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2014. C# - async/await 그리고 스레드 (4) 비동기 I/O 재현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680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2008. C# - async/await 그리고 스레드 (1) MyTask로 재현
; https://www.sysnet.pe.kr/2/0/13055

.NET Framework: 2009. C# - async/await 그리고 스레드 (2) MyTask의 호출 흐름
; https://www.sysnet.pe.kr/2/0/13056

.NET Framework: 2012. C# - async/await 그리고 스레드 (3) Task.Delay 재현
; https://www.sysnet.pe.kr/2/0/13060

.NET Framework: 2014. C# - async/await 그리고 스레드 (4) 비동기 I/O 재현
; https://www.sysnet.pe.kr/2/0/13062




C# - async/await 그리고 스레드 (4) 비동기 I/O 재현

해본 김에, 이제 비동기 I/O에서의 async/await도 구현해 보겠습니다. 그런데, 이것을 설명하기 위해 부가적으로 Windows의 "비동기 I/O"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필요합니다. 그러니까... 결국 이번 주제를 위해 다음의 글이 쓰인 것입니다. ^^;

C# - CLR ThreadPool의 I/O 스레드에 작업을 맡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059

그리고, 사실 위의 글만 이해했다면 async/await과의 연동은 이미 설명한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왜냐하면 결국 비동기 I/O에 대한 async/await은 위의 글에서 만든 MyAsyncFileStream에 "C# - async/await 그리고 스레드 (1)" 글에서 만든 MyTask를 연결만 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한번 들어볼까요? ^^ 우리는 그동안 C#에서 다음과 같은 식으로 간단하게 파일 I/O를 비동기로 접근할 수 있었습니다.

using System;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async Task Main(string[] args)
    {
        Console.WriteLine($"[{DateTime.Now}] 1단계: threadid == {Thread.CurrentThread.ManagedThreadId}");
        
        string filePath = @"test.txt";

        FileStream fs = new FileStream(filePath, FileMode.Open, FileAccess.Read, FileShare.None, 0, true);

        byte[] buffer = new byte[2];
        int readBytes = await fs.ReadAsync(buffer, 0, buffer.Length);
        Console.WriteLine($"[{DateTime.Now}] 2단계: {BitConverter.ToString(buffer)} threadid == {Thread.CurrentThread.ManagedThreadId}");

        readBytes = await fs.ReadAsync(buffer, 0, buffer.Length);
        Console.WriteLine($"[{DateTime.Now}] 3단계: {BitConverter.ToString(buffer)} threadid == {Thread.CurrentThread.ManagedThreadId}");
    }
}

/* 출력 결과 */
/* test.txt의 파일 내용: 1234567890

[2022-05-15 오전 9:01:43] 1단계: threadid == 1
[2022-05-15 오전 9:01:43] 2단계: 31-32 threadid == 4
[2022-05-15 오전 9:01:43] 3단계: 33-34 threadid == 4
*/

자, 이 코드와 유사한 것을 지난 글에서 만든 MyAsyncFileStream에 구현해 보겠습니다. 추가해야 할 코드는 간단합니다. MyTask 코드는 더 추가할 것이 없고, 단지 MyAsyncFileStream에 MyTask를 반환하는 ReadAsync/WriteAsync만 아래와 같이 추가해 주면 됩니다.

using Microsoft.Win32.SafeHandles;
using System.Diagnostics.CodeAnalysis;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namespace Console1
{
    public class MyAsyncFileStream : IDisposable
    {
        long _pos;
        SafeFileHandle? _pHandle;

        public MyAsyncFileStream(string filePath, FileAccess fileAccess, FileShare fileShare, FileMode fileMode)
        {
            _pHandle = NativeMethods.CreateFile(filePath, fileAccess, fileShare, IntPtr.Zero, fileMode,
                            NativeMethods.FILE_FLAG_OVERLAPPED, IntPtr.Zero);

            if (_pHandle.IsInvalid == true)
            {
                int lastError = Marshal.GetHRForLastWin32Error();
                Marshal.ThrowExceptionForHR(lastError);
            }
        }

        public long Position
        {
            get { return _pos; }
            set
            {
                _pos = value;
                SeekCore(_pos, SeekOrigin.Begin);
            }
        }

        void SeekCore(long offset, SeekOrigin origin)
        {
            if (NativeMethods.SetFilePointerEx(_pHandle!, offset, out long moved, (uint)origin) == true)
            {
                _pos = moved;
            }
        }

        public unsafe MyTask WriteAsync(byte[] buffer)
        {
            uint written;
            NativeOverlapped o = new NativeOverlapped();
            o.OffsetLow = unchecked((int)_pos);
            o.OffsetHigh = (int)(_pos >> 32);

