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C# - .NET 7 Preview 5 신규 기능 - System.IO.Stream ReadExactly / ReadAtLeast

System.IO.Stream에 반가운 기능이 추가되었군요. ^^

System.IO.Stream - ReadExactly and ReadAtLeast
; https://devblogs.microsoft.com/dotnet/announcing-dotnet-7-preview-5/#readexactly-and-readatleast

TCP 프로토콜의 경우, message-oriented의 UDP와는 달리 stream-oriented 방식이기 때문에 패킷이 분할돼 오는 것을 감안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

여러분들이 프로토콜을 다음과 같은 식으로 만들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int size 0~4바이트: contents 길이
byte [] contents: size에 명시한 만큼의 데이터

그럼 보내는 쪽에서는 처음 4바이트에 contents 버퍼의 데이터 크기를 실어 보내고, 이어서 contents를 보내게 될 것입니다.

//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데이터 송신
string data = "12345";

byte[] contents = Encoding.UTF8.GetBytes(data);
byte[] header = BitConverter.GetBytes(contents.Length);
socket.Send(header);
socket.Send(contents); 

그리고 받는 측에서는 다음과 같이 코딩을 하면,

//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부터 데이터 수신
byte[] buf = new byte[4];

socket.Receive(buf, 0, 4, SocketFlags.None);
int len = BitConverter.ToInt32(buf, 0);

buf = new byte[len];
socket.Receive(buf, 0, len, SocketFlags.None); // buf에는 문자열 "12345"가 utf-8 인코딩된 바이트를 수신

대개의 경우 저런 상황이라면 정상적으로 수신이 될 것입니다. 하지만,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원격지에 두고 contents의 길이를 늘린다면 이제 상황은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송신 측에서 1_000_000 바이트의 데이터를 보내도 수신 측의 Receive는 그것을 전부 받지 못하고 분할 수신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인해 Receive의 경우는 대개 다음과 같은 식으로 코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ublic int Read(byte[] buffer, int offset, int size)
{
    int totalRead = 0;
    int readRemains = size;

    while (true)
    {
        int readLen = 0;

        try
        {
            readLen = _socket.Receive(buffer, offset, readRemains, SocketFlags.None);
        }
        catch (SocketException ex) { }

        if (readLen == 0)
        {
            _socket.Close();
            break;
        }

        totalRead += readLen;

        if (totalRead == size)
        {
            break;
        }

        offset += readLen;
        readRemains -= readLen;
    }

    return totalRead;
}

저렇게 helper 메서드를 하나 만들어 두고 다시 이것을 활용해,

// Read 메서드를 이용한 데이터 수신
byte[] buf = new byte[4];
Read(buf, 0, 4);

int len = BitConverter.ToInt32(buf, 0);
buf = new byte[len];
Read(buf, 0, len);

수신하면 정상적으로 buf 바이트 배열에는 송신자가 약속한 크기의 데이터가 들어가게 됩니다.




.NET 7부터 추가된 Stream 타입의 ReadExactly 메서드가 바로 저런 Read의 부차적인 코드를 없애줍니다. ^^ 그래서 다음과 같은 식으로 코드를 바꿔 처리할 수 있습니다.

// Visual Studio 2022 17.2의 경우 실습 방법

NetworkStream ns = new NetworkStream(socket);
ns.ReadExactly(buf, 0, 4);

len = BitConverter.ToInt32(buf, 0);
buf = new byte[len];
ns.ReadExactly(buf, 0, len);

참 쉽죠? ^^

이와 함께 ReadAtLeast는 이름에서 의미하는 것처럼 최소 지정한 바이트만큼을 읽어들이는 것을 보장합니다. 이건 어느 때 유용할까요? 이전에 예를 든 코드를 다시 보면, 무조건 2번의 Read 메서드를 호출해야만 했는데요, 하지만 여러분들의 응용 프로그램이 대개의 경우 한 번의 Receive로 처리할 정도로 작은 데이터가 주를 이룬다고 가정하면 ReadAtLeast 한 번의 호출로 끝나는 코드를 다음과 같이 만들 수 있습니다.

NetworkStream ns = new NetworkStream(socket);
int readBytes = ns.ReadAtLeast(buf, 4); // 최소 4바이트를 읽어들이지만, 이미 버퍼에 있는 4바이트 이상의 데이터를 더 읽어서 반환하는 것도 가능
len = BitConverter.ToInt32(buf, 0);

if (readBytes < (len + 4))
{
    ns.ReadExactly(buf, 0, len - (readBytes - 4));
}

