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C# - FILE_FLAG_OVERLAPPED가 적용된 파일의 읽기/쓰기 시 Position 관리

아래의 글을,

C# - CLR ThreadPool의 I/O 스레드에 작업을 맡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059

이렇게 실습해 보면,

using Console1;
using Microsoft.Win32.SafeHandles;
using System.Diagnostics.CodeAnalysis;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using System.Runtime.Versioning;
using System.Text;

[assembly: SupportedOSPlatform("windows")]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yte[] buffer = Encoding.UTF8.GetBytes("tt");
        byte[] buffer2 = Encoding.UTF8.GetBytes("ee");

        File.Delete(@"C:\temp\test.txt");

        using (SafeFileHandle pHandle = NativeMethods.CreateFile(@"c:\temp\test.txt",
                (uint)FileAccess.ReadWrite,
                0,
                IntPtr.Zero,
                (uint)2,
                NativeMethods.FILE_FLAG_OVERLAPPED,
                IntPtr.Zero))
        {
            WriteAsync(pHandle, buffer);
            Thread.Sleep(1000);
            WriteAsync(pHandle, buffer2);
        }

        Console.WriteLine("Press Enter to exit ...");
        Console.ReadLine();
    }

    private static void WriteAsync(SafeFileHandle pHandle, byte[] buf)
    {
        uint written;
        NativeOverlapped o = new NativeOverlapped();

        EventWaitHandle writeEvent = new EventWaitHandle(false, EventResetMode.AutoReset);
        o.EventHandle = writeEvent.SafeWaitHandle.DangerousGetHandle();

        if (NativeMethods.WriteFile(pHandle, buf, buf.Length, out written, ref o) == false)
        {
            int lastError = Marshal.GetLastWin32Error();
            if (lastError == 997) //  ERROR_IO_PENDING == 997
            {
                OverlappedParameter op = new OverlappedParameter()
                {
                    Event = writeEvent,
                };

                op.WaitHandle = ThreadPool.RegisterWaitForSingleObject(writeEvent, WriteCompleted, op, -1, false);
                op.TryUnregister();
            }
            else
            {
                // Write File Error
                Console.WriteLine("Write File Error");
                writeEvent.Close();
            }
        }
    }

    public static void WriteCompleted(object? objState, bool timedOut)
    {
        Console.WriteLine($"{DateTime.Now} async WriteCompleted");

        OverlappedParameter? op = objState as OverlappedParameter;
        if (op == null)
        {
            return;
        }

        op.Done();
    }
}

public class OverlappedParameter
{
    // ...[생략]...
}

2번의 WriteAsync 호출에서 전달한 2바이트 내용이,

WriteAsync(pHandle, buf); // buf == 'tt'
Thread.Sleep(1000);
WriteAsync(pHandle, buf2); // buf2 == 'ee'

"FileStream.Position == 0"인 위치에 써지기 때문에 출력 파일의 결과는 "ee"만 담고 있게 됩니다. 실제로 FILE_FLAG_OVERLAPPED가 적용된 파일은 Read/Write 동작을 한 후 파일 포인터를 전혀 변경하지 않습니다. 가령, 다음과 같이 SetFilePointerEx Win32 API를 호출해 현재의 파일 포인터 위치를 구해봐도,

WriteAsync(pHandle, buf);
Thread.Sleep(1000);
Console.WriteLine(GetCurrentPosition(pHandle)); // 출력 결과: 0

WriteAsync(pHandle, buf2);

private static long GetCurrentPosition(SafeFileHandle handle)
{
    if (NativeMethods.SetFilePointerEx(handle, 0, out long result, NativeMethods.FILE_CURRENT) == true)
    {
        return result;
    }

    return 0;
}

0이 나옵니다. 좀 이상한가요? ^^




사실 이것은 맞는 동작이긴 합니다. 왜냐하면 비동기 읽기/쓰기를 위해 ReadFile/WriteFile에 전달하는 NativeOverlapped 구조체에는 이미 OffsetLow, OffsetHigh 필드를 통해 (FileStream.Position에 해당하는) 위치를 지정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정확한 결과를 보려면 위와 같은 소스 코드에서 WriteAsync 메서드에 데이터가 쓰일 위치를 함께 전달해야 합니다.

