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8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268. .NET Array는 왜 12bytes의 기본 메모리를 점유할까?
; https://www.sysnet.pe.kr/2/0/1173

.NET Framework: 269. 일반 참조형의 기본 메모리 소비는 얼마나 될까요?
; https://www.sysnet.pe.kr/2/0/1174

.NET Framework: 270. .NET 참조 개체 인스턴스의 Object Header를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75

.NET Framework: 271. C#에서 확인해 보는 관리 힙의 인스턴스 구조
; https://www.sysnet.pe.kr/2/0/1176

.NET Framework: 401. windbg에서 확인해 보는 관리 힙의 인스턴스 구조
; https://www.sysnet.pe.kr/2/0/1559

.NET Framework: 1003. x64 환경에서 참조형의 기본 메모리 소비는 얼마나 될까요?
; https://www.sysnet.pe.kr/2/0/12486

.NET Framework: 1004. C# - GC Heap에 위치한 참조 개체의 주소를 알아내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487

.NET Framework: 1184. C# - GC Heap에 위치한 참조 개체의 주소를 알아내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3017




C# - GC Heap에 위치한 참조 개체의 주소를 알아내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아래에 글에서는,

C# - GC Heap에 위치한 참조 개체의 주소를 알아내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487

TypedReference와 __makeref를 이용해 주소를 알아내고 있는데요, Unsafe 타입을 이용하면 이를 좀 더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우선, 다음과 같이 사용해 보면 어떨까요?

using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

class Program
{
    public int value = 0xff;

    static unsafe void Main(string[] args)
    {
        Program pg = new Program();

        {
            void* ptr = Unsafe.AsPointer(ref pg);
            Console.WriteLine(ToHex16(ptr));
        }
    }

    private static unsafe string ToHex16(void* ptr)
    {
        return ToHex16(new IntPtr(ptr));
    }

    private static unsafe string ToHex16(IntPtr ptr)
    {
        string text = ptr.ToString("x16");
        return Split8(text);
    }

    private static unsafe string Split8(string text)
    {
        return text.Substring(0, 8) + "`" + text.Substring(8);
    }
}

위와 같은 사용법은, pg 변수가 가리키는 힙 메모리의 주소를 가져오는 것이 아니고, pg 변수 자체가 위치한 스택의 위치를 가져오는 것입니다. 따라서, 그 스택에서 담고 있는 포인터 값을 다시 가져와야,

{
    void* ptr = Unsafe.AsPointer(ref pg);
    Console.WriteLine(ToHex16(ptr));

    nint* pStack = (nint*)ptr; // nint (원시 크기 정수)
    nint heapAddr = *pStack;

    Console.WriteLine(Split8(heapAddr.ToString("x16")));
}

/* 출력 결과
00000085`fff7e578 // pg 변수가 위치한 스택의 위치
00000256`8000f6e8 // pg 변수가 가리키는 힙의 Program 인스턴스 위치
*/

이제 제대로 된 위치가 나옵니다. 실제로 위의 2번째 값과 "C# - GC Heap에 위치한 참조 개체의 주소를 알아내는 방법" 글에서 설명한 GetRefAddress 메서드가 반환하는 값은 동일합니다.




참고로, 클래스에 포함된 필드에 대한 힙 메모리의 주소는 단순히 이런 식으로만 호출하면 됩니다.

// 힙에 있는 인스턴스의 주소를 AsPointer로 구하는 것은 pinning 상태가 아니므로 사용 시 유의해야 합니다.
{
    void* ptr = Unsafe.AsPointer(ref pg.value);
    Console.WriteLine(ToHex16(ptr)); // 출력 결과: 00000256`8000f6f0
}

위의 위치는 pg 인스턴스가 위치한 주솟값(위의 경우 00000256`8000f6e8)에서 정확히 8바이트 떨어진 위치에 해당합니다. 왜냐하면, "이전 글"에서 설명한 대로 pg 변수가 가리키는 위치는 Program 변수가 가진 시작 필드의 메모리 위치가 아닌, MethodTable 주소를 담고 있는 헤더의 위치이기 때문입니다.




정리해 보면, C#에서 제공하는 아래의 표현은,

// C#
void* ptr = Unsafe.AsPointer(ref pg.value);

C/C++에서 제공하는 "&" 주소 연산자라고 보시면 됩니다.

// C++이라고 가정
void* ptr = &pg.value; // "Unsafe.AsPointer(ref ..)"

그리고, 저런 C++ 표현을 C#에서도 이미 fixed 문법으로 제공하는 상태입니다.

