NET Framework: 1161.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resampling_audio.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78

.NET Framework: 1166.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filtering_video.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84

.NET Framework: 116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demuxing_decod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87

.NET Framework: 117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transcode_aac.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91

.NET Framework: 117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http_multiclient.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3002

.NET Framework: 118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remux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3006

.NET Framework: 118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transcod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3023

.NET Framework: 119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vaapi_encode.c, vaapi_transcode.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3025

.NET Framework: 1191. C 언어로 작성된 FFmpeg Examples의 C# 포팅 전체 소스 코드
; https://www.sysnet.pe.kr/2/0/13026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지난 글에 이어,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인코딩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2898

이번에는 비디오 파일을 디코딩 해보겠습니다. 이번에도 역시 "FFmpeg - Examples"에 있는 예제 중 "decode_video.c"를 포팅할 것입니다.

FFmpeg - Examples
; https://ffmpeg.org/doxygen/trunk/examples.html

decode_video.c
; https://ffmpeg.org/doxygen/trunk/decode_video_8c-example.html

그런데, 비디오 파일의 포맷이 MPEG1VIDEO라고 되어 있는데요,

/* find the MPEG-1 video decoder */
codec = avcodec_find_decoder(AV_CODEC_ID_MPEG1VIDEO);

그래서 이전 글에서 MPEG1 비디오 포맷으로의 변환을 설명한 것입니다. ^^

ffmpeg.exe를 사용해 비디오 파일을 MPEG1 포맷으로 변경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923

아무튼, 이렇게 해서 포팅한 C# 코드의 전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using FFmpeg.AutoGen;
using FFmpeg.AutoGen.Example;
using System;
using System.IO;
using System.Text;

namespace FFmpegApp1
{
    internal class Program
    {
        const int INBUF_SIZE = 4096;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FmpegBinariesHelper.RegisterFFmpegBinaries();

            string outputPath = @"c:\temp\output";

            video_decode_example(@"D:\video_sample\SampleVideo_1280x720_30mb.mpeg", AVCodecID.AV_CODEC_ID_MPEG1VIDEO, outputPath);
        }
        
        static unsafe void video_decode_example(string filename, AVCodecID codec_id, string outfileDirPath)
        {
            AVCodec* _pCodec = null;
            AVCodecParserContext* _parser = null;
            AVCodecContext* _pCodecContext = null;
            AVFrame* frame = null;
            AVPacket* pkt = null;
            byte[] inbuf = new byte[INBUF_SIZE + ffmpeg.AV_INPUT_BUFFER_PADDING_SIZE];
            int ret = 0;

            using BinaryReader inputFile = new BinaryReader(new FileStream(filename, FileMode.Open));

            do
            {
                pkt = ffmpeg.av_packet_alloc();
                if (pkt == null)
                {
                    break;
                }

                /* find the MPEG-1 video decoder */
                Console.WriteLine($"Decode video file {filename}");
                _pCodec = ffmpeg.avcodec_find_decoder(codec_id);

                if (_pCodec == null)
                {
                    Console.WriteLine($"Codec not found: {codec_id}");
                    break;
                }

                _parser = ffmpeg.av_parser_init((int)_pCodec->id);


                _pCodecContext = ffmpeg.avcodec_alloc_context3(_pCodec);
                if (_pCodecContext == null)
                {
                    Console.WriteLine($"Could not allocate video codec context: {codec_id}");
                    break;
                }

                /* open it */
                if (ffmpeg.avcodec_open2(_pCodecContext, _pCodec, null) < 0)
                {
                    Console.WriteLine("Could not open codec");
                    break;
                }

                frame = ffmpeg.av_frame_alloc();

                if (frame == null)
                {
                    Console.WriteLine("Could not allocate video frame");
                    break;
                }

                bool parse_succeed = true;

                while (parse_succeed)
                {
                    int data_size = inputFile.Read(inbuf, 0, INBUF_SIZE);

                    if (data_size == 0)
                    {
                        break;
                    }

                    fixed(byte *ptr = inbuf)
                    {
                        byte* data = ptr;

                        while (data_size > 0)
                        {
                            ret = ffmpeg.av_parser_parse2(_parser, _pCodecContext,
                                &pkt->data, &pkt->size, data, data_size, ffmpeg.AV_NOPTS_VALUE, ffmpeg.AV_NOPTS_VALUE, 0);

                            if (ret < 0)
                            {
                                break;
                            }

                            data += ret;
                            data_size -= ret;

                            if (pkt->size != 0)
                            {
                                parse_succeed = decode(_pCodecContext, frame, pkt, outfileDirPath);
                                if (parse_succeed == false)
                                {
                                    break;
                                }
                            }    
                        }
                    }
                }