using (SafeFileHandle pHandle = NativeMethods.CreateFile(@"c:\temp\test.txt",
        (uint)FileAccess.ReadWrite, 0, IntPtr.Zero, (uint)2, NativeMethods.FILE_FLAG_OVERLAPPED, IntPtr.Zero))
{
    WriteAsync(pHandle, 0, buf);
    Thread.Sleep(1000);
    WriteAsync(pHandle, 2, buf2);
}

private static void WriteAsync(SafeFileHandle pHandle, long pos, byte[] buf)
{
    //...[생략]...
    NativeOverlapped o = new NativeOverlapped();

    o.OffsetLow = unchecked((int)pos);
    o.OffsetHigh = (int)(pos >> 32);

    //...[생략]...
}

// test.txt 파일 내용: "ttee"

재미있는 것은 우리가 사용하는 FileStream.WriteAsync의 Read/Write는 별도의 File Position을 전달하지 않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Text;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async Task Main(string[] args)
    {
        string filePath = @"C:\temp\test.txt";

        File.Delete(filePath);
        using (FileStream fs = File.OpenWrite(filePath))
        {

            byte[] buffer = Encoding.UTF8.GetBytes("tt");
            byte[] buffer2 = Encoding.UTF8.GetBytes("ee");

            await fs.WriteAsync(buffer, 0, buffer.Length);
            await fs.WriteAsync(buffer2, 0, buffer2.Length);

            // test.txt 파일 내용
            // ttee
        }
    }
}

왜냐하면 내부적으로 "_pos"라는 필드를 FileStream에서 관리를 하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더욱 재미있는 것은, FileStream은 최대한 _pos와 FILE 자원의 포인터 위치를 맞추려고 노력한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단순히 WriteAsync와 같은 동작을 할 때 _pos 변수만 업데이트하는 것이 아니라, SetFilePointer를 이용해 파일 포인터 위치까지 바꿔줍니다.

// 참고: https://github.com/microsoft/referencesource/blob/master/mscorlib/system/io/filestream.cs#L2010

intOverlapped->OffsetLow = unchecked((int)_pos);
intOverlapped->OffsetHigh = (int)(_pos>>32);

SeekCore(numBytes, SeekOrigin.Current);

[System.Security.SecuritySafeCritical]
private long SeekCore(long offset, SeekOrigin origin) {
    int hr = 0;
    long ret = 0;
            
    ret = Win32Native.SetFilePointer(_handle, offset, origin, out hr);
    if (ret == -1) {
        if (hr == Win32Native.ERROR_INVALID_HANDLE)
            _handle.Dispose();
        __Error.WinIOError(hr, String.Empty);
    }
            
    _pos = ret;
    return ret;}
}

그런데, 위에서 보면 약간의 허점이 있긴 합니다. 즉, 어쨌든 비동기 I/O의 파일 위치는 _pos 변수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파일 포인터의 위치와는 무관하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만약 해당 파일에 대해 직접 SetFilePointerEx 함수를 이용해 파일 포인터를 변경하는 것은,

static async Task Main(string[] args)
{
    string filePath = @"C:\temp\test.txt";

    File.Delete(filePath);
    using (FileStream fs = File.OpenWrite(filePath))
    {
        byte[] buffer = Encoding.UTF8.GetBytes("tt");
        byte[] buffer2 = Encoding.UTF8.GetBytes("ee");

        await fs.WriteAsync(buffer, 0, buffer.Length);

