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3개 있습니다.)
Windows: 221. Windows - Private/Public/Domain이 아닌 네트워크 어댑터 단위로 방화벽을 on/off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24

개발 환경 구성: 658. Windows에서 실행 중인 소켓 서버를 다른 PC 또는 WSL에서 접속할 수 없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3225

Windows: 253. 소켓 Listen 시 방화벽의 Public/Private 제어 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3440




Windows에서 실행 중인 소켓 서버를 다른 PC 또는 WSL에서 접속할 수 없는 경우

보통, Windows에서 TCP/UDP 소켓을 서버 유형으로 열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자동으로 "Windows Defender"가 이를 감지하고 포트 접근을 허용할지 묻는 창을 띄우게 됩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다음과 같이 간단한 C# 프로그램을 만들고,

using System.Net.Sockets;
using System.Net;
using System.Text;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using (UdpClient listener = new UdpClient(60900))
        {
            IPEndPoint ep = new IPEndPoint(IPAddress.Any, 0);

            while (true)
            {
                byte[] bytes = listener.Receive(ref ep);
                string text = Encoding.UTF8.GetString(bytes);
                Console.WriteLine(text);
            }
        }
    }
}

실행하면 이런 알림 창이 하나 뜨게 됩니다.

windows_port_defender_1.png

질문은 간단합니다, "ConsoleApp1" 프로그램에 대한 소켓 접속을 (기본으로는) "Private networks"에만 허용하겠다는 것입니다. 사실, 위의 창이 뜨자마자 Windows Defender는 이미 "ConsoleApp1"에 대해 다음과 같이 Private, Public 네트워크에 대해 모두 TCP/UDP 접속을 막겠다는 설정을 추가합니다.

windows_port_defender_2.png

따라서, "Windows Security Alert" 창에서 "Allow access" 버튼을 누르지 않고 Cancel을 하면 60900 포트에 대해 TCP/UDP 접속을 모두 막아 버립니다.

물론, "Allow access" 버튼을 누르면 화면에도 나오는 것처럼 기본값이 "Private networks, such as my home or work network" 옵션만 선택돼 있으므로, "Private"에 대해서는 TCP/UDP 접속을 "Allow"하게 바뀝니다.

windows_port_defender_3.png

일단, 한번 "Windows Security Alert" 창을 보게 되면 이후로는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다시 뜨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Windows Defender"가 이미 포트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다시 묻지 않는 것입니다. 물론, 다시 묻게 만들고 싶다면 위의 그림에 나온 항목(ConsoleApp1)을 모두 삭제하면 됩니다.




위의 화면에서 본 것처럼, 사용자가 무심코 누른 설정 창은 "Public Network" 유형에 대해서는 모든 접속을 막게 됩니다. 따라서, 보통은 다른 (Public 네트워크에 속한 것으로 인식된) 컴퓨터에서의 접속이 안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왜? WSL 인스턴스 내의 프로그램에서도 그것을 호스팅하는 윈도우 측으로의 소켓 접속을 못하는 걸까요? 마찬가지입니다, WSL 네트워크가 기본적으로는 "Public" 유형에 속한 것으로 설정돼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 글에,

Hyper-V VM의 Internal Network를 Private 유형으로 만드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299

Get-NetConnectionProfile, Set-NetConnectionProfile 명령어를 통해 Network Category를 변경할 수 있다고 설명했는데요, 아쉽게도 WSL 네크워크, 정식 이름인 "vEthernet (WSL)"의 경우에는 Get-NetConnectionProfile 출력에 나오지도 않고,

PS C:\temp> Get-NetConnectionProfile

Name                     : Network 1
InterfaceAlias           : vEthernet (External)
InterfaceIndex           : 5
NetworkCategory          : Public
DomainAuthenticationKind : None
IPv4Connectivity         : Internet
IPv6Connectivity         : NoTraffic

저렇게 관리 범위 밖에 해당하는 탓인지 gpedit.msc의 "Network List Manager"에도 없습니다. 음... 어쩔 수 없군요, 일단 WSL에 대해 Public을 Private으로 바꾸는 방법이 없으므로, 차선책으로 WSL 네트워크에 대해 아예 방화벽을 제거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방법은 아래의 글에 설명했으니 참고하시고.

