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웹캠 카메라 인식이 안 되는 경우

이상하군요, Zoom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카메라 인식을 잘 하는데, 윈도우의 카메라 앱으로 하니까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카메라를 시작할 수 없습니다.
카메라를 올바로 연결하여 설치했다면 업데이트된 드라이버를 확인하세요.

필요한 경우 오류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0xA00F429F<WindowShowFailed> (0x80070003)

또한, Edge나 Chrome 웹 브라우저에서도 카메라 인식이 안 됩니다. 장치 관리자(Device Manager)에서 보니까 "Sound, video and game controllers" 범주에 "Microsoft Streaming Service Proxy"가 다음과 같은 오류가 있는데요,

Microsoft Streaming Service Proxy

Windows cannot load the device driver for this hardware. The driver may be corrupted or missing. (Code 39)

The specified image file did not have the correct format, it did not have an initial MZ.

관련 글을 검색해 보면,

Windows can’t start your Camera, Error 0xA00F429F
; https://www.thewindowsclub.com/windows-10-cant-start-your-camera-0xa00f429f

다음의 절차를 따르라고 합니다.

1) 카메라 앱을 제거: Get-AppxPackage *camera* | Remove-AppxPackage

2) 컴퓨터 재시작

3) 카메라 앱 재설치: https://www.microsoft.com/en-us/p/windows-camera/9wzdncrfjbbg

혹시나 싶어, "Microsoft Streaming Service Proxy" 장치도 제거를 한 다음 재부팅을 했는데요, 어쨌든 저대로 하니까 잘 됩니다. ^^;

그런데, "Microsoft Streaming Service Proxy" 장치 때문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왜냐하면 장치 관리자에 있었던 "Microsoft Streaming Service Proxy" 서비스는 재설치가 되지는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것 없이도 카메라 앱 동작에는 문제가 없었던 것입니다.

(업데이트 2022-03-28) 얼마 후 다시 이 문제가 발생했고, 이번에도 장치 관리자에는 "Microsoft Streaming Service Proxy" 서비스가 code 39 문제로 올라오지 않았습니다.

webcam_code_39_1.png

Microsoft Streaming Service Proxy

Windows cannot load the device driver for this hardware. The driver may be corrupted or missing. (Code 39)

The instruction at 0x%p referenced memory at 0x%p. The memory could not be %s.
해당 장치를 삭제하고 다시 부팅하면 정상적으로 웹 캠이 동작했는데요, 아마도 미래의 어느 시점에는 다시 "Microsoft Streaming Service Proxy" 서비스가 설치되며 code 39 문제가 발생할 텐데... 문제군요. ^^; 이와 관련해서는 좀 더 살펴봐야겠습니다.

(2022-04-15: 업데이트) 어느 순간 자꾸만 "Microsoft Streaming Service Proxy" 서비스가 설치가 되면서 같은 문제가 반복되는데요. 그러면서 알게 된 것이, 해당 장치를 삭제하고 웹 캠을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다시 시작하는 걸로 웹 캠 동작이 되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15/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982정성태8/2/20259개발 환경 구성: 753. CentOS 7 컨테이너 내에서 openssh 서버 호스팅
13981정성태8/1/2025266오류 유형: 971. CentOS 7에서 yum 사용 시 "Could not resolve host: mirrorlist.centos.org; Unknown error"
13980정성태7/31/2025313Linux: 119. eBPF - BPF_PROG_TYPE_CGROUP_SOCK 유형에서 정상 동작하지 않는 BPF_CORE_READ (2)
13979정성태7/30/2025342Linux: 118. eBPF - BPF_PROG_TYPE_CGROUP_SOCK 유형에서 정상 동작하지 않는 BPF_CORE_READ
13978정성태7/29/2025440오류 유형: 970. 파일 복사 시 "Data error (cyclic redundancy check). (0x80070017)" 에러
13977정성태7/28/2025566닷넷: 2349. C# 14 - (5) 문자열 리터럴을 utf-8 인코딩으로 저장파일 다운로드1
13976정성태7/25/2025824닷넷: 2348. C# - 카카오 카나나 모델 + Microsoft.ML.OnnxRuntimeGenAI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975정성태7/23/2025959닷넷: 2347. C# 14 - (4) 형식 인자가 없는 제네릭 타입의 nameof 지원파일 다운로드1
13974정성태7/22/20251310닷넷: 2346. C# 14 - (3) Span 타입과 배열 간의 암시적 형변환파일 다운로드1
13973정성태7/21/20251194닷넷: 2345. C# - 배열 및 Span의 공변성파일 다운로드1
13972정성태7/21/20251374닷넷: 2344. C#의 Identity conversion 의미파일 다운로드1
13971정성태7/17/20251443닷넷: 2343. C# 14 - (2) 속성 구문에서 문맥 키워드로 추가되는 field 예약어파일 다운로드1
13970정성태7/17/20251389닷넷: 2342. C# 14 - (1) (예약)
13969정성태7/17/20251437닷넷: 2341. snap으로 설치한 .NET 리눅스 실행 환경
13968정성태7/16/20251320오류 유형: 969. lddtree - TypeError: 'type' object is not subscriptable
13967정성태7/16/20251847오류 유형: 968. snap으로 설치한 "dotnet run" 실행 시 "undefined symbol: _dl_audit_symbind_alt, version GLIBC_PRIVATE" 오류
13966정성태7/15/20252397디버깅 기술: 223. WinDbg - .kframes 명령어
13965정성태7/11/20251679오류 유형: 967. 디버깅 모드로 실행 시 "Could not find file 'C:\Program Files\IIS Express\Oracle.DataAccess.Common.Configuration.Section.xsd'" 예외
13964정성태7/10/20252344닷넷: 2340. C# - Win32 Multimedia Timer 주기파일 다운로드1
13963정성태7/8/20251885VS.NET IDE: 202. Visual Studio 2022 + Copilot 기본 사용법
13962정성태7/7/20251900스크립트: 79. 파이썬 - onnxruntime_genai에서 지원하지 않는 모델 사용
13961정성태7/5/20251609디버깅 기술: 222. WinDbg 분석 사례 - IISreset 시점에 w3wp.exe의 crash 발생
13960정성태7/3/20252800개발 환경 구성: 752. ProcDump - C/C++ 예외 코드 필터를 지정한 덤프 생성 [2]
13959정성태6/25/20251820오류 유형: 966. Ubuntu - ping: connect: Network is unreachable
13958정성태6/21/20252497닷넷: 2339. C# - Phi-4-multimodal 모델의 GPU 가속 방법 (ORT 사용)파일 다운로드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