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WSL - systemd-genie와 관련한 2가지(systemd-remount-fs.service, multipathd.socket) 에러

WSL에 systemd-genie를 설치 후 시작하면 대개의 경우 저처럼 (2022-07-22 기준) 2가지 오류가 발생합니다.

c:\temp> wsl genie -s
genie: WARNING: systemd default target is default.target; targets other than multi-user.target may not work
genie: WARNING: if you wish to use a different target, this warning can be disabled in the config file
genie: WARNING: if you experience problems, please change the target to multi-user.target
Waiting for systemd....!!!!!!!!!!!!!!!!!!!!!!!!!!!!!!!!!!!!!!!!!!!!!!!!!!!!!!!!!!!!!!!!!!!!!!!!!!!!!!!!!!!!!!!!!!!!!!!!!!!!!!!!!!!!!!!!!!!!!!!!!!!!!!!!!!!!!!!!!!!!!!!!!!!!!!!!!!!!!!!!!!!!!!!!!!!!!!!!!!!!!!!!!!!!!!!!!!!!!!!!!!!!!!!!!!!!!!!!!!!!!!!!!!!!!!!!!!!!!!!!
genie: systemd did not enter running state (degraded) after 240 seconds
genie: this may be due to a problem with your systemd configuration
genie: information on problematic units is available at https://github.com/arkane-systems/genie/wiki/Systemd-units-known-to-be-problematic-under-WSL
genie: a list of failed units follows:

  UNIT                       LOAD   ACTIVE SUB    DESCRIPTION
● systemd-remount-fs.service loaded failed failed Remount Root and Kernel File Systems
● multipathd.socket          loaded failed failed multipathd control socket

LOAD   = Reflects whether the unit definition was properly loaded.
ACTIVE = The high-level unit activation state, i.e. generalization of SUB.
SUB    = The low-level unit activation state, values depend on unit type.

2 loaded units listed.
genie: WARNING: systemd is in degraded state, issues may occur!

$

위의 경우 systemd-remount-fs.service, multipathd.socket 2가지 구성 요소를 시작할 때 오류가 발생하고 있는데요, 하나씩 수정해 볼까요? ^^

우선 systemd-remount-fs.service에서 발생한 오류 먼저 해결해 보겠습니다. 보다 자세한 메시지는 systemctl status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는데,

$ sudo systemctl status systemd-remount-fs.service
● systemd-remount-fs.service - Remount Root and Kernel File Systems
     Loaded: loaded (/lib/systemd/system/systemd-remount-fs.service; enabled-runtime; vendor preset: enabled)
     Active: failed (Result: exit-code) since Wed 2022-07-20 16:29:33 KST; 10min ago
       Docs: man:systemd-remount-fs.service(8)
             https://www.freedesktop.org/wiki/Software/systemd/APIFileSystems
    Process: 57 ExecStart=/lib/systemd/systemd-remount-fs (code=exited, status=1/FAILURE)
   Main PID: 57 (code=exited, status=1/FAILURE)

Jul 20 16:29:33 TESTPC-wsl systemd-remount-fs[62]: mount: /: can't find LABEL=cloudimg-rootfs.
Warning: journal has been rotated since unit was started, output may be incomplete.

보다시피 "mount: /: can't find LABEL=cloudimg-rootfs."라는 오류 메시지가 나오는데요, 이에 대해서는 문서에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systemd-remount-fs.service
; https://github.com/arkane-systems/genie/wiki/Systemd-units-known-to-be-problematic-under-WSL#systemd-remount-fsservice

그러니까, systemd-remount-fs 서비스는 루트 파티션을 다시 마운트하려고 하는데 이때 /etc/fstab 파일에 설정된 라벨 이름으로 시도한다고 합니다. 문제는, Ubuntu의 기본 라벨값은 cloudimg-rootfs이고,

$ cat /etc/fstab
LABEL=cloudimg-rootfs   /        ext4   defaults        0 1

WSL의 경우에는 다르다고 합니다. 이것을 맞춰 주기 위해 WSL 루트 파티션을 다음과 같이 cloudimg-rootfs 이름으로 지정하라고 합니다.

