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2019. C# - .NET에서 제공하는 3가지 Timer 비교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8456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486. Java의 ScheduledExecutorService에 대응하는 C#의 System.Threading.Timer
; https://www.sysnet.pe.kr/2/0/1823

VC++: 103. C++ CreateTimerQueue, CreateTimerQueueTimer 예제 코드
; https://www.sysnet.pe.kr/2/0/11090

.NET Framework: 636. System.Threading.Timer를 이용해 타이머 작업을 할 때 유의할 점
; https://www.sysnet.pe.kr/2/0/11134

Windows: 189. WM_TIMER의 동작 방식 개요
; https://www.sysnet.pe.kr/2/0/12539

.NET Framework: 2019. C# - .NET에서 제공하는 3가지 Timer 비교
; https://www.sysnet.pe.kr/2/0/13069




C# - .NET에서 제공하는 3가지 Timer 비교

2022년인데, 여전히 헷갈려 하시는 분들이 있어서 2004년도에 쓰인 글임에도 정리해 둘 필요가 있군요. ^^

Timers - Comparing the Timer Classes in the .NET Framework Class Library
; https://learn.microsoft.com/en-us/archive/msdn-magazine/2004/february/comparing-the-timer-classes-in-the-net-framework-class-library




대표적으로, 닷넷에서 쉽게 쓸 수 있는 타이머는 다음과 같이 3가지 유형입니다.

  1. System.Windows.Forms.Timer
  2. System.Threading.Timer
  3. System.Timers.Timer

하나씩 알아볼까요? ^^


System.Windows.Forms.Timer

Windows Forms 응용 프로그램 유형에서 일반적으로 쉽게 쓸 수 있는 타이머인데요, 사실 이것은 Win32 API 시절에 사용하던 WM_TIMER 이벤트 처리와 동일합니다.

WM_TIMER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winmsg/wm-timer

System.Windows.Forms.Timer가 갖는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Timer 발생 시 실행되는 callback 이벤트 핸들러가 Windows Forms의 UI 스레드에 의해 실행된다는 점입니다.

private void timer1_Tick(object sender, EventArgs e)
{
    this.textBox1.Text = $"{DateTime.Now}"; // UI 요소 접근 가능
}

달리 말하면, 결국 Windows Message를 처리하는 메시지 루프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Console Application 등의 환경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제약이 있습니다. (물론, Console 유형에서도 메시지 루프를 구현하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Visual Studio는 이 타이머를 "도구 상자(Toolbox)"에서도 제공해 Forms 위에 drag&drop 하는 식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System.Threading.Timer

System.Threading.Timer는 네임스페이스가 다소 혼란스러울 수 있는데 "System.Threading"이라고 해서 전용 스레드를 생성하는 것은 아니고 스레드 풀을 이용해 callback을 호출하는 방식입니다. 그리고 이 동작 방식의 근간에는 Win32 API인 TimerQueueTimer가 있습니다.

결국, System.Windows.Forms.Timer와는 다르게 메시지 루프가 필요 없으므로 Console Application 등의 유형에서도 잘 동작합니다.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Threading.Timer timer = new Timer(timer_Tick, null, 0, 1000);

        Console.ReadLine();
    }

    static void timer_Tick(object? state)
    {
        Console.WriteLine($"{DateTime.Now}");
    }
}

그러니까, 위의 코드에서 timer_Tick 이벤트 핸들러를 실행하는 스레드는 스레드 풀로부터 선택된 스레드인 것입니다. 달리 말하면, 만약 System.Threading.Timer를 Windows Forms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경우 그것의 이벤트 핸들러에서는 UI 요소를 접근 시 별도 처리(InvokeRequired/BeginInvoke)가 필요하게 됩니다.