            SeekCore(buffer.Length, SeekOrigin.Current);

            EventWaitHandle writeEvent = new EventWaitHandle(false, EventResetMode.AutoReset);
            o.EventHandle = writeEvent.SafeWaitHandle.DangerousGetHandle();

            int ret = NativeMethods.WriteFile(_pHandle!, buffer, buffer.Length, out written, ref o);
            MyTask task = new MyTask();

            if (ret == 1)
            {
                task.SetComplete();
            }
            else
            {
                int lastError = Marshal.GetLastWin32Error();
                if (lastError == 0)
                {
                    task.SetComplete();
                }
                else if (lastError == 997) //  ERROR_IO_PENDING == 997
                {
                    OverlappedParameter op = new OverlappedParameter()
                    {
                        Event = writeEvent,
                        Task = task,
                    };

                    op.WaitHandle = ThreadPool.RegisterWaitForSingleObject(writeEvent, ioCompletedCallback, op, -1, true);
                    op.TryUnregister();
                }
                else
                {
                    throw Marshal.GetExceptionForHR(NativeMethods.HRESULT_FROM_WIN32(lastError)) ?? new IOException();
                }
            }

            return task;
        }

        public unsafe MyTask ReadAsync(byte[] buffer)
        {
            NativeOverlapped no = new NativeOverlapped();
            no.OffsetLow = unchecked((int)_pos);
            no.OffsetHigh = (int)(_pos >> 32);

            SeekCore(buffer.Length, SeekOrigin.Current);

            EventWaitHandle readEvent = new EventWaitHandle(false, EventResetMode.AutoReset);
            no.EventHandle = readEvent.SafeWaitHandle.DangerousGetHandle();

            int ret = NativeMethods.ReadFile(_pHandle!, buffer, buffer.Length, out uint readLen, ref no);
            MyTask task = new MyTask();

            if (ret == 1)
            {
                task.SetComplete();
            }
            else
            {
                int lastError = Marshal.GetLastWin32Error();
                if (lastError == 0)
                {
                    task.SetComplete();
                }
                else if (lastError == NativeMethods.ERROR_IO_PENDING) // 997 == Overlapped I/O operation is in progress. 
                {
                    OverlappedParameter op = new OverlappedParameter
                    {
                        Event = readEvent,
                        Task = task,
                    };

                    op.WaitHandle = ThreadPool.RegisterWaitForSingleObject(readEvent, ioCompletedCallback, op, -1, true);
                    op.TryUnregister();
                }
                else
                {
                    throw Marshal.GetExceptionForHR(NativeMethods.HRESULT_FROM_WIN32(lastError)) ?? new IOException();
                }
            }

            return task;
        }


        private static void ioCompletedCallback(object? state, bool timedOut)
        {
            OverlappedParameter? op = state as OverlappedParameter;
            if (op == null)
            {
                return;
            }

            op.Done();

            MyTask? task = op.Task;
            if (task == null)
            {
                return;
            }

            if (timedOut == true)
            {
                // task.SetException();
                return;
            }

            task.SetComplete(); // 이 단계에서 await으로 나뉜 "분할 2" 코드를 수행
        }

        public void Dispose()
        {
            if (_pHandle != null)
            {
                _pHandle.Dispose();
                _pHandle = null;
            }
        }
    }

    public class OverlappedParameter
    {
        // ...[생략]...
    }
}

끝입니다. ^^ 이제 우리도 FileStream이 했던 것처럼, MyAsyncFileStream과 MyTask의 협업으로 다음과 같이 (거의 유사하게) 코딩을 할 수 있습니다.

static async Task Main(string[] args)
{
    Console.WriteLine($"[{DateTime.Now}] 1단계: threadid == {Thread.CurrentThread.ManagedThreadId}");

    string filePath = @"test.txt";

    MyAsyncFileStream fs = new MyAsyncFileStream(filePath, FileAccess.ReadWrite, FileShare.ReadWrite, FileMode.Open);

    {
        byte[] buffer = Encoding.UTF8.GetBytes("12");
        await fs.WriteAsync(buffer);
        buffer = Encoding.UTF8.GetBytes("34");
        await fs.WriteAsync(buffer);
    }

    fs.Position = 0;

