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C# - Local '...' or its members cannot have their address taken and be used inside an anonymous method or lambda expression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코드를 작성하면,

using System;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unsafe void Main(string[] args)
    {
        MyStruct* ptr = null;
        MyStruct** ptr2 = &ptr;

        Action action = () =>
        {
            if (ptr == null)
            {
                Console.Write("TEST");
            }
        };

        t.Start();
    }
}

public struct MyStruct
{
    public int x;
}

컴파일 오류가 발생합니다.

Error CS1686 Local 'ptr' or its members cannot have their address taken and be used inside an anonymous method or lambda expression

위에서 "MyStruct** ptr2 = &ptr;" 코드가 없거나, ptr 포인터 사용을 익명 메서드 또는 람다식에서 사용하지 않으면 오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C# 컴파일러는 익명 메서드에서 ptr 변수를 캡처하기 위해 익명 클래스와 함께 그것의 필드에 ptr의 현재 값을 저장해 둡니다. 하지만, 그 ptr의 포인터를 다시 2중 포인터에 대입함으로써 나중에 ptr의 값이 바뀔 것을 예측할 수 있지만 정작 캡처된 변수는 Main 메서드가 가진 ptr 변수의 값을 복사만 한 것이므로 ptr2 이중 포인터의 동작과는 무관하게 됩니다. 즉, 사용자의 의도와는 달리 action 내부의 메서드에서 (캡처된) ptr 변수는 그냥 영원히 null에 불과합니다.

이 상황에서 컴파일 오류를 해결하려면, 단순히 ptr 변수가 아닌 ptr2 변수를 넘기면 됩니다.

MyStruct* ptr = null;
MyStruct** ptr2 = &ptr;

Action action = () =>
{
    if (*ptr2 == null)
    {
        Console.Write("TEST");
    }
};

하지만, 오류의 원인을 설정했던 컴파일러의 걱정을 무시하면 안 됩니다. 즉, 저런 코드에서 개발자는 반드시 익명 메서드 또는 람다식의 실행이 저 코드를 포함한 메서드가 실행 중인 동안에만 유효하게끔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즉, 아래와 같은 식으로 지역 변수가 포함된 메서드 내에서 실행을 완료하는 경우에만 안전한 코드가 됩니다.

using System;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unsafe void Main(string[] args)
    {
        MyStruct data = new MyStruct();
        data.x = 500;
        MyStruct* ptr = &data;
        MyStruct** ptr2 = &ptr;

        Action action = () =>
        {
            if (*ptr2 != null)
            {
                Console.Write($"TEST: {(*ptr2)->x}"); // 출력 결과 TEST: 500
            }
        };

        action();
    }
}

public struct MyStruct
{
    public int x;
}

그렇지 않고, 스택이 파괴될 수 있는 상황에서는,

static unsafe void Main(string[] args)
{
    Action action = GetAction();
    Span<byte> ptr = stackalloc byte[100];
    for (int i = 0; i < ptr.Length; i ++) // 이전 스택 파괴
    {
        ptr[i] = 0x70;
    }
    action();
}

private static unsafe Action GetAction()
{
    MyStruct data = new MyStruct();
    data.x = 500;
    MyStruct* ptr = null;
    MyStruct** ptr2 = &ptr;

    Action action = () =>
    {
        if (*ptr2 != null)
        {
            IntPtr p = new IntPtr(*ptr2);
            Console.WriteLine($"p == {p.ToString("x")}");
            Console.Write($"TEST: {(*ptr2)->x}");
        }
    };

    *ptr2 = &data;

    return action;
}

다음과 같은 식의 출력 결과를 얻게 됩니다.