$ sudo e2label /dev/sdd cloudimg-rootfs

위에서 "/dev/sdd"는 df를 이용해 구할 수 있습니다.

$ df
Filesystem      1K-blocks      Used  Available Use% Mounted on
/dev/sdd        263174212   3929640  245806416   2% /
tools           894567636 306444732  588122904  35% /init
...[생략]...
/dev/loop1          71680     71680          0 100% /snap/lxd/19188

위와 같은 경우 "/dev/sdd"가 "/" 루트에 매핑이 되고 있으므로 그 이름을 e2label 명령어에 전달하면 됩니다.

그런데, 개인적으로 이게 좀 이해가 안 됩니다. /etc/fstab 파일을 보면 "cloudimg-rootfs"가 "/" 루트로 매핑되어 있는데, 왜 그게 /dev/sdd로 다시 설정해야 한다는 것인지... ^^;




자, 어쨌든 그렇게 해서 문제 한 가지를 해결했고, multipathd.socket으로 넘어가 보겠습니다.

$ sudo systemctl status multipathd.socket
● multipathd.socket - multipathd control socket
     Loaded: loaded (/lib/systemd/system/multipathd.socket; enabled; vendor preset: enabled)
     Active: failed (Result: trigger-limit-hit) since Wed 2022-07-20 16:50:24 KST; 16h ago
   Triggers: ● multipathd.service
     Listen: @/org/kernel/linux/storage/multipathd (Stream)

Jul 20 16:50:24 TESTPC-wsl systemd[1]: multipathd.socket: Trigger limit hit, refusing further activation.
Jul 20 16:50:24 TESTPC-wsl systemd[1]: multipathd.socket: Failed with result 'trigger-limit-hit'.
Warning: journal has been rotated since unit was started, output may be incomplete.

딱히 이번에는 도움이 될만한 오류가 없는데요, 그래도 문서를 보면,

multipathd.service
; https://github.com/arkane-systems/genie/wiki/Systemd-units-known-to-be-problematic-under-WSL#multipathdservice

원래 WSL의 기본 커널에는 multipath 지원이 없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것을 해결하려면 별도의 커널 컴파일을 해야 하는데... 음... 귀찮으니 그냥 disable 시키겠습니다.

$ sudo systemctl disable multipathd.socket




자, 이렇게 2개의 문제를 해결하고 다시 "wsl genie -s" 명령을 내리면 이번에는 깔끔하게 시작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C:\Windows\System32> wsl genie -s
Waiting for systemd....!!!!!!!!!!!

