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WSL - systemd-genie와 관련한 2가지(systemd-remount-fs.service, multipathd.socket) 에러

WSL에 systemd-genie를 설치 후 시작하면 대개의 경우 저처럼 (2022-07-22 기준) 2가지 오류가 발생합니다.

c:\temp> wsl genie -s
genie: WARNING: systemd default target is default.target; targets other than multi-user.target may not work
genie: WARNING: if you wish to use a different target, this warning can be disabled in the config file
genie: WARNING: if you experience problems, please change the target to multi-user.target
Waiting for systemd....!!!!!!!!!!!!!!!!!!!!!!!!!!!!!!!!!!!!!!!!!!!!!!!!!!!!!!!!!!!!!!!!!!!!!!!!!!!!!!!!!!!!!!!!!!!!!!!!!!!!!!!!!!!!!!!!!!!!!!!!!!!!!!!!!!!!!!!!!!!!!!!!!!!!!!!!!!!!!!!!!!!!!!!!!!!!!!!!!!!!!!!!!!!!!!!!!!!!!!!!!!!!!!!!!!!!!!!!!!!!!!!!!!!!!!!!!!!!!!!!
genie: systemd did not enter running state (degraded) after 240 seconds
genie: this may be due to a problem with your systemd configuration
genie: information on problematic units is available at https://github.com/arkane-systems/genie/wiki/Systemd-units-known-to-be-problematic-under-WSL
genie: a list of failed units follows:

  UNIT                       LOAD   ACTIVE SUB    DESCRIPTION
● systemd-remount-fs.service loaded failed failed Remount Root and Kernel File Systems
● multipathd.socket          loaded failed failed multipathd control socket

LOAD   = Reflects whether the unit definition was properly loaded.
ACTIVE = The high-level unit activation state, i.e. generalization of SUB.
SUB    = The low-level unit activation state, values depend on unit type.

2 loaded units listed.
genie: WARNING: systemd is in degraded state, issues may occur!

$

위의 경우 systemd-remount-fs.service, multipathd.socket 2가지 구성 요소를 시작할 때 오류가 발생하고 있는데요, 하나씩 수정해 볼까요? ^^

우선 systemd-remount-fs.service에서 발생한 오류 먼저 해결해 보겠습니다. 보다 자세한 메시지는 systemctl status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는데,

$ sudo systemctl status systemd-remount-fs.service
● systemd-remount-fs.service - Remount Root and Kernel File Systems
     Loaded: loaded (/lib/systemd/system/systemd-remount-fs.service; enabled-runtime; vendor preset: enabled)
     Active: failed (Result: exit-code) since Wed 2022-07-20 16:29:33 KST; 10min ago
       Docs: man:systemd-remount-fs.service(8)
             https://www.freedesktop.org/wiki/Software/systemd/APIFileSystems
    Process: 57 ExecStart=/lib/systemd/systemd-remount-fs (code=exited, status=1/FAILURE)
   Main PID: 57 (code=exited, status=1/FAILURE)

Jul 20 16:29:33 TESTPC-wsl systemd-remount-fs[62]: mount: /: can't find LABEL=cloudimg-rootfs.
Warning: journal has been rotated since unit was started, output may be incomplete.

보다시피 "mount: /: can't find LABEL=cloudimg-rootfs."라는 오류 메시지가 나오는데요, 이에 대해서는 문서에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systemd-remount-fs.service
; https://github.com/arkane-systems/genie/wiki/Systemd-units-known-to-be-problematic-under-WSL#systemd-remount-fsservice

그러니까, systemd-remount-fs 서비스는 루트 파티션을 다시 마운트하려고 하는데 이때 /etc/fstab 파일에 설정된 라벨 이름으로 시도한다고 합니다. 문제는, Ubuntu의 기본 라벨값은 cloudimg-rootfs이고,

$ cat /etc/fstab
LABEL=cloudimg-rootfs   /        ext4   defaults        0 1

WSL의 경우에는 다르다고 합니다. 이것을 맞춰 주기 위해 WSL 루트 파티션을 다음과 같이 cloudimg-rootfs 이름으로 지정하라고 합니다.