p == 7070707070707070
Fatal error.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 Attempted to read or write protected memory. This is often an indication that other memory is corrupt.
   at Program+<>c__DisplayClass1_0.<GetAction>b__0()
   at Program.Main(System.String[])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21/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836정성태3/5/201923355오류 유형: 525. Visual Studio 2019 Preview 4/RC - C# 8.0 Missing compiler required member 'System.Range..ctor' [1]
11835정성태3/5/201921839.NET Framework: 810. C# 8.0의 Index/Range 연산자를 .NET Framework에서 사용하는 방법 및 비동기 스트림의 컴파일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1834정성태3/4/201920638개발 환경 구성: 432. Visual Studio 없이 최신 C# (8.0) 컴파일러를 사용하는 방법
11833정성태3/4/201921191개발 환경 구성: 431. Visual Studio 2019 - CMake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리눅스 프로젝트 설정파일 다운로드1
11832정성태3/4/201917101오류 유형: 524. Visual Studio CMake - rsync: connection unexpectedly closed
11831정성태3/4/201916934오류 유형: 523. Visual Studio 2019 - 새 창으로 뜬 윈도우를 닫을 때 비정상 종료
11830정성태2/26/201916627오류 유형: 522. 이벤트 로그 - Error opening event log file State. Log will not be processed. Return code from OpenEventLog is 87.
11829정성태2/26/201918322개발 환경 구성: 430.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예제 빌드 방법 - 리눅스 환경 [1]
11828정성태2/26/201926217개발 환경 구성: 429. Component Services 관리자의 RuntimeBroker 설정이 2개 있는 경우 [8]
11827정성태2/26/201919150오류 유형: 521. Visual Studio - Could not start the 'rsync' command on the remote host, please install it using your system package manager.
11826정성태2/26/201919336오류 유형: 520. 우분투에 .NET Core SDK 설치 시 패키지 의존성 오류
11825정성태2/25/201924605개발 환경 구성: 428. Visual Studio 2019 - CMake를 이용한 리눅스 빌드 환경 설정 [1]
11824정성태2/25/201919045오류 유형: 519. The SNMP Service encountered an error while accessing the registry key 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SNMP\Parameters\TrapConfiguration. [1]
11823정성태2/21/201920650오류 유형: 518. IIS 관리 콘솔이 뜨지 않는 문제
11822정성태2/20/201918991오류 유형: 517. docker에 설치한 MongoDB 서버로 연결이 안 되는 경우
11821정성태2/20/201919740오류 유형: 516. Visual Studio 2019 - This extension uses deprecated APIs and is at risk of not functioning in a future VS update. [1]
11820정성태2/20/201922814오류 유형: 515. 윈도우 10 1809 업데이트 후 "User Profiles Service" 1534 경고 발생
11819정성태2/20/201922074Windows: 158. 컴퓨터와 사용자의 SID(security identifier) 확인 방법
11818정성태2/20/201920165VS.NET IDE: 131. Visual Studio 2019 Preview의 닷넷 프로젝트 빌드가 20초 이상 걸리는 경우 [2]
11817정성태2/17/201916520오류 유형: 514. WinDbg Preview 실행 오류 - Error : DbgX.dll : WindowsDebugger.WindowsDebuggerException: Could not load dbgeng.dll
11816정성태2/17/201919984Windows: 157. 윈도우 스토어 앱(Microsoft Store App)을 명령행에서 직접 실행하는 방법
11815정성태2/14/201918198오류 유형: 513. Visual Studio 2019 - VSIX 설치 시 "The extension cannot be installed to this product due to prerequisites that cannot be resolved." 오류 발생
11814정성태2/12/201917067오류 유형: 512. VM(가상 머신)의 NT 서비스들이 자동 시작되지 않는 문제
11813정성태2/12/201918359.NET Framework: 809. C# - ("Save File Dialog" 등의) 대화 창에 확장 속성을 보이는 방법
11812정성태2/11/201915695오류 유형: 511. Windows Server 2003 VM 부팅 후 로그인 시점에 0xC0000005 BSOD 발생
11811정성태2/11/201920926오류 유형: 510. 서버 운영체제에 NVIDIA GeForce Experience 실행 시 wlanapi.dll 누락 문제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