    {
        byte[] buffer = new byte[2];
        await fs.ReadAsync(buffer);
        Console.WriteLine($"[{DateTime.Now}] 2단계: {BitConverter.ToString(buffer)} threadid == {Thread.CurrentThread.ManagedThreadId}");

        await fs.ReadAsync(buffer);
        Console.WriteLine($"[{DateTime.Now}] 3단계: {BitConverter.ToString(buffer)} threadid == {Thread.CurrentThread.ManagedThreadId}");
    }
}

/* 출력 결과 */
/* test.txt의 파일 내용: 1234567890

[2022-05-15 오전 9:58:09] 1단계: threadid == 1
[2022-05-15 오전 9:58:09] 2단계: 31-32 threadid == 8
[2022-05-15 오전 9:58:09] 3단계: 33-34 threadid == 8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잠깐 출력 결과를 해석해 볼까요?

[2022-05-15 오전 9:58:09] 1단계: threadid == 1
[2022-05-15 오전 9:58:09] 2단계: 31-32 threadid == 8
[2022-05-15 오전 9:58:09] 3단계: 33-34 threadid == 8

Main 메서드를 시작한 thread는 1번인데요, 이어서 ReadAsync를 호출해 비동기 I/O를 개시하고 RegisterWaitForSingleObject로 ioCompletedCallback을 등록합니다. 이후 I/O가 완료되면 스레드 풀의 여유 스레드(위의 출력에서는 8번 스레드)에 의해 ioCompletedCallback이 호출됩니다. 그리고 그 8번 스레드는 다시 두 번째 ReadAsync를 호출하고 스레드 풀에 돌아갑니다. 마찬가지로 다시 한번 ioCompletedCallback이 발생하고 그것을 (스레드 풀에 돌아갔던) 8번 스레드가 실행하는 결과를 보여줍니다.

혹은 아래의 문서에 따르면,

Asynchronous disk I/O appears as synchronous on Windows
; https://learn.microsoft.com/en-US/troubleshoot/windows/win32/asynchronous-disk-io-synchronous

Frequently, asynchronous I/O operations behave just as synchronous I/O.
...
if an operation is completed immediately, then &NumberOfBytesRead passed into ReadFile is valid for the number of bytes read. In this case, ignore the OVERLAPPED structure passed into ReadFile; do not use it with GetOverlappedResult or WaitForSingleObject.


ReadAsync는 ReadFile 호출에서 동기 방식으로 그순간 완료가 돼 반환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전 단계의 async callback을 실행하던 8번 스레드가 두 번째 async read를 끝까지 실행하는 경우도 가능하므로 해석은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실제로 이 상황이 있는지 확인하려고 ReadAsync (또는 WriteAsync)의 반환에서 확인 코드를 넣어봤지만,

int ret = NativeMethods.ReadFile(_pHandle!, buffer, buffer.Length, out uint readLen, ref no);
MyTask task = new MyTask();

if (ret == 1)
{
    Console.WriteLine("Sync");
    task.SetComplete();
}

아무리 실행해도 "Sync" 메시지가 화면에 출력되는 경우를 볼 수 없었습니다. (혹시, 이와 관련해서 저 메시지를 볼 수 있는 "요령"을 알고 계신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

마지막으로, 위의 예제 코드를 실행하다 보면 간혹 다음과 같은 식으로 2단계와 3단계의 스레드가 다르게 나오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요,

[2022-05-15 오전 10:06:57] 1단계: threadid == 1
[2022-05-15 오전 10:06:57] 2단계: 31-32 threadid == 8
[2022-05-15 오전 10:06:57] 3단계: 33-34 threadid == 11

8번 스레드가 스레드 풀에 여유 스레드 자원으로 안착하기도 전에 두 번째 ioCompletedCallback이 호출돼 11번 여유 스레드가 호출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 그럼 이것으로 async/await에 관한 스레드 이야기는 모두 마쳤습니다. async/await의 마법 같은 동작 방식이, 아마도 지금까지의 글을 잘 읽고 이해하셨다면 더 이상 마법이 아닌, FileStream과 Task와 C# 컴파일러의 노력으로 빚은 노가다 예술임을 느끼실 수 있을 것입니다. ^^




이 글에서 사용한 MyTask, MyAsyncFileStream은 async/await 학습을 위한 딱 그 정도 역할만 하도록 만들어진 것이므로 현업에서 쓰는 것에는 권장하지 않습니다. (미구현 코드가 너무 많기도 하고,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3/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5-02-13 09시38분
Async-Async: Reducing the chattiness of cross-thread asynchronous operations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190430-00/?p=102460

Windows Runtime에서의 IAsync­Operation<T> / IAsyncAction 비동기 처리와 "[remote_async]" 특성이 적용된 Async-Async 동작 방식을 설명합니다.

