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NET Core/5+ 환경에서 XmlSerializer 사용 시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 예외 발생하는 경우

이 문제를 예제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 다음과 같이 간단한 예제를 작성하고,

// .NET 7 

using System.Xml.Serialization;

namespace ConsoleApp1
{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XmlSerializer xs = new XmlSerializer(typeof(MyType));
            MyType inst = new MyType { Age = 6 };

            MemoryStream ms = new MemoryStream();
            xs.Serialize(ms, inst);
        }
    }
}

public class MyType
{
    public int Age;
}

비주얼 스튜디오 내에서 F5 디버깅 모드로 실행하면 "new XmlSerializer..." 실행 시 Output 창에 이런 예외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Exception thrown: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 in System.Private.CoreLib.dll
Exception thrown: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 in System.Private.CoreLib.dll

혹은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에 대해 "Break when this exception type is thrown"을 한 상태라면 F5 디버깅 시에 직접 예외를 catch 하면서 IDE 상에서 동작이 멈출 것입니다.

처음 한 번은,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ConsoleApp1.XmlSerializers, Version=1.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null, processorArchitecture=MSIL'.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ConsoleApp1.XmlSerializers, ..." 어셈블리 이름으로 로드하려고 시도했다가 실패한 것이고, 두 번째는,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C:\temp\ConsoleApp1\ConsoleApp1\bin\Debug\net7.0\ConsoleApp1.XmlSerializers.dll'.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직접 ConsoleApp1.XmlSerializers.dll 파일을 로드하려다가 실패한 경우입니다.




개인적으로, 가능한 모든 예외에 대해서는 "thrown" 옵션을 켜놓고 디버깅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왜냐하면 그래야 혹시 모를 버그의 발생 원인을 처음부터 인지하고 대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thrown 옵션이 켜진 상태에서 저런 식으로 공식 BCL에서 예외를 던져 버리면 한두 번 정도는 참고 지나갈 수 있겠지만, 주요 개발 프로젝트를 저렇게 실행할 때마다 BP 걸린 듯이 멈추면 결국 thrown 옵션을 해제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프로젝트가 진행되다 보면 결국 FileNotFoundException으로 쉽게 밝혀질 수 있었던 버그가 묻혀 버리게 되고 나중에 힘겹게 원인 파악을 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XmlSerializer의 예외를 어떻게든지 ^^ 해결하고 싶습니다.

우선, 이미 설명했듯이 ConsoleApp1.XmlSerializers.dll을 미리 생성하는 방법을 지난 글에서 설명했습니다.

.NET Core/5+를 위한 SGen(Microsoft.XmlSerializer.Generator)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3196

하지만, 저렇게 해도 FileNotFoundException 예외가 꼭 한 번은 발생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2번의 예외 중 첫 번째가 "ConsoleApp1.XmlSerializers" 어셈블리 이름으로 찾기를 시도하기 때문입니다. 저 시도 자체는 막을 수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우회 방법으로 AppDomain.CurrentDomain.AssemblyResolve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Reflection;
using System.Xml.Serialization;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ppDomain.CurrentDomain.AssemblyResolve += CurrentDomain_AssemblyResolve;

        XmlSerializer xs = new XmlSerializer(typeof(MyType));
        MyType inst = new MyType { Age = 6 };

        MemoryStream ms = new MemoryStream();
        xs.Serialize(ms, inst);
    }

    private static System.Reflection.Assembly? CurrentDomain_AssemblyResolve(object? sender, ResolveEventArgs args)
    {
        AssemblyName asmName = new AssemblyName(args.Name);

        if (asmName.Name == "ConsoleApp1.XmlSerializers")
        {
            string fileName = $"{asmName.Name}.dll";
            string filePath = Path.Combine(Environment.CurrentDirectory, fileName);
            return Assembly.LoadFile(filePath);
        }

        return null;
    }
}

public class MyType
{
    public int Age;
}

위와 같이 처리해 주면 이후부터는 원래 발생했어야 할 2번의 예외가 한 번도 발생하지 않게 됩니다.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17/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25정성태9/8/200627322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2. CCP를 이용한 Windows Source Code 수준의 디버깅
329정성태8/19/200626355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3. 소스 서버 구성 [1]
332정성태8/20/200627817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4. GAC 에 등록된 Assembly 디버그 [2]
341정성태9/16/200620173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5. [내용 예약]
342정성태9/16/200637734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6. ASP.NET 디버깅 환경 구성 [1]파일 다운로드1
306정성태2/13/200717249기타: 15. .NET 이 생산성이 높다는 증거(!)
304정성태7/21/200619172VS.NET IDE: 41. 하위 폴더의 모든 프로젝트의 출력물을 제거 (Clean)
305정성태7/21/200618847    답변글 VS.NET IDE: 41.1. 하위 폴더의 모든 프로젝트의 출력물을 제거 (Clean) [1]
303정성태7/20/200616889Team Foundation Server: 12. 사용자 계정 재생성에 따른 Version Control 영향
302정성태8/21/200618447Team Foundation Server: 11. TFS Team Build와 VC++ Project 설정
299정성태7/23/200618900개발 환경 구성: 5. VMWare - VM 생성 화면 캡쳐
300정성태7/15/200623305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5.1. VMWare 오류 유형 - The handle is invalid.
301정성태7/18/200618308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5.2. VMWare - 사용 후기.
298정성태7/14/200618711개발 환경 구성: 4. VMWare Server를 64bit 운영체제에 설치 시 주의 사항 [2]
296정성태7/10/200628002.NET Framework: 73. [ASP.NET] HTC(DHTML Control Behavior)를 WebResource.axd로 제공하는 방법 [3]
295정성태7/1/200621213VC++: 25. Microsoft National Language Support Downlevel APIs 1.0 사용 방법파일 다운로드1
294정성태6/30/200617771.NET Framework: 72. XSDObjectGen.EXE 기능 개선
293정성태6/29/200619513Team Foundation Server: 10. TFS 버전 컨트롤(TFVC)에 참여시킨 프로젝트의 로컬 경로를 옮기는 방법
290정성태6/26/200616864Team Foundation Server: 9. HTTPS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 두 번째 이야기 [1]
291정성태6/26/200618188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9.1. [선행 작업] HTTPS 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 두번째 이야기 [1]
292정성태6/26/200617932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9.2. TF30177 오류 발생
307정성태8/3/200619589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9.3. Team Server 접근 이름을 바꾸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308정성태2/18/200719238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9.4. Team Server HTTPS 접근 완료. ^^ [1]
288정성태6/26/200634122오류 유형: 10. error MSB6006: "aspnet_merge.exe" exited with code 1
286정성태6/23/200622242웹: 4. 웹 사이트 식별자(Identifier) 값 변경
285정성태6/20/200622533오류 유형: 9. [TFS] Report 관련 서비스를 조회할 때 rsErrorImpersonatingUser 오류 메시지 발생 [1]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