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632. ASP.NET Core 프로젝트를 AKS/k8s에 올리는 과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362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625. AKS - Azure Kubernetes Service 생성 및 SLO/SLA 변경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922

개발 환경 구성: 627. AKS의 준비 단계 - ACR(Azure Container Registry)에 docker 이미지 배포
; https://www.sysnet.pe.kr/2/0/12925

개발 환경 구성: 628. AKS 환경에 응용 프로그램 배포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927

개발 환경 구성: 632. ASP.NET Core 프로젝트를 AKS/k8s에 올리는 과정
; https://www.sysnet.pe.kr/2/0/12931

개발 환경 구성: 633. Docker Desktop + k8s 환경에서 local 이미지를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938

개발 환경 구성: 711. Visual Studio로 개발 시 기본 등록하는 dev tag 이미지로 Docker Desktop k8s에서 실행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645




ASP.NET Core 프로젝트를 AKS/k8s에 올리는 과정

대개의 경우, 컨테이너를 고려했다면 "Enable Docker Support" 옵션을 켜서 프로젝트를 생성했을 것입니다. 만약, 그 옵션을 켜지 않았더라도 다음의 글에 따라 적절한 Dockerfile을 만들면 됩니다.

Visual Studio -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의 "Enable Docker Support" 옵션으로 달라지는 점
; https://www.sysnet.pe.kr/2/0/12171

그래서, 아래와 같은 Dockerfile이 있을 것입니다.

#See https://aka.ms/containerfastmode to understand how Visual Studio uses this Dockerfile to build your images for faster debugging.

# .NET 5: FROM mcr.microsoft.com/dotnet/aspnet:5.0 AS base
FROM mcr.microsoft.com/dotnet/core/aspnet:3.1-buster-slim AS base
WORKDIR /app
EXPOSE 80

# .NET 5: FROM mcr.microsoft.com/dotnet/sdk:5.0 AS build
FROM mcr.microsoft.com/dotnet/core/sdk:3.1-buster AS build
WORKDIR /src
COPY ["dotnet_razor31_sample/dotnet_razor31_sample.csproj", "dotnet_razor31_sample/"]
RUN dotnet restore "dotnet_razor31_sample/dotnet_razor31_sample.csproj"
COPY . .
WORKDIR "/src/dotnet_razor31_sample"
RUN dotnet build "dotnet_razor31_sample.csproj" -c Release -o /app/build

FROM build AS publish
RUN dotnet publish "dotnet_razor31_sample.csproj" -c Release -o /app/publish

FROM base AS final
WORKDIR /app
COPY --from=publish /app/publish .
ENTRYPOINT ["dotnet", "dotnet_razor31_sample.dll"]

Dockerfile의 내용에 따라 간편하게 "--target final"를 대상으로 빌드합니다.

c:\temp> docker build -f aks.Dockerfile -t dotnet_razor31_sample --target final .

이렇게 해서 로컬 컴퓨터의 docker에 "dotnet_razor31_sample" 이름의 이미지가 생성되었을 것입니다. 여기까지는 일반적인 docker 배포 과정과 같습니다.




자, 이제 그다음 단계로 AKS와 연결된 ACR에 이미지를 올려야 하는데요, 이것 역시 일반적인 docker registry에 올리는 과정과 동일합니다. 그러니까, 태깅 작업과 push를 합니다.

// 아래의 ariestest.azurecr.io 주소는 여러분들의 ACR로 교체합니다.

c:\temp> docker tag dotnet_razor31_sample ariestest.azurecr.io/dotnet_razor31_sample
c:\temp> docker push ariestest.azurecr.io/dotnet_razor31_sample

ACR에 올렸으니, AKS 대시보드의 Azure Cloud Shell이나 로컬에 구성한 Azure CLI에서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배포를 담은 yaml 파일을,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net-razor31-sample
spec:
  replicas: 1
  selector:
    matchLabels:
      app: dotnet-razor31-sample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dotnet-razor31-sample
    spec:
      containers:
      - name: dotnet-razor31-sample
        image: ariestest.azurecr.io/dotnet_razor31_sample
        ports:
        - containerPort: 80
---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dotnet-razor31-sample
spec:
  type: LoadBalancer
  ports:
  - port: 13502
    targetPort: 80
    protocol: TCP
    name: http
  selector:
    app: dotnet-razor31-sample

적용합니다.

C:\temp> kubectl apply -f test.yaml

C:\temp> kubectl get svc
NAME                    TYPE           CLUSTER-IP     EXTERNAL-IP      PORT(S)           AGE
dotnet-razor31-sample   LoadBalancer   10.0.83.129    20.196.248.89    13502:31090/TCP   23m

끝입니다, 이제 yaml의 Service에 지정했던 포트와 EXTERNAL-IP(위의 예제에서는 "http://20.196.248.89:13502/")로 접속하면 서비스가 올라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본 김에, Pod에 볼륨도 연결해 볼까요? ^^

이전에 만들어 둔 볼륨을,

AKS/k8s의 Pod에 Volume 연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929

AKS/k8s의 Volume에 파일 복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930

연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추가 변경만 하면 됩니다.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net-razor31-sample
spec:
  replicas: 1
  selector:
    matchLabels:
      app: dotnet-razor31-sample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dotnet-razor31-sample
    spec:
      containers:
      - name: dotnet-razor31-sample
        image: ariestest.azurecr.io/dotnet_razor31_sample
        ports:
        - containerPort: 80
        env:
        volumeMounts:
        - mountPath: "/my_dir"
          name: volume
      volumes:
        - name: volume
          persistentVolumeClaim:
            claimName: my-azure-file
...[생략]...