// C#
fixed(void* ptr = &pg.value)
{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30/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2-03-29 09시36분
[guest] 안녕하세요. fixed 대신 Unsafe.AsPointer(ref class)을 사용할 경우 주소는 고정이 되는걸까요?
[guest]
2022-03-29 12시07분
@손님 오~~~ 좋은 질문입니다. ^^ 저도 저 글을 쓰면서 간과한 내용인데요, 답변이 다소 길어질 것 같으니 퇴근 후 별도 글로 정리하겠습니다. (결과만 먼저 말씀드리면 고정되지 않습니다.)
정성태
2022-03-30 12시07분
@손님 아래의 글에 설명했으니 참고하세요.

C# - Unsafe.AsPointer가 반환한 포인터는 pinning 상태일까요?
; https://www.sysnet.pe.kr/2/0/13018
정성태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849정성태9/14/201557148오류 유형: 307. CLR20r3 오류 해결을 위해 mscorlib.dll을 덮어쓸때 주의할 점 [12]
10848정성태9/8/201527496VS.NET IDE: 103. Visual Studio의 Ctrl + F5 실행 동작파일 다운로드1
10847정성태9/8/201523655VS.NET IDE: 102. 목록(List) 타입의 값을 디버깅 중 Watch 창에서 확인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0846정성태9/8/201521020오류 유형: 306. "query user" 명령어에 공백 문자가 포함된 계정을 전달하는 경우
10845정성태9/3/201522106오류 유형: 305. 윈도우 백업 시 오류 - 0x80780166
10844정성태9/2/201523319.NET Framework: 528. C# - 상호 참조하는 경우의 정적 생성자 동작 방식 [4]파일 다운로드1
10843정성태9/1/201524013VS.NET IDE: 101. Visual Studio 2015의 솔루션 탐색기가 클래스 뷰 정보로 인해 느려지는 현상
10842정성태9/1/201521068.NET Framework: 527. 닷넷 사용자 정의 예외 클래스의 최소 구현 코드 - 세 번째 이야기
10841정성태8/31/201530378개발 환경 구성: 276. Visual Studio 2013에서 C# 6과 닷넷 4.6 기능을 사용하려면?
10839정성태8/22/201528925Windows: 112. 윈도우 10에서 터치 키보드를 안 뜨게 할 수 있는 방법 [4]
10838정성태8/22/201539246오류 유형: 304. Windows 10에서 VPN 연결이 실패한다면? [3]
10837정성태8/21/201519518오류 유형: 303. Your computer is low on memory. Save your files and close these programs...
10836정성태8/21/201520540오류 유형: 302. 설치 파일 실행 시 "This app can't run on your PC" 오류가 뜬다면?
10835정성태8/21/201528994웹: 31. Microsoft Edge 브라우저를 명령행에서 띄우는 방법 [1]
10834정성태8/19/201521188.NET Framework: 526. 닷넷 - 값 형식을 new 없이 생성하면 0으로 초기화되지 않는다?
10833정성태8/18/201525705.NET Framework: 525. C# - 닷넷에서 프로세스가 열고 있는 파일 목록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0832정성태8/17/201530096디버깅 기술: 74. x64 콜 스택 인자 추적과 windbg의 Child-SP, RetAddr, Args to Child 값 확인 [8]파일 다운로드2
10831정성태8/13/201530177.NET Framework: 524. .NET 4.0과 .NET 4.5의 컴파일 결과 차이점 [1]파일 다운로드1
10830정성태8/12/201524112개발 환경 구성: 275. Web.config이 적용되지 않는 프로젝트에서 Razor 템플릿 파일의 C# 컴파일러 버전 제어 [1]
10829정성태8/10/201526205개발 환경 구성: 274. PowerShell/명령행에서 JDK/JRE를 무인(unattended)/자동 설치를 하는 방법 [3]
10828정성태8/10/201531770웹: 30. Edge 브라우저에서 "이 웹 사이트에는 Internet Explorer가 필요함" 단계를 없애는 방법 [1]
10827정성태7/8/201533183개발 환경 구성: 273. Visual Studio 2015에서 Github와 연동하는 방법 [3]
10826정성태7/8/201522856오류 유형: 301. The trust relationship between this workstation and the primary domain failed. - 두 번째 이야기
10825정성태7/8/201522357개발 환경 구성: 272. Visual Studio IDE 설치 없이 Visual Studio SDK 설치하는 방법
10824정성태7/7/201527509개발 환경 구성: 271. Team Foundation Server 2015 설치 방법 [1]
10823정성태7/7/201528047오류 유형: 300. SqlException (0x80131904): Unable to open the physical file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