                // flush the decoder
                decode(_pCodecContext, frame, null, outfileDirPath);

            } while (false);

            if (_parser != null)
            {
                ffmpeg.av_parser_close(_parser);
            }

            if (_pCodecContext != null)
            {
                ffmpeg.avcodec_free_context(&_pCodecContext);
            }

            if (frame != null)
            {
                ffmpeg.av_frame_free(&frame);
            }
            
            if (pkt != null)
            {
                ffmpeg.av_packet_free(&pkt);
            }
        }

        private static unsafe bool decode(AVCodecContext* pCodecContext, AVFrame* frame, AVPacket* pkt, string outfileDirPath)
        {
            int ret = ffmpeg.avcodec_send_packet(pCodecContext, pkt);
            if (ret < 0)
            {
                Console.WriteLine("Error sending a packet for decoding");
                return false;
            }

            while (ret >= 0)
            {
                ret = ffmpeg.avcodec_receive_frame(pCodecContext, frame);
                if (ret == ffmpeg.AVERROR(ffmpeg.EAGAIN) || ret == ffmpeg.AVERROR_EOF)
                {
                    return true;
                }
                else if (ret < 0)
                {
                    Console.WriteLine("Error during decoding");
                    return false;
                }

                Console.WriteLine($"saving frame {pCodecContext->frame_number}");

                string outputFile = Path.Combine(outfileDirPath, "noname_" + pCodecContext->frame_number + ".pgm");
                pgm_save(frame->data[0], frame->linesize[0], frame->width, frame->height, outputFile);
            }

            return true;
        }

        // ffmpeg.exe를 사용해 비디오 파일의 이미지를 PGM(Portable Gray Map) 파일 포맷으로 출력하는 방법
        // ; https://www.sysnet.pe.kr/2/0/12912
        private static unsafe void pgm_save(byte* buf, int wrap, int xsize, int ysize, string filename)
        {
            using FileStream fs = new FileStream(filename, FileMode.Create);

            byte [] header = Encoding.ASCII.GetBytes($"P5\n{xsize} {ysize}\n255\n");
            fs.Write(header);

            // C# - byte * (바이트 포인터)를 FileStream으로 쓰는 방법
            // ; https://www.sysnet.pe.kr/2/0/12913
            for (int i = 0; i < ysize; i ++)
            {
                byte* ptr = buf + (i * wrap);
                ReadOnlySpan<byte> pos = new Span<byte>(ptr, xsize);

                fs.Write(pos);
            }
        }
    }
}

그런데, 문제가 있습니다. MPEG1Video 파일로 실제 테스트를 해보니 출력된 PGM 파일이 모두 다음과 같이 깨져 나옵니다.

mpeg1video_to_pgm_1.png

혹시나, C# 포팅의 문제가 있나 싶어서 C 언어를 그대로 실행해 봤지만 역시나 결과는 똑같았습니다.

(첨부 파일은 decode_video.c 파일의 C#과 Visual C++로 포팅한 프로젝트 파일을 포함합니다.)
(이 글의 소스 코드는 github에 올려져 있습니다.)



그렇긴 한데, 약간 이상한 면이 있습니다.

av_parser_parse2와 같은 함수를 호출하는데 여기에 딱히 gray 변환 같은 옵션을 주는 부분은 없습니다. 기본 디코딩이 gray가 아니라면 해당 MPEG1 파일이 컬러 영상이므로 그것을 그대로 (gray 포맷의) pgm 파일로 쓰는 것이 맞나...라는 의심이 생깁니다.

(2022-02-07 업데이트: 어차피 mpeg1video 코덱이 YUV420P 포맷의 프레임을 생성하기 때문에 Y 채널의 값을 pgm으로 저장하면 흑백으로 나오는 것이 맞습니다.)

결국, 뭔가 저 코드를 위한 gray 처리된 MPEG41Video가 있는 것인지, 아니면 저 코드 자체가 잘못된 것인지 판단이 안 됩니다. (혹시 아시는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



(2022-02-09 업데이트) 이 글의 소스 코드(결국 decode_video.c)를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글에 설명한 방법에 따라 생성한 동영상을 마련해야 합니다.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세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960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13/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2-01-17 11시04분
[이승준] 생각하시는부분이 맞습니다.
ffmpeg.exe의 경우 출력 포맷에 따라 기본적인 인코딩이나 컬러포맷변경을 자동으로 합니다.
저장하기 전에 컬러포맷을 pgm에 맞도록 해줘야 합니다.
ffmpeg 샘플 소스에 보면 videofilter 관련 소스가 있을 겁니다.
그걸 이용해서 변경을 해 주셔야 합니다. 또는 opencv를 이용해서 변경하시는방법도 있고요.

