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5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308. .NET System.Threading.Thread 개체에서 Native Thread Id를 구할 수 있을까?
; https://www.sysnet.pe.kr/2/0/1244

.NET Framework: 452. .NET System.Threading.Thread 개체에서 Native Thread Id를 구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724

.NET Framework: 1189. C# - 런타임 환경에 따라 달라진 AppDomain.GetCurrentThreadId 메서드
; https://www.sysnet.pe.kr/2/0/13024

닷넷: 2311. C# - Windows / Linux 환경에서 Native Thread ID 가져오기
; https://www.sysnet.pe.kr/2/0/13814

닷넷: 2312. C#, C++ - Windows / Linux 환경의 Thread Name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3816




C# - 런타임 환경에 따라 달라진 AppDomain.GetCurrentThreadId 메서드

AppDomain.GetCurrentThreadId 메서드를 사용한 다음의 코드를,

using System;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internal class Program
{
    [DllImport("kernel32.dll")]
    static extern long GetCurrentThreadId();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ole.WriteLine($"Runtime Version: {Environment.Version}");
        Console.WriteLine();

        long idFromNative = GetCurrentThreadId();
        int idFromAppDomain = AppDomain.GetCurrentThreadId();
        long idFromThread = Thread.CurrentThread.ManagedThreadId;
        Console.WriteLine($"{idFromAppDomain}, {idFromThread}, {idFromNative}");
    }
}

(현재 기준 LTS 버전 지원 중인) .NET Core 3.1+ 환경에서 실행하면 이런 결과가 나옵니다.

Runtime Version: 3.1.23

1, 1, 21964

반면, .NET Framework 4.8 이하에서 실행하면 이렇게 나옵니다.

Runtime Version: 4.0.30319.42000

21964, 1, 21964

그러니까, .NET Core부터는 적어도 Native Thread ID를 구하는 .NET BCL 지원은 없어진 것이고, 그게 필요하다면 Platform Invoke(윈도우의 경우 GetCurrentThreadId)를 통해서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현재" 스레드의 Native ID가 아니라면, 즉, 모든 스레드의 Native ID를 구하는 경우라면 ProcessThread를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foreach (ProcessThread pthread in Process.GetCurrentProcess().Threads)
{
    Console.WriteLine(pthread.Id);
}

아쉬운 것은, 현재 스레드와 ProcessThread를 매칭시킬 방법이 없다는 것입니다. (어쩔 수 없이 DllImport 시킨 GetCurrentThreadId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13/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628정성태12/6/200821067.NET Framework: 115. Marshal 타입 관련 2가지 자원 해제 메서드파일 다운로드1
627정성태12/6/200823488VS.NET IDE: 58. VS.NET IDE 팁 - 커서 위치 이동 [1]
626정성태12/6/200823782오류 유형: 65. TF53018: The application tier XXXXXXX is attempting to connect to a data tier with an incompatible version
625정성태12/6/200823894오류 유형: 64. TFS 2008 SP1 설치 - MsiApplyMultiplePatches returned 0x643
624정성태12/5/200824799.NET Framework: 114. WPF 이벤트에 속한 핸들러 확인 [2]파일 다운로드1
623정성태12/4/200829230디버깅 기술: 22. VS.NET SP1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2]파일 다운로드1
622정성태12/1/200831450오류 유형: 63. WPF - XamlParseException 대응 방법 [2]
621정성태11/30/200823656Team Foundation Server: 27. TeamBuild + VDPROJ 셋업 프로젝트 [1]
620정성태11/30/200822508디버깅 기술: 21. 올바른 이벤트 예외 정보 출력
619정성태11/30/200822593디버깅 기술: 20. 예외 처리를 방해하는 WPF Modal 대화창파일 다운로드1
618정성태11/29/200822995.NET Framework: 113. 이벤트에 속한 이벤트 핸들러 확인파일 다운로드1
617정성태11/26/200828669.NET Framework: 112. How to Interop DISPPARAMS [2]파일 다운로드2
616정성태11/26/200822395디버깅 기술: 19. C++/CLI - F11 디버깅 시의 변수 초기화파일 다운로드1
615정성태11/9/200832068.NET Framework: 111. WPF - Window, UserControl 클래스 상속 [1]
614정성태11/9/200832020.NET Framework: 110. WPF - 전역 예외 처리 [4]파일 다운로드1
613정성태11/8/200821692.NET Framework: 109. WPF - SystemColors 색상표파일 다운로드1
612정성태11/1/200826903.NET Framework: 108. WPF + WCF 환경에서는 DataContract를 권장 [1]
611정성태10/31/200821182오류 유형: 62. WPF - Visual Studio 2008 비정상 종료
610정성태10/24/200823463Team Foundation Server: 26. TFS 2008 SP1 + SQL Server 2008 설치
609정성태10/24/200827233.NET Framework: 107. WPF - RadioButton 데이터 바인딩 해제 현상파일 다운로드2
608정성태10/23/200821859오류 유형: 61. TFS 연결 오류: TF31003, TF30331 오류
607정성태10/18/200819810Windows: 32. 자동 실행 경로에 ".." 가 포함된 경우
606정성태10/18/200821836.NET Framework: 106. WCF - 다중 서비스 호스트파일 다운로드1
605정성태10/18/200825300.NET Framework: 105. WPF - 닫기 버튼을 없애려면.
604정성태10/18/200825842오류 유형: 60. System.Management.ManagementException - Generic failure [1]
602정성태10/15/200827778오류 유형: 59. WPF - XAML 로딩 시 Visual Studio 비정상 종료 [1]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