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2015. C# - 인라인 메서드(inline methods)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554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1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202. CLR JIT 컴파일러가 생성한 기계어 코드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975

.NET Framework: 210. Windbg 환경에서 확인해 본 .NET 메서드 JIT 컴파일 전과 후
; https://www.sysnet.pe.kr/2/0/1023

.NET Framework: 395. C# - 프로퍼티로 정의하면 필드보다 느릴까요?
; https://www.sysnet.pe.kr/2/0/1545

.NET Framework: 396. C# - 프로퍼티로 정의하면 필드보다 느릴까요? - windbg / ollydbg
; https://www.sysnet.pe.kr/2/0/1546

.NET Framework: 542. 닷넷 - 특정 클래스가 로드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을까?
; https://www.sysnet.pe.kr/2/0/10888

.NET Framework: 545. 닷넷 - 특정 클래스가 로드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을까?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0893

.NET Framework: 763. .NET Core 2.1 - Tiered Compilation 도입
; https://www.sysnet.pe.kr/2/0/11539

디버깅 기술: 161. Windbg 환경에서 확인해 본 .NET 메서드 JIT 컴파일 전과 후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133

.NET Framework: 2015. C# - 인라인 메서드(inline methods)
; https://www.sysnet.pe.kr/2/0/13063

.NET Framework: 2016. C# - JIT 컴파일러의 인라인 메서드 처리 유무
; https://www.sysnet.pe.kr/2/0/13064

닷넷: 2132. C# - sealed 클래스의 메서드를 callback 호출했을 때 인라인 처리가 될까요?
; https://www.sysnet.pe.kr/2/0/13391




C# - 인라인 메서드(inline methods)

지인 한 분이 아래의 글이 뭘 설명하는지 잘 모르겠다고 ^^ 질문을 하셨습니다.

.NET Core Best Practices
; https://www.nilebits.com/blog/2022/04/net-core-best-practices/

By passing arguments, reducing jumps, and restoring registers, inline methods improve app performance. Remember that the JIT (just-in-time) compiler will not inline one method that contains a throw statement. To fix it, create a static helper process that includes a throw statement.


사실 C/C++ 언어를 해보신 분들에게는 자연스러운 듯한 문장인데 아무래도 C#과 같은 VM 언어만을 다뤄본 분들에게는 어려울 수 있을 듯합니다.

간단하게 풀어볼까요? 이를 위해 위의 문장을 2개로 나누고,

[1]
By passing arguments, reducing jumps, and restoring registers, inline methods improve app performance.

[2]
Remember that the JIT (just-in-time) compiler will not inline one method that contains a throw statement. To fix it, create a static helper process that includes a throw statement.


그중에서 "[1]"에 해당하는 부분을 다음의 코드를 곁들여 설명해 보겠습니다.

int x = 0;
int result = Increment(x);
Console.WriteLine(result);

int Increment(int x)
{
    return (x + 1);
}

보는 바와 같이 Increment 메서드를 호출하고 있는데요, 메서드로 구현은 되었지만 코드 내용이 간단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 최적화 과정에서 컴파일러(닷넷의 경우 JIT 컴파일러)에 의해 다음과 같이 함수 호출이 아닌, 말 그대로 호출 측으로 인라인 되는 것도 가능합니다.

int x = 0;
int result = x + 1;
Console.WriteLine(result);

즉, 컴파일러의 재량에 의해 전체적인 코드 수행에는 논리적인 오류 없이 코드를 inline 시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컴파일러는 왜? 이런 고생을 사서 하는 것일까요? ^^

사실 함수 호출은 어찌 보면 꽤나 비용이 드는 작업입니다. 왜냐하면, 호출자와 피호출자 측에서는 다음과 같은 작업을 요구하기 때문입니다.

[호출자]
인자를 전달하기 위해 스택 또는 레지스터에 push

[피호출자]
스택 프레임, non-volatile 레지스터 백업 등의 prologue 코드
...본 코드 수행...
return 전, 스택 프레임 및 non-volatile 레지스터 등의 복원을 수행하는 epilogue 코드

일반적인 경우라면 Increment 메서드 호출은 저런 코드 수행을 모두 동반해도 문제가 없지만, 만약 반복이 많은 루프 문 내에서 사용되는 경우라면 인라인 메서드의 사용만으로 반복문 수행의 성능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것으로 "[1]"번 부분은 이해하시겠죠? ^^ 자, 그럼 "[2]"번 문장으로 가볼까요?

[2]
Remember that the JIT (just-in-time) compiler will not inline one method that contains a throw statement. To fix it, create a static helper process that includes a throw statement.