        NativeMethods.SetFilePointerEx(fs.SafeFileHandle, 0, out _, NativeMethods.FILE_BEGIN);

        await fs.WriteAsync(buffer2, 0, buffer2.Length);
    }
}

/* test 파일 출력 결과
ttee
*/

WriteAsync에 아무런 효력도 없습니다. 반면, FileStream이 제공하는 Position 필드를 이용해 위치를 바꾸는 것은,

await fs.WriteAsync(buffer, 0, buffer.Length);

fs.Position = 0; // 내부적으로 _pos 필드를 업데이트하기 때문에,

await fs.WriteAsync(buffer2, 0, buffer2.Length);

/* test 파일 출력 결과
ee
*/

효력을 발휘합니다. 은근슬쩍 복잡한 상황들이 전개됩니다. ^^




자, 그럼 최종적으로 우리가 구현하는 비동기 파일 연산도 별도의 클래스를 만들어 대충 이런 식으로 구색을 낼 수 있습니다.

public class MyAsyncFileStream : IDisposable
{
    long _pos;
    SafeFileHandle? _pHandle;

    public MyAsyncFileStream(string filePath)
    {
        _pHandle = NativeMethods.CreateFile(@"c:\temp\test.txt",
            (uint)FileAccess.ReadWrite,
            0,
            IntPtr.Zero,
            (uint)2,
            NativeMethods.FILE_FLAG_OVERLAPPED,
            IntPtr.Zero);
    }

    public long Position
    {
        get { return _pos; }
        set
        {
            _pos = value;
            SeekCore(_pos, SeekOrigin.Begin);
        }
    }

    void SeekCore(long offset, SeekOrigin origin)
    {
        if (NativeMethods.SetFilePointerEx(_pHandle!, offset, out long moved, (uint)origin) == true)
        {
            _pos = moved;
        }
    }

    public void WriteAsync(byte[] buf)
    {
        uint written;
        NativeOverlapped o = new NativeOverlapped();
        o.OffsetLow = unchecked((int)_pos);
        o.OffsetHigh = (int)(_pos >> 32);

        SeekCore(buf.Length, SeekOrigin.Current);

        EventWaitHandle writeEvent = new EventWaitHandle(false, EventResetMode.AutoReset);
        o.EventHandle = writeEvent.SafeWaitHandle.DangerousGetHandle();

        if (NativeMethods.WriteFile(_pHandle!, buf, buf.Length, out written, ref o) == false)
        {
            int lastError = Marshal.GetLastWin32Error();
            if (lastError == 997) //  ERROR_IO_PENDING == 997
            {
                OverlappedParameter op = new OverlappedParameter()
                {
                    Event = writeEvent,
                };

                op.WaitHandle = ThreadPool.RegisterWaitForSingleObject(writeEvent, WriteCompleted, op, -1, false);
                op.TryUnregister();
            }
            else
            {
                // Write File Error
                Console.WriteLine("Write File Error");
                writeEvent.Close();
            }
        }
    }

    public static void WriteCompleted(object? objState, bool timedOut)
    {
        Console.WriteLine($"{DateTime.Now} async WriteCompleted");

        OverlappedParameter? op = objState as OverlappedParameter;
        if (op == null)
        {
            return;
        }

        op.Done();
    }

    public void Dispose()
    {
        if (_pHandle != null)
        {
            _pHandle.Dispose();
            _pHandle = null;
        }
    }
}

public class OverlappedParameter
{
    // ...[생략]...
}

그리고 사용을 이렇게 하면,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yte[] buffer = Encoding.UTF8.GetBytes("tt");
    byte[] buffer2 = Encoding.UTF8.GetBytes("ee");

    File.Delete(@"C:\temp\test.txt");

    using (MyAsyncFileStream fs = new MyAsyncFileStream("C:\temp\test.txt"))
    {
        fs.WriteAsync(buffer);
        Console.WriteLine(fs.Position); // 출력 결과: 2
        fs.WriteAsync(buffer2);
    }