또 한 가지 주요 차이점은, timer 콜백이 밀리지 않는다는 특징도 있습니다. 가령, System.Windows.Forms.Timer의 경우 해당 이벤트 핸들러에서 다음과 같은 식으로 Thread.Sleep을 주면,

// System.Windows.Forms.Timer
// 타이머가 1초마다 발생하도록 설정된 상황에서,
private void timer1_Tick(object sender, EventArgs e)
{
    this.textBox1.Text = $"{DateTime.Now}";
    Thread.Sleep(1000 * 3); // 또는, 이에 준하는 코드를 수행하는 경우    
}

타이머 자체는 1초마다 발생하도록 설정했지만, 그것의 Tick 핸들러에서 3초를 지연하는 바람에 다음번 timer1_Tick 이벤트는 지난 메시지 출력에서 3초가 걸린 이후가 됩니다. (이러한 동작의 이면에는 WM_TIMER의 특별 대우가 있긴 합니다.)

반면, System.Threading.Timer를 사용한 이벤트 핸들러는,

// System.Threading.Timer
// 타이머가 1초마다 발생하도록 설정된 상황에서,
static void timer_Tick(object? state)
{
    Console.WriteLine($"{DateTime.Now}");
    Thread.Sleep(1000 * 3);
}

1초마다 스레드 풀로부터 여유 있는 스레드를 하나씩 선택해 밀리지 않고 timer_Tick 이벤트 핸들러를 계속 수행합니다.




System.Timers.Timer

사실, 대부분의 경우에 여러분들은 System.Windows.Forms.Timer 또는 System.Threading.Timer 둘 중의 하나를 선택하기만 하면 됩니다.

왜냐하면, 마지막으로 설명할 System.Timers.Timer도 위에서 설명한 System.Threading.Timer와 동일하게 Win32 API인 TimerQueueTimer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동작 방식이 동일합니다. 단지 그 둘 간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이 축약/정리할 수 있습니다.

  • System.Threading.Timer: 기본적인 Timer 기능만 제공
  • System.Timers.Timer: System.Threading.Timer에 부가적인 몇 가지 도우미 기능을 추가

즉, "부가적인 기능"을 쓰지 않는다면 그냥 System.Threading.Timer와 System.Timers.Timer는 완전히 동일하다고 봐야 합니다.

그렇다면 어떤 부가 기능이 있을까요?

아마도 "Timers - Comparing the Timer Classes in the .NET Framework Class Library" 글이 쓰인 시점에는 비주얼 스튜디오 도구 상자의 "Windows Forms" 탭에는 System.Windows.Forms.Timer를, "Components" 탭에는 System.Timers.Timer를 보여줬던 것 같습니다.

timer3_diff_0.gif

하지만, 이 둘 간의 차이점을 모르고 실수로 선택한 사례가 많았던 탓인지 이제는 비주얼 스튜디오 도구 상자의 Timer를 "System.Windows.Forms.Timer"로만 보여줍니다.

timer3_diff_1.png

그러니까, System.Timers.Timer는 (아마도 지금 개발자들은 거의 사용하지 않을) "System.ComponentModel.Component"와 연동이 될 수 있는 부가 기능을 갖고 있는 것입니다.

이 외에도, "Timers - Comparing the Timer Classes in the .NET Framework Class Library" 글의 "Figure 7"에 각각의 타이머에 대한 비교가 있습니다. 그중에서 System.Threading.Timer에는 없고 System.Timers.Timer에만 있는 기능을 이렇게 뽑을 수 있습니다.

  • (SynchronizingObject를 설정하면) UI 스레드를 경유해 이벤트 핸들러를 실행 (즉, System.Windows.Forms.Timer와 유사하게 동작 가능)
  • thread-safe
  • 상속 가능

이 외에도 세세하게 다른 면들이 있지만, 이전에 언급한 것처럼 그런 기능의 차이점을 인식하지 않은 상태라면 애당초 System.Windows.Forms.Timer나 System.Threading.Timer 둘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더 직관적일 것입니다.