$ pstree
systemd─┬─ModemManager───2*[{ModemManager}]
        ├─NetworkManager───2*[{NetworkManager}]
        ├─accounts-daemon───2*[{accounts-daemon}]
        ├─agetty
        ├─atd
        ├─avahi-daemon───avahi-daemon
        ├─bash─┬─(sd-pam)
        │      └─pstree
        ├─cron
        ├─dbus-daemon
        ├─gdm3───3*[{gdm3}]
        ├─networkd-dispat
        ├─polkitd───2*[{polkitd}]
        ├─rsyslogd───3*[{rsyslogd}]
        ├─rtkit-daemon───2*[{rtkit-daemon}]
        ├─snapd───25*[{snapd}]
        ├─4*[snapfuse]
        ├─sshd
        ├─switcheroo-cont───2*[{switcheroo-cont}]
        ├─systemd─┬─(sd-pam)
        │         └─dbus-daemon
        ├─systemd─┬─(sd-pam)
        │         ├─dbus-daemon
        │         └─pulseaudio───2*[{pulseaudio}]
        ├─systemd-hostnam
        ├─systemd-journal
        ├─systemd-logind
        ├─systemd-machine
        ├─systemd-network
        ├─systemd-resolve
        ├─systemd-timedat
        ├─systemd-udevd───48*[systemd-udevd]
        ├─udisksd───4*[{udisksd}]
        ├─unattended-upgr───{unattended-upgr}
        └─wpa_supplicant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22/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454정성태5/31/201326318Java: 15. Java 7 Control Panel 실행시키는 방법
1453정성태5/22/201325351기타: 32. Microsoft FTP 사이트에 접속하는 방법
1452정성태5/21/201333065Windows: 73. TabProcGrowth 값 삭제 후 IE를 실행시키면 다시 복원되는 경우 [3]
1451정성태5/17/201331979Windows: 72. 윈도우 서버 2012 기초 사용법
1450정성태5/16/201322738오류 유형: 176. SQL10007N Message "0" could not be retrieved. Reason code: "3"
1449정성태5/15/201329842오류 유형: 175. SpeechRecognitionEngine 사용 시 오류 유형 2가지
1448정성태5/14/201324838VC++: 68. #pragma warning(disable: ...)로 오류 제어가 안된다면?
1447정성태5/3/201326520개발 환경 구성: 191. Debugging Tools for Windows 독립 설치 버전 [1]
1446정성태4/30/201327330.NET Framework: 368. Encoding 타입의 대체(fallback) 메카니즘 [1]
1445정성태4/26/201325554디버깅 기술: 54. NT 서비스의 Main 메서드 안에서 Process.GetProcessesByName 호출 시 멈춤 현상 [1]
1444정성태4/26/201329565기타: 31. Internet Explorer: 자바스크립트로 숨겨진 파일 다운로드 경로를 알아내는 방법 [1]
1443정성태4/24/201325249개발 환경 구성: 190. Azure PaaS 웹 응용 프로그램 배포 후 SMTP 서버 구성 [2]
1442정성태4/21/201328804기타: 30. 마이크로소프트 워드의 CPU 점유 현상으로 글자 입력이 느려졌다면? [1]
1441정성태4/21/201335415.NET Framework: 367. LargeAddressAware 옵션이 적용된 닷넷 32비트 프로세스의 가용 메모리 [14]
1440정성태4/19/201324156오류 유형: 174. dumpbin.exe 실행시 mspdb110.dll 로드 오류
1439정성태4/18/201328004VS.NET IDE: 76. Visual Studio 2012와 Itanium 빌드 옵션 [2]
1438정성태4/17/201327431.NET Framework: 366. 다른 프로세스에 환경 변수 설정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파일 다운로드1
1437정성태4/17/201327662VC++: 67. CRT(C Runtime DLL: msvcr...dll)에 대한 의존성 제거
1436정성태4/17/201333034.NET Framework: 365. Local SYSTEM 권한으로 코드를 실행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435정성태4/15/201341900Windows: 71. ad-hoc 보다 더 편리한 "가상 Wifi" 를 이용한 인터넷 공유 [2]
1434정성태4/9/201323191오류 유형: 173. TFS 서버의 이벤트 로그 오류 - WebHost failed to process a request. Parameter name: certificate
1433정성태4/9/201323517개발 환경 구성: 189. TFS에 설치된 SharePoint 의 PowerShell 콘솔 띄우는 방법
1432정성태4/5/201324516오류 유형: 172. System.Web.PipelineModuleStepContainer.GetEventCount 에서 NullReferenceException 이 발생한다면?
1431정성태4/5/201325138기타: 29. 부팅 가능한 (외장) HDD를 기존 부팅 메뉴에 추가하는 방법
1430정성태4/4/201327020제니퍼 .NET: 23. 모바일용 웹 사이트에서 발생하는 응답 시간 지연 현상 [5]파일 다운로드1
1429정성태3/29/201323375개발 환경 구성: 188. SCOM 2012 - ASP.NET 모니터링 방법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