컴파일러의 인라인 처리가 최적화의 일환으로 수행은 되지만, 그렇다고 모든 유형의 메서드를 인라인 시킬 수 있는 것입니다. 몇몇 제약이 있는데요, 그중 하나가 바로 "throw" 문을 포함하는 메서드는 인라인 시킬 수 없다는 것입니다. 가령 Increment 메서드를 이렇게 바꾸면,

int Increment(int x)
{
    if (x < 0)
    {
        throw new ArgumentException();
    }

    return (x + 1);
}

이제 JIT 컴파일러는 Increment 메서드를 throw 문의 포함으로 인해 인라인 시킬 수 없습니다. 대신, 아래와 같이 throw 문을 직접 포함하지 않는 호출로 바꾸면,

static int Increment(int x)
{
    if (x < 0)
    {
        ThrowArgumentException();
    }

    return (x + 1);
}

static int ThrowArgumentException()
{
    throw new ArgumentException();
}

다시, Increment의 내용을 인라인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정말 위의 설명이 사실일까요? 이에 대해서는 다음번 글에서 알아보겠습니다. ^^)




참고로, 인라인 메서드의 좋은 예가 바로 C# 프로퍼티 구문입니다.

C# - 프로퍼티로 정의하면 필드보다 느릴까요?
; https://www.sysnet.pe.kr/2/0/1545

잘 아시는 것처럼, get/set 구문은 결국 메서드로 처리됩니다. 하지만, JIT 컴파일러는 get/set 메서드의 코드가 간결한 경우 인라인 처리를 해버리기 때문에 메서드 호출에 대한 부하가 없습니다. 그러니, 안심하고 마음껏 (필드가 아닌) 프로퍼티로 정의해도 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3/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667정성태7/7/20246608닷넷: 2273. C# - 리눅스 환경에서의 Hyper-V Socket 연동 (AF_VSOCK)파일 다운로드1
13666정성태7/7/20247686Linux: 74. C++ - Vsock 예제 (Hyper-V Socket 연동)파일 다운로드1
13665정성태7/6/20247863Linux: 73. Linux 측의 socat을 이용한 Hyper-V 호스트와의 vsock 테스트파일 다운로드1
13663정성태7/5/20247470닷넷: 2272. C# - Hyper-V Socket 통신(AF_HYPERV, AF_VSOCK)의 VMID Wildcards 유형파일 다운로드1
13662정성태7/4/20247477닷넷: 2271. C# - WSL 2 VM의 VM ID를 알아내는 방법 - Host Compute System API파일 다운로드1
13661정성태7/3/20247398Linux: 72. g++ - 다른 버전의 GLIBC로 소스코드 빌드
13660정성태7/3/20247504오류 유형: 912. Visual C++ - Linux 프로젝트 빌드 오류
13659정성태7/1/20247843개발 환경 구성: 715. Windows - WSL 2 환경의 Docker Desktop 네트워크
13658정성태6/28/20248218개발 환경 구성: 714. WSL 2 인스턴스와 호스트 측의 Hyper-V에 운영 중인 VM과 네트워크 연결을 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3657정성태6/27/20247894닷넷: 2270. C# - Hyper-V Socket 통신(AF_HYPERV, AF_VSOCK)을 위한 EndPoint 사용자 정의
13656정성태6/27/20248056Windows: 264. WSL 2 VM의 swap 파일 위치
13655정성태6/24/20247838닷넷: 2269. C# - Win32 Resource 포맷 해석파일 다운로드1
13654정성태6/24/20247787오류 유형: 911. shutdown - The entered computer name is not valid or remote shutdown is not supported on the target computer.
13653정성태6/22/20247925닷넷: 2268. C# 코드에서 MAKEINTREOURCE 매크로 처리
13652정성태6/21/20249232닷넷: 2267. C# - Linux 환경에서 (Reflection 없이) DLL AssemblyFileVersion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2
13651정성태6/19/20248472닷넷: 2266. C# - (Reflection 없이) DLL AssemblyFileVersion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650정성태6/18/20248397개발 환경 구성: 713. "WSL --debug-shell"로 살펴보는 WSL 2 VM의 리눅스 환경
13649정성태6/18/20247947오류 유형: 910. windbg - !py 확장 명령어 실행 시 "failed to find python interpreter" (2)
13648정성태6/17/20248263오류 유형: 909. C# - DynamicMethod 사용 시 System.TypeAccessException
13647정성태6/16/20249323개발 환경 구성: 712. Windows - WSL 2의 네트워크 통신 방법 - 세 번째 이야기 (같은 IP를 공유하는 WSL 2 인스턴스) [1]
13646정성태6/14/20247742오류 유형: 908. Process Explorer - "Error configuring dump resources: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13645정성태6/13/20248197개발 환경 구성: 711. Visual Studio로 개발 시 기본 등록하는 dev tag 이미지로 Docker Desktop k8s에서 실행하는 방법
13644정성태6/12/20248855닷넷: 2265. C# - System.Text.Json의 기본적인 (한글 등에서의) escape 처리 [1]
13643정성태6/12/20248294오류 유형: 907. MySqlConnector 사용 시 System.IO.FileLoadException 오류
13642정성태6/11/20248196스크립트: 65. 파이썬 - asgi 버전(2, 3)에 따라 달라지는 uvicorn 호스팅
13641정성태6/11/20248659Linux: 71. Ubuntu 20.04를 22.04로 업데이트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