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msbuild - The BaseOutputPath/OutputPath property is not set for project '[...].vcxproj'

리눅스용 C++ 프로젝트를 빌드했는데,

D:\Test> msbuild.exe "libTest.vcxproj" /p:Platform=x64;Configuration=Release; /t:Rebuild
Microsoft (R) Build Engine version 17.1.0+ae57d105c for .NET Framework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Build started 2022-03-02 오후 3:07:30.
Project "D:\Test\libTest.vcxproj" on node 1 (Rebuild target(s)).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22\BuildTools\MSBuild\Current\Bin\amd64\Microsoft.Common.CurrentVersion.targets(823,5): error: The BaseOutputPath/OutputPath property is not set for project 'libTest.vcxproj'. Please check to make sure that you have specified a valid combination of Configuration and Platform for this project. Configuration='Release' Platform='x64'. You may be seeing this message because you are trying to build a project without a solution file, and have specified a non-default Configuration or Platform that doesn't exist for this project. [D:\Test\libTest.vcxproj]
Done Building Project "D:\Test\libTest.vcxproj" (Rebuild target(s)) -- FAILED.

Build FAILED.

"D:\Test\libTest.vcxproj" (Rebuild target) (1) ->
(_CheckForInvalidConfigurationAndPlatform target) ->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22\BuildTools\MSBuild\Current\Bin\amd64\Microsoft.Common.CurrentVersion.targets(823,5): error : The BaseOutputPath/OutputPath property is not set for project 'libTest.vcxproj'. Please check to make sure that you have specified a valid combination of Configuration and Platform for this project. Configuration='Release' Platform='x64'. You may be seeing this message because you are trying to build a project without a solution file, and have specified a non-default Configuration or Platform that doesn't exist for this project. [D:\Test\libTest.vcxproj]

0 Warning(s)
1 Error(s)


보는 바와 같이 "The BaseOutputPath/OutputPath property is not set for project '[...].vcxproj'" 오류가 발생합니다. 전에도 한번 이런 적이 있었는데,

Visual Studio 빌드 실패 - The OutputPath property is not set for project
; https://www.sysnet.pe.kr/2/0/11162

이번과는 상황이 다르군요. ^^; 오류 메시지만으로는 solution을 함께 지정해 빌드하면,

msbuild MyProduct.sln -t:libTest:Rebuild /p:Platform=x64;Configuration=Release

해결될 것처럼 나오지만 여전히 오류에는 변화가 없습니다. 특이한 점이라면, 해당 빌드를 수행한 머신은 "Build Tools"만을 설치한 서버였다는 점입니다.

Build Tools for Visual Studio 2022
; https://aka.ms/vs/17/release/vs_BuildTools.exe

재미있는 것은, "Build Tools"가 비주얼 스튜디오의 모든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있지는 않다는 점입니다. 즉, "Build Tools"만을 설치한 환경에는 Visual Studio의 경우 포함하고 있는 "Linux and embedded development with C++" 구성 요소가,

build_tools_linux_dev_1.png

없는데요, 아마도 이 영향 때문에 빌드 시 저런 오류가 발생하는 듯합니다. 실제로 해당 머신에 비주얼 스튜디오를 설치하면 동일한 빌드 명령어가 아무런 오류 없이 잘 실행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2/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57정성태9/21/200519489기타: 10. SQL2000 설치 시, Invalid Product Key 오류
156정성태9/16/200521414.NET Framework: 43. Wisptis.exe 프로세스
155정성태5/31/200517748.NET Framework: 42. .NET Installer Class에서 Install 메서드 - 설정 사항들 알아내는 코드
154정성태5/13/200516681VS.NET IDE: 30. Windows 2003 for x64에 추가된 레지스트리 Run 노드
152정성태5/5/200520066VC++: 18. VC++ 7.0에서부터 ? : 연산자 처리가 바뀌었습니다.
153정성태5/12/200520393    답변글 VC++: 18.1. VC++ 8.0에서부터 바뀐 CRT 소개
151정성태5/5/200523312VC++: 17. DLL에 export 된 C++ 클래스 멤버 함수 파라미터형 정보 알아내는 방법
150정성태5/5/200524365.NET Framework: 41. 태그 사이의 값을 추출하는 정규식
149정성태5/5/200520964.NET Framework: 40. 데이터그리드에서 콤보박스 쓸 수 있는 방법
148정성태5/5/200521378.NET Framework: 39. DataSet 방식을 RecordSet으로 구현하는 방법.
147정성태5/7/200618813VC++: 16. 클래스 멤버 함수에 대한 포인터를 받는 표현.
146정성태4/29/200517990VS.NET IDE: 29. 네트워크 공유를 다른 사용자 계정으로 다시 로그인을 원하는 경우.
144정성태4/14/200518386VS.NET IDE: 28. Windows 2003 SP1을 설치하고.
143정성태5/5/200519706.NET Framework: 38. DSL (Domain Specific Language)
141정성태4/14/200520450VS.NET IDE: 27. 64bit 컴퓨터 사용 평가 [3]
140정성태4/14/200517567.NET Framework: 37. String.GetHashCode의 리턴값. 그때그때 다릅니다.
138정성태4/12/200518308.NET Framework: 36. 64bit 시스템 구성
142정성태4/14/200519725    답변글 VS.NET IDE: 36.1. 메모리 구성에 대한 추가 내용
137정성태3/31/200524029.NET Framework: 35. XP SP2 팝업 뚫은 소스
135정성태3/31/200522781VS.NET IDE: 26. SQL Server 2000구성이 실패
134정성태3/31/200519860COM 개체 관련: 16. Microsoft.XMLHTTP 개체에서 Microsoft.XMLDOM 개체를 전송할 때 charset 지정 문제? [2]
128정성태3/30/200518439.NET Framework: 34. VC++에서 Managed 타입의 메서드에 BSTR을 넘기는 경우의 오류(!)
129정성태3/30/200520626    답변글 .NET Framework: 34.1. 위의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나온 것입니다.
130정성태3/30/200517696        답변글 .NET Framework: 34.2. 다시... 제가 질문한 내용입니다. ^^
131정성태3/30/200518216            답변글 .NET Framework: 34.3. 다시... 정봉겸님이 하신... 명확한 답변입니다.
126정성태3/26/200518014.NET Framework: 33. Proxy 환경에서의 Smart Client 업데이트 문제 [1]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