$ sudo e2label /dev/sdd cloudimg-rootfs

위에서 "/dev/sdd"는 df를 이용해 구할 수 있습니다.

$ df
Filesystem      1K-blocks      Used  Available Use% Mounted on
/dev/sdd        263174212   3929640  245806416   2% /
tools           894567636 306444732  588122904  35% /init
...[생략]...
/dev/loop1          71680     71680          0 100% /snap/lxd/19188

위와 같은 경우 "/dev/sdd"가 "/" 루트에 매핑이 되고 있으므로 그 이름을 e2label 명령어에 전달하면 됩니다.

그런데, 개인적으로 이게 좀 이해가 안 됩니다. /etc/fstab 파일을 보면 "cloudimg-rootfs"가 "/" 루트로 매핑되어 있는데, 왜 그게 /dev/sdd로 다시 설정해야 한다는 것인지... ^^;




자, 어쨌든 그렇게 해서 문제 한 가지를 해결했고, multipathd.socket으로 넘어가 보겠습니다.

$ sudo systemctl status multipathd.socket
● multipathd.socket - multipathd control socket
     Loaded: loaded (/lib/systemd/system/multipathd.socket; enabled; vendor preset: enabled)
     Active: failed (Result: trigger-limit-hit) since Wed 2022-07-20 16:50:24 KST; 16h ago
   Triggers: ● multipathd.service
     Listen: @/org/kernel/linux/storage/multipathd (Stream)

Jul 20 16:50:24 TESTPC-wsl systemd[1]: multipathd.socket: Trigger limit hit, refusing further activation.
Jul 20 16:50:24 TESTPC-wsl systemd[1]: multipathd.socket: Failed with result 'trigger-limit-hit'.
Warning: journal has been rotated since unit was started, output may be incomplete.

딱히 이번에는 도움이 될만한 오류가 없는데요, 그래도 문서를 보면,

multipathd.service
; https://github.com/arkane-systems/genie/wiki/Systemd-units-known-to-be-problematic-under-WSL#multipathdservice

원래 WSL의 기본 커널에는 multipath 지원이 없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것을 해결하려면 별도의 커널 컴파일을 해야 하는데... 음... 귀찮으니 그냥 disable 시키겠습니다.

$ sudo systemctl disable multipathd.socket




자, 이렇게 2개의 문제를 해결하고 다시 "wsl genie -s" 명령을 내리면 이번에는 깔끔하게 시작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C:\Windows\System32> wsl genie -s
Waiting for systemd....!!!!!!!!!!!