참고로, System.Threading.Timer와 System.Timers.Timer의 근간을 이루는 TimerQueueTimer 관련해 예전에 써둔 글이 있군요. ^^

C++ CreateTimerQueue, CreateTimerQueueTimer 예제 코드
; https://www.sysnet.pe.kr/2/0/11090

Java의 ScheduledExecutorService에 대응하는 C#의 System.Threading.Timer
; https://www.sysnet.pe.kr/2/0/1823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25/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3-09-24 01시10분
선생님, 아래 문장에 오타 있습니다!
이벤트 핸들러에서는 UI 요소를 접근 시 별도 처리(InvokeRquired/BeginInvoke)가 필요하게 됩니다.
InvokeRquired(e가 빠짐) → InvokeRequired
한예지
2023-09-25 10시52분
감사합니다. 오타 수정했습니다. ^^;
정성태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274정성태8/22/201719338.NET Framework: 674. Thread 타입의 Suspend/Resume/Join 사용 관련 예외 처리
11273정성태8/22/201721625오류 유형: 415. 윈도우 업데이트 에러 Error 0x80070643
11272정성태8/21/201724775VS.NET IDE: 120. 비주얼 스튜디오 2017 버전 15.3.1 - C# 7.1 공개 [2]
11271정성태8/19/201719199VS.NET IDE: 119. Visual Studio 2017에서 .NET Core 2.0 프로젝트 환경 구성하는 방법
11270정성태8/17/201730666.NET Framework: 673. C#에서 enum을 boxing 없이 int로 변환하기 [2]
11269정성태8/17/201721454디버깅 기술: 93. windbg - 풀 덤프에서 .NET 스레드의 상태를 알아내는 방법
11268정성태8/14/201721020디버깅 기술: 92. windbg - C# Monitor Lock을 획득하고 있는 스레드 찾는 방법
11267정성태8/10/201725092.NET Framework: 672. 모노 개발 환경
11266정성태8/10/201724901.NET Framework: 671. C# 6.0 이상의 소스 코드를 Visual Studio 설치 없이 명령행에서 컴파일하는 방법
11265정성태8/10/201753133기타: 66. 도서: 시작하세요! C# 7.1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11]
11264정성태8/9/201724030오류 유형: 414. UWP app을 signtool.exe로 서명 시 0x8007000b 오류 발생
11263정성태8/9/201719518오류 유형: 413. The C# project "..." is targeting ".NETFramework, Version=v4.0", which is not installed on this machine. [3]
11262정성태8/5/201718220오류 유형: 412. windbg - SOS does not support the current target architecture. [3]
11261정성태8/4/201720812디버깅 기술: 91. windbg - 풀 덤프 파일로부터 강력한 이름의 어셈블리 추출 후 사용하는 방법
11260정성태8/3/201718896.NET Framework: 670. C# - 실행 파일로부터 공개키를 추출하는 방법
11259정성태8/2/201718130.NET Framework: 669. 지연 서명된 어셈블리를 sn.exe -Vr 등록 없이 사용하는 방법
11258정성태8/1/201718920.NET Framework: 668. 지연 서명된 DLL과 서명된 DLL의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1257정성태7/31/201719139.NET Framework: 667. bypassTrustedAppStrongNames 옵션 설명파일 다운로드1
11256정성태7/25/201720611디버깅 기술: 90. windbg의 lm 명령으로 보이지 않는 .NET 4.0 ClassLibrary를 명시적으로 로드하는 방법 [1]
11255정성태7/18/201723179디버깅 기술: 89. Win32 Debug CRT Heap Internals의 0xBAADF00D 표시 재현 [1]파일 다운로드3
11254정성태7/17/201719511개발 환경 구성: 322. "Visual Studio Emulator for Android" 에뮬레이터를 "Android Studio"와 함께 쓰는 방법
11253정성태7/17/201719815Math: 21. "Coding the Matrix" 문제 2.5.1 풀이 [1]파일 다운로드1
11252정성태7/13/201718423오류 유형: 411. RTVS 또는 PTVS 실행 시 Could not load type 'Microsoft.VisualStudio.InteractiveWindow.Shell.IVsInteractiveWindowFactory2'
11251정성태7/13/201717085디버깅 기술: 88. windbg 분석 - webengine4.dll의 MgdExplicitFlush에서 발생한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의 crash 문제 (2)
11250정성태7/13/201720669디버깅 기술: 87. windbg 분석 - webengine4.dll의 MgdExplicitFlush에서 발생한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의 crash 문제 [1]
11249정성태7/12/201718480오류 유형: 410. LoadLibrary("[...].dll") failed - The specified procedure could not be found.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