마지막으로 아마도 디코더 출력 컬러포맷이 yuv420일겁니다. y전체 데이터 + uv 전체 데이터 이런식일건데요.
저장을 y만 하면 됩니다. 크기는 width * heght 입니다.
[guest]
2022-01-17 11시23분
@이승준 설명 감사합니다. 그렇게 확인해 주시는 것과 부가 설명만 해도 ffmpeg 초보들에게는 큰 힘이 됩니다. ^^

그나저나, 그럼 애당초 decode_video.c의 예제에서 pgm_save를 저렇게 공개하면... 저같은 초보들은 헤맬 수밖에 없을 듯합니다. 암튼, 말씀해 주신 내용을 기반으로 pgm 저장 부분을 어떻게든 성공시켜야겠습니다. ^^
정성태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106정성태1/8/202019581VC++: 136. C++ - OSR Driver Loader와 같은 Legacy 커널 드라이버 설치 프로그램 제작 [1]
12105정성태1/8/202018079디버깅 기술: 153. C# - PEB를 조작해 로드된 DLL을 숨기는 방법
12104정성태1/7/202019262DDK: 9. 커널 메모리를 읽고 쓰는 NT Legacy driver와 C#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4]
12103정성태1/7/202022359DDK: 8. Visual Studio 2019 + WDK Legacy Driver 제작- Hello World 예제 [1]파일 다운로드2
12102정성태1/6/202018744디버깅 기술: 152. User 권한(Ring 3)의 프로그램에서 _ETHREAD 주소(및 커널 메모리를 읽을 수 있다면 _EPROCESS 주소) 구하는 방법
12101정성태1/5/202018955.NET Framework: 876. C# - PEB(Process Environment Block)를 통해 로드된 모듈 목록 열람
12100정성태1/3/202016429.NET Framework: 875. .NET 3.5 이하에서 IntPtr.Add 사용
12099정성태1/3/202019251디버깅 기술: 151. Windows 10 - Process Explorer로 확인한 Handle 정보를 windbg에서 조회 [1]
12098정성태1/2/202019007.NET Framework: 874. C# - 커널 구조체의 Offset 값을 하드 코딩하지 않고 사용하는 방법 [3]
12097정성태1/2/202017098디버깅 기술: 150. windbg - Wow64, x86, x64에서의 커널 구조체(예: TEB) 구조체 확인
12096정성태12/30/201919835디버깅 기술: 149. C# - DbgEng.dll을 이용한 간단한 디버거 제작 [1]
12095정성태12/27/201921518VC++: 135. C++ - string_view의 동작 방식
12094정성태12/26/201919240.NET Framework: 873. C# - 코드를 통해 PDB 심벌 파일 다운로드 방법
12093정성태12/26/201918802.NET Framework: 872. C# - 로딩된 Native DLL의 export 함수 목록 출력파일 다운로드1
12092정성태12/25/201917646디버깅 기술: 148. cdb.exe를 이용해 (ntdll.dll 등에 정의된) 커널 구조체 출력하는 방법
12091정성태12/25/201919922디버깅 기술: 147. pdb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symchk.exe 실행에 필요한 최소 파일 [1]
12090정성태12/24/201920020.NET Framework: 871. .NET AnyCPU로 빌드된 PE 헤더의 로딩 전/후 차이점 [1]파일 다운로드1
12089정성태12/23/201918915디버깅 기술: 146. gflags와 _CrtIsMemoryBlock을 이용한 Heap 메모리 손상 여부 체크
12088정성태12/23/201917900Linux: 28. Linux - 윈도우의 "Run as different user" 기능을 shell에서 실행하는 방법
12087정성태12/21/201918353디버깅 기술: 145. windbg/sos - Dictionary의 entries 배열 내용을 모두 덤프하는 방법 (do_hashtable.py) [1]
12086정성태12/20/201920798디버깅 기술: 144. windbg - Marshal.FreeHGlobal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12085정성태12/20/201918793오류 유형: 586. iisreset - The data is invalid. (2147942413, 8007000d) 오류 발생 - 두 번째 이야기 [1]
12084정성태12/19/201919249디버깅 기술: 143. windbg/sos - Hashtable의 buckets 배열 내용을 모두 덤프하는 방법 (do_hashtable.py) [1]
12083정성태12/17/201922227Linux: 27. linux - lldb를 이용한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의 메모리 덤프 분석 방법 [2]
12082정성태12/17/201920514오류 유형: 585. lsof: WARNING: can't stat() fuse.gvfsd-fuse file system
12081정성태12/16/201922361개발 환경 구성: 465. 로컬 PC에서 개발 중인 ASP.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을 다른 PC에서도 접근하는 방법 [5]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