$ pstree
systemd─┬─ModemManager───2*[{ModemManager}]
        ├─NetworkManager───2*[{NetworkManager}]
        ├─accounts-daemon───2*[{accounts-daemon}]
        ├─agetty
        ├─atd
        ├─avahi-daemon───avahi-daemon
        ├─bash─┬─(sd-pam)
        │      └─pstree
        ├─cron
        ├─dbus-daemon
        ├─gdm3───3*[{gdm3}]
        ├─networkd-dispat
        ├─polkitd───2*[{polkitd}]
        ├─rsyslogd───3*[{rsyslogd}]
        ├─rtkit-daemon───2*[{rtkit-daemon}]
        ├─snapd───25*[{snapd}]
        ├─4*[snapfuse]
        ├─sshd
        ├─switcheroo-cont───2*[{switcheroo-cont}]
        ├─systemd─┬─(sd-pam)
        │         └─dbus-daemon
        ├─systemd─┬─(sd-pam)
        │         ├─dbus-daemon
        │         └─pulseaudio───2*[{pulseaudio}]
        ├─systemd-hostnam
        ├─systemd-journal
        ├─systemd-logind
        ├─systemd-machine
        ├─systemd-network
        ├─systemd-resolve
        ├─systemd-timedat
        ├─systemd-udevd───48*[systemd-udevd]
        ├─udisksd───4*[{udisksd}]
        ├─unattended-upgr───{unattended-upgr}
        └─wpa_supplicant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22/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630정성태2/5/201422811개발 환경 구성: 216. Hyper-V에 올려진 윈도우 XP VM에서 24bit 컬러 및 ClearType 활성화하는 방법
1629정성태2/5/201432630개발 환경 구성: 215. DOS batch - 하나의 .bat 파일에서 다중 .bat 파일을 (비동기로) 실행하는 방법 [1]
1628정성태2/4/201433952Windows: 87. 윈도우 8.1에서 .NET 3.5 설치가 안된다면? [2]
1627정성태2/4/201429013개발 환경 구성: 214. SQL Server Reporting Services를 이용해 간단한 리포트 제작하는 방법
1626정성태2/4/201421023Windows: 86. 윈도우 8.1의 Skydrive 내용이 동기화가 안된다면?
1625정성태2/2/201428194.NET Framework: 422. C++과 C#의 Event 공유파일 다운로드1
1624정성태2/2/201423807.NET Framework: 421. ASP.NET에서 Server.CreateObject와 COM Interop 클래스 생성의 차이점
1623정성태2/1/201428547개발 환경 구성: 213. x86/x64별로 나뉘어진 어셈블리를 한 프로젝트에서 참조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622정성태1/31/201429017VC++: 74. 어떤 것을 쓰면 좋을까요? wvnsprintf, _vsnwprintf_s, StringCbVPrintfW [4]
1621정성태1/31/201420849.NET Framework: 420. 베트남의 11학년(한국의 고2)이 45분만에 푼다는 알고리즘 문제파일 다운로드1
1620정성태1/30/201430663.NET Framework: 419. C# - BigDecimal파일 다운로드1
1619정성태1/30/201427399VS.NET IDE: 85. T4를 이용한 INotifyPropertyChanged 코드 자동 생성파일 다운로드1
1618정성태1/29/201443105Linux: 2. 우분투에서 Active Directory 계정을 이용한 파일 공유
1617정성태1/29/201424224.NET Framework: 418. Thread.Abort 호출의 hang 현상 [1]
1616정성태1/29/201424900디버깅 기술: 63. windbg 디버깅 사례: AppDomain 간의 static 변수 사용으로 인한 crash
1615정성태1/29/201426851.NET Framework: 417. WPF WebBrowser 컨트롤에서 SHDocVw.IWebBrowser2 인터페이스를 구하는 방법 및 순수 WPF 웹 브라우저 컨트롤 소개
1614정성태1/29/201423802.NET Framework: 416. System.Net.Sockets.NetworkStream이 Thread-safe할까?파일 다운로드1
1613정성태1/29/201425799.NET Framework: 415. IIS 작업자 프로세스 재생(recycle)하는 방법 [1]
1612정성태1/29/201422572오류 유형: 219. IIS 500 Internal Server Error - Skydrive에 공유된 경우
1611정성태1/27/201453984.NET Framework: 414. C# - 컴퓨터에서 알아낼 수 있는 고윳값 정리 [3]파일 다운로드1
1610정성태1/26/201437917.NET Framework: 413. C# - chromiumembedded 사용 [11]파일 다운로드1
1609정성태1/26/201420956오류 유형: 218. wsDualHttpBinding + Windows Server 2003인 경우 발생하는 오류
1608정성태1/26/201426251.NET Framework: 412. HttpContext.Current를 통해 이해하는 CallContext와 ExecutionContext [4]
1607정성태1/26/201426169.NET Framework: 411. 유니코드의 "compatibility character"가 뭘까요? [4]파일 다운로드1
1606정성태1/25/201424274오류 유형: 217. 델 베뉴 스타일러스 관련 업데이트 오류 - 5830_Firmware_X267N_WN_1.0.4.1_A01.EXE
1605정성태1/23/201421121개발 환경 구성: 212. Visual Studio Online과 "Monaco" 서비스 연동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