물론, 비동기 버전도 함께 Stream 레벨에 추가되었습니다. ^^

namespace System.IO;

public partial class Stream
{
    public void ReadExactly(Span<byte> buffer);
    public void ReadExactly(byte[] buffer, int offset, int count);

    public ValueTask ReadExactlyAsync(Memory<byte> buffer, CancellationToken cancellationToken = default);
    public ValueTask ReadExactlyAsync(byte[] buffer, int offset, int count, CancellationToken cancellationToken = default);

    public int ReadAtLeast(Span<byte> buffer, int minimumBytes, bool throwOnEndOfStream = true);
    public ValueTask<int> ReadAtLeastAsync(Memory<byte> buffer, int minimumBytes, bool throwOnEndOfStream = true, CancellationToken cancellationToken = default);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참고로 이런 helper 메서드는 이미 다른 언어의 라이브러리들도 제공하고 있었습니다. 가령 GoLang의 경우 이와 유사한 ReadFull / ReadAtLeast 함수가 있습니다.

func ReadFull(r Reader, buf []byte) (n int, err error)
; https://pkg.go.dev/io#ReadFull

func ReadAtLeast(r Reader, buf []byte, min int) (n int, err error)
; https://pkg.go.dev/io#ReadAtLeast

또한 닷넷과 GoLang 모두 ReadExactly(ReadFull) 메서드는 ReadAtLeast에 적절한 인자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처리를 대행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7/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07정성태1/26/202121303VS.NET IDE: 157. Visual Studio - Syntax Visualizer 메뉴가 없는 경우
12506정성태1/25/202124117.NET Framework: 1019. Microsoft.Tye 기본 사용법 소개 [1]
12505정성태1/23/202119252.NET Framework: 1018. .NET Core Kestrel 호스팅 - Web API 추가 [1]파일 다운로드1
12504정성태1/23/202122875.NET Framework: 1017. .NET 5에서의 네트워크 라이브러리 개선 (2) - HTTP/2, HTTP/3 관련 [1]
12503정성태1/21/202121645오류 유형: 696. C# - HttpClient: Requesting HTTP version 2.0 with version policy RequestVersionExact while HTTP/2 is not enabled.
12502정성태1/21/202122118.NET Framework: 1016. .NET Core HttpClient의 HTTP/2 지원파일 다운로드1
12501정성태1/21/202120886.NET Framework: 1015. .NET 5부터 HTTP/1.1, 2.0 선택을 위한 HttpVersionPolicy 동작 방식파일 다운로드1
12500정성태1/21/202122384.NET Framework: 1014. ASP.NET Core(Kestrel)의 HTTP/2 지원 여부파일 다운로드1
12499정성태1/20/202123907.NET Framework: 1013. .NET Core Kestrel 호스팅 - 포트 변경, non-localhost 접속 지원 및 https 등의 설정 변경 [1]파일 다운로드1
12498정성태1/20/202119995.NET Framework: 1012. .NET Core Kestrel 호스팅 - 비주얼 스튜디오의 Kestrel/IIS Express 프로파일 설정
12497정성태1/20/202126239.NET Framework: 1011. C# - OWIN Web API 예제 프로젝트 [1]파일 다운로드2
12496정성태1/19/202121549.NET Framework: 1010. .NET Core 콘솔 프로젝트에서 Kestrel 호스팅 방법 [1]
12495정성태1/19/202125698웹: 40. IIS의 HTTP/2 지원 여부 - h2, h2c [1]
12494정성태1/19/202123216개발 환경 구성: 522. WSL 2 인스턴스와 호스트 측의 Hyper-V에 운영 중인 VM과 네트워크 연결을 하는 방법 [2]
12493정성태1/18/202121632.NET Framework: 1009. .NET 5에서의 네트워크 라이브러리 개선 (1) - HTTP 관련 [1]파일 다운로드1
12492정성태1/17/202119852오류 유형: 695. ASP.NET 0x80131620 Failed to bind to address
12491정성태1/16/202120841.NET Framework: 1008. 배열을 반환하는 C# COM 개체의 메서드를 C++에서 사용 시 메모리 누수 현상 [1]파일 다운로드1
12490정성태1/15/202119313.NET Framework: 1007. C# - foreach에서 열거 변수의 타입을 var로 쓰면 object로 추론하는 문제 [1]파일 다운로드1
12489정성태1/13/202123317.NET Framework: 1006. C# - DB에 저장한 텍스트의 (이모티콘을 비롯해) 유니코드 문자가 '?'로 보인다면? [1]
12488정성태1/13/202120896.NET Framework: 1005. C# - string 타입은 shallow copy일까요? deep copy일까요? [2]파일 다운로드1
12487정성태1/13/202119718.NET Framework: 1004. C# - GC Heap에 위치한 참조 개체의 주소를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486정성태1/12/202123085.NET Framework: 1003. x64 환경에서 참조형의 기본 메모리 소비는 얼마나 될까요? [1]
12485정성태1/11/202121676Graphics: 38. C# - OpenCvSharp.VideoWriter에 BMP 파일을 1초씩 출력하는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2484정성태1/9/202124937.NET Framework: 1002. C# - ReadOnlySequence<T> 소개파일 다운로드1
12483정성태1/8/202120613개발 환경 구성: 521. dotPeek - 훌륭한 역어셈블 소스 코드 생성 도구
12482정성태1/8/202122448.NET Framework: 1001. C# - 제네릭 타입/메서드에서 사용 시 경우에 따라 CS8377 컴파일 에러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