    Console.WriteLine("Press Enter to exit ...");
    Console.ReadLine();
}

/* test.txt 파일 출력 결과
ttee
*/

FileStream처럼 별도의 파일 위치를 관리할 필요 없이 순차적으로 read/write 연산을 할 수 있습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16/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261정성태7/9/202019377VS.NET IDE: 148. 윈도우 10에서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리눅스 환경에서 실행하는 2가지 방법 - docker, WSL 2 [5]
12260정성태7/8/202017173.NET Framework: 926. C# - ETW를 이용한 ThreadPool 스레드 감시파일 다운로드1
12259정성태7/8/202016381오류 유형: 627. nvlddmkm.sys의 BAD_POOL_HEADER BSOD 문제 [1]
12258정성태7/8/202020247기타: 77. DataDog APM 간략 소개
12257정성태7/7/202016557.NET Framework: 925. C# - ETW를 이용한 Monitor Enter/Exit 감시파일 다운로드1
12256정성태7/7/202017648.NET Framework: 924. C# - Reflection으로 변경할 수 없는 readonly 정적 필드 [4]
12255정성태7/6/202018397.NET Framework: 923. C# -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이용한 Finalizer 실행 감시파일 다운로드1
12254정성태7/2/202016942오류 유형: 626. git -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12253정성태7/2/202019409.NET Framework: 922. C# - .NET ThreadPool의 Local/Global Queue파일 다운로드1
12252정성태7/2/202021228.NET Framework: 921. C# - I/O 스레드를 사용한 비동기 소켓 서버/클라이언트파일 다운로드2
12251정성태7/1/202019993.NET Framework: 920. C# - 파일의 비동기 처리 유무에 따른 스레드 상황 [1]파일 다운로드2
12250정성태6/30/202022139.NET Framework: 919. C# - 닷넷에서의 진정한 비동기 호출을 가능케 하는 I/O 스레드 사용법 [1]파일 다운로드1
12249정성태6/29/202017607오류 유형: 625. Microsoft SQL Server 2019 RC1 Setup - 설치 제거 시 Warning 26003 오류 발생
12248정성태6/29/202015405오류 유형: 624. SQL 서버 오류 - service-specific error code 17051
12247정성태6/29/202017353.NET Framework: 918. C# - 불린 형 상수를 반환값으로 포함하는 3항 연산자 사용 시 단축 표현 권장(IDE0075) [2]파일 다운로드1
12246정성태6/29/202018508.NET Framework: 917. C# - USB 관련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이용한 키보드 입력을 감지하는 방법
12245정성태6/24/202018947.NET Framework: 916. C# - Task.Yield 사용법 (2) [2]파일 다운로드1
12244정성태6/24/202018949.NET Framework: 915.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이용한 닷넷 프로그램의 내부 이벤트 활용 [1]파일 다운로드1
12243정성태6/23/202015379VS.NET IDE: 147. Visual C++ 프로젝트 - .NET Core EXE를 "Debugger Type"으로 지원하는 기능 추가
12242정성태6/23/202016963오류 유형: 623. AADSTS90072 - User account '...' from identity provider 'live.com' does not exist in tenant 'Microsoft Services'
12241정성태6/23/202020160.NET Framework: 914. C# - Task.Yield 사용법파일 다운로드1
12240정성태6/23/202021713오류 유형: 622. 소켓 바인딩 시 "System.Net.Sockets.SocketException: An attempt was made to access a socket in a way forbidden by its access permissions" 오류 발생
12239정성태6/21/202019722Linux: 30. (윈도우라면 DLL에 속하는) .so 파일이 텍스트로 구성된 사례 [1]
12238정성태6/21/202018101.NET Framework: 913.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라이브러리
12237정성태6/20/202017631.NET Framework: 912. 리눅스 환경의 .NET Core에서 "test".IndexOf("\0")가 0을 반환
12236정성태6/19/202018355오류 유형: 621. .NET Standard 대상으로 빌드 시 dynamic 예약어에서 컴파일 오류 - error CS0656: Missing compiler required member 'Microsoft.CSharp.RuntimeBinder.CSharpArgumentInfo.Create'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