------------------------------------------

Async-Async revisited: What about cancellation?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250212-00/?p=110857

Async-Async 상황에서의 취소 처리를 설명하는데, 이러한 layer를 두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언급합니다.
정성태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175정성태4/5/201725933.NET Framework: 652. C# 개발자를 위한 C++ COM 객체의 기본 구현 방식 설명파일 다운로드1
11174정성태4/3/201719478VC++: 116. Visual Studio 단위 테스트 - Failed to set up the execution context to run the test
11173정성태4/3/201723077VC++: 115. Visual Studio에서 C++ DLL을 대상으로 단위 테스트할 때 비정상 종료한다면?파일 다운로드1
11172정성태4/3/201722211.NET Framework: 651. C# - 특정 EXE 프로세스를 종료시킨 EXE를 찾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171정성태3/31/201718940VS.NET IDE: 114. Visual Studio 디버깅 경고 창 - You are debugging a Release build of ...
11170정성태3/31/201720805.NET Framework: 650. C# - CachedAnonymousMethodDelegate 유형의 코드 생성
11169정성태3/30/201720701VC++: 114. C++ vtable의 가상 함수 호출 가로채기파일 다운로드1
11168정성태3/29/201724001VC++: 113. C++ 클래스 상속 관계의 vtable 생성 과정
11167정성태3/28/201724286VC++: 112. C++의 가상 함수 테이블 (vtable)은 언제 생성될까요? [2]
11166정성태3/28/201718499오류 유형: 382. System.Data.SqlClient.SqlException - Arithmetic overflow error converting IDENTITY to data type int.
11165정성태3/27/201721798오류 유형: 381. Visual C++에서 min, max 함수를 사용한 경우 C2589, C2059 컴파일 오류 발생
11164정성태3/27/201730132VC++: 111. C++ 클래스의 상속에 따른 메모리 구조 [2]파일 다운로드1
11163정성태3/25/201719969VC++: 110. CreateThread Win32 API에 C++ 클래스의 멤버 함수를 전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162정성태3/24/201724166오류 유형: 380. Visual Studio 빌드 실패 - The OutputPath property is not set for project
11161정성태3/24/201716902오류 유형: 379. ICOMAdminCatalog.GetCollection 호출 시 0x80070422 예외 발생
11160정성태3/23/201721834.NET Framework: 649. ASP.NET - Server cannot append header after HTTP headers have been sent. (HTTP 헤더를 보낸 후에는 서버에서 헤더를 추가할 수 없습니다.)파일 다운로드1
11159정성태3/23/201719066Windows: 136. Memory-mapped File은 Private Bytes 크기에 포함될까요?파일 다운로드1
11158정성태3/22/201718654디버깅 기술: 85. Windbg - SOS 디버깅 사례 System.NullReferenceException 예외 추적
11157정성태3/22/201721907.NET Framework: 648. Dictionary<TKey, TValue>를 deep copy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156정성태3/21/201722581.NET Framework: 647. 닷넷(C#) 코드로 인증서 요청 코드 만드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155정성태3/21/201722865.NET Framework: 646. SslStream의 CipherAlgorithm 선택이 가능할까요?파일 다운로드1
11154정성태3/5/201729795VC++: 109. DLL에서 STL 객체를 인자/반환값으로 갖는 함수를 제공할 때, 그 함수를 외부에서 사용하는 경우 비정상 종료한다면? [2]파일 다운로드1
11153정성태3/5/201729175VC++: 108. DLL에 정의된 C++ template 클래스의 복사 생성자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152정성태3/4/201722891VC++: 107. VirtualAlloc, HeapAlloc, GlobalAlloc, LocalAlloc, malloc, new의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1151정성태3/3/201723420VC++: 106. DLL 개발자가 주의해야 할 Secure CRT 함수 사용 [1]파일 다운로드1
11150정성태2/21/201719353.NET Framework: 645. Visual Studio Fakes 기능에서 Shim... 클래스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 [5]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