역시 변경 사항 적용하고,

C:\temp> kubectl apply -f test.yaml

실제로 볼륨이 연결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pod의 NAME으로,

C:\temp> kubectl get pod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net-razor31-sample-67cdf4584f-fpl5z   1/1     Running   0          12s

kubectl exec 명령을 실행해 shell로 진입하면,

C:\temp> kubectl exec --stdin --tty net-razor31-sample-67cdf4584f-fpl5z -- /bin/bash

yaml에 지정한 대로 루트 디렉터리 하위에 "my_dir"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temp> kubectl exec --stdin --tty net-razor31-sample-67cdf4584f-fpl5z -- /bin/bash

root@aks-agentpool-20726260-vmss000000:/app# ls /
app  bin  boot  dev  etc  home  lib  lib64  media  mnt  my_dir  opt  proc  root  run  sbin  srv  sys  tmp  usr  var




그 외에, autoscale 기능도 테스트해 보시고. ^^

AKS 환경에 응용 프로그램 배포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927#autoscale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3/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710정성태10/2/201822046.NET Framework: 794. C# - 같은 모양, 다른 값의 한글 자음을 비교하는 호환 분해 [5]
11709정성태9/30/201820357개발 환경 구성: 402. .NET Core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docker로 실행/디버깅하는 방법 [1]
11708정성태9/30/201822498개발 환경 구성: 401. .NET Core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배포(publish) 시 docker image 자동 생성 [2]파일 다운로드1
11707정성태9/30/201823863오류 유형: 489. ASP.NET Core를 docker에서 실행 시 "Failed with a critical error." 오류 발생 [1]
11706정성태9/29/201820030개발 환경 구성: 400. Synology NAS(DS216+II)에서 실행한 gcc의 Segmentation fault [2]
11705정성태9/29/201820855개발 환경 구성: 399. Synology NAS(DS216+II)에 gcc 컴파일러 설치
11704정성태9/29/201824891기타: 73. Synology NAS 신호음(beep) 끄기 [1]파일 다운로드1
11703정성태9/27/201819648개발 환경 구성: 398. Blazor 환경 구성 후 빌드 속도가 너무 느리다면? [2]
11702정성태9/26/201816870사물인터넷: 44. 넷두이노(Netduino)의 네트워크 설정 방법
11701정성태9/26/201822619개발 환경 구성: 397. 공유기를 일반 허브로 활용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700정성태9/21/201820684Graphics: 25. Unity - shader의 직교 투영(Orthographic projection) 행렬(UNITY_MATRIX_P)을 수작업으로 구성
11699정성태9/21/201819159오류 유형: 488. Add-AzureAccount 실행 시 "No subscriptions are associated with the logged in account in Azure Service Management (RDFE)." 오류
11698정성태9/21/201820402오류 유형: 487. 윈도우 성능 데이터를 원격 SQL에 저장하는 경우 "Call to SQLAllocConnect failed with %1." 오류 발생
11697정성태9/20/201819321Graphics: 24. Unity - unity_CameraWorldClipPlanes 내장 변수 의미
11696정성태9/19/201820234.NET Framework: 793. C# - REST API를 이용해 NuGet 저장소 제어파일 다운로드1
11695정성태9/19/201825375Graphics: 23. Unity - shader의 원근 투영(Perspective projection) 행렬(UNITY_MATRIX_P)을 수작업으로 구성
11694정성태9/17/201819613오류 유형: 486. nuget push 호출 시 405 Method Not Allowed 오류 발생
11693정성태9/16/201822786VS.NET IDE: 128. Unity - shader 코드 디버깅 방법
11692정성태9/13/201823085Graphics: 22. Unity - shader의 Camera matrix(UNITY_MATRIX_V)를 수작업으로 구성
11691정성태9/13/201820030VS.NET IDE: 127. Visual C++ / x64 환경에서 inline-assembly를 매크로 어셈블리로 대체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1690정성태9/13/201823009사물인터넷: 43. 555 타이머의 단안정 모드파일 다운로드1
11689정성태9/13/201822281VS.NET IDE: 126. 디컴파일된 소스에 탐색을 사용하도록 설정(Enable navigation to decompiled sources)
11688정성태9/11/201817650오류 유형: 485. iisreset - The data is invalid. (2147942413, 8007000d) 오류 발생
11687정성태9/11/201819512사물인터넷: 42. 사물인터넷 - 트랜지스터 다중 전압 테스트파일 다운로드1
11686정성태9/8/201818562사물인터넷: 41. 다중 전원의 소스를 가진 회로파일 다운로드1
11685정성태9/6/201818524사물인터넷: 40. 이어폰 소리를 capacitor로 필터링파일 다운로드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