Windows - Private/Public/Domain이 아닌 네트워크 어댑터 단위로 방화벽을 on/off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24

방화벽을 여는 것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그냥 "Windows Security Alert" 창이 떴을 때 신경 써서 "Public networks, such as those in airports and coffee shops (not recommended because these networks often have little or no security)" 옵션을 선택하거나, 혹시 모르고 선택 창을 기본으로 선택하고 넘어간 적이 있다면 Windows Defender 설정 창에서 "ConsoleApp1"에 대해 Public이 막혀 있는 것을 허용으로 바꾸시면 됩니다.

(WSL 네트워크에 대해 network category 변경 방법을 아시는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2/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663정성태6/9/20219166.NET Framework: 1065. Windows Forms - 속성 창의 디자인 설정 지원: 문자열 목록 내에서 항목을 선택하는 TypeConverter 제작파일 다운로드1
12662정성태6/8/20218292.NET Framework: 1064. C# COM 개체를 PIA(Primary Interop Assembly)로써 "Embed Interop Types" 참조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61정성태6/4/202119004.NET Framework: 1063. C# - MQTT를 이용한 클라이언트/서버(Broker) 통신 예제 [4]파일 다운로드1
12660정성태6/3/202110131.NET Framework: 1062. Windows Forms - 폼 내에서 발생하는 마우스 이벤트를 자식 컨트롤 영역에 상관없이 수신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659정성태6/2/202111366Linux: 40. 우분투 설치 후 MBR 디스크 드라이브 여유 공간이 인식되지 않은 경우 - Logical Volume Management
12658정성태6/2/20218815Windows: 194. Microsoft Store에 있는 구글의 공식 Youtube App
12657정성태6/2/202110090Windows: 193. 윈도우 패키지 관리자 - winget 설치
12656정성태6/1/20218334.NET Framework: 1061. 서버 유형의 COM+에 적용할 수 없는 Server GC
12655정성태6/1/20217797오류 유형: 722. windbg/sos - savemodule - Fail to read memory
12654정성태5/31/20217821오류 유형: 721. Hyper-V - Saved 상태의 VM을 시작 시 오류 발생
12653정성태5/31/202110509.NET Framework: 1060. 닷넷 GC에 새롭게 구현되는 DPAD(Dynamic Promotion And Demotion for GC)
12652정성태5/31/20218632VS.NET IDE: 164. Visual Studio - Web Deploy로 Publish 시 암호창이 매번 뜨는 문제
12651정성태5/31/20218891오류 유형: 720. PostgreSQL - ERROR: 22P02: malformed array literal: "..."
12650정성태5/17/20218211기타: 82. OpenTabletDriver의 버튼에 더블 클릭을 매핑 및 게임에서의 지원 방법
12649정성태5/16/20219515.NET Framework: 1059. 세대 별 GC(Garbage Collection) 방식에서 Card table의 사용 의미 [1]
12648정성태5/16/20218156사물인터넷: 66. PC -> FTDI -> NodeMCU v1 ESP8266 기기를 UART 핀을 연결해 직렬 통신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47정성태5/15/20219399.NET Framework: 1058. C# - C++과의 연동을 위한 구조체의 fixed 배열 필드 사용파일 다운로드1
12646정성태5/15/20218543사물인터넷: 65. C# - Arduino IDE의 Serial Monitor 기능 구현파일 다운로드1
12645정성태5/14/20218226사물인터넷: 64. NodeMCU v1 ESP8266 - LittleFS를 이용한 와이파이 접속 정보 업데이트파일 다운로드1
12644정성태5/14/20219393오류 유형: 719. 윈도우 - 제어판의 "프로그램 및 기능" / "Windows 기능 켜기/끄기" 오류 0x800736B3
12643정성태5/14/20218571오류 유형: 718. 서버 유형의 COM+ 사용 시 0x80080005(Server execution failed) 오류 발생
12642정성태5/14/20219494오류 유형: 717. The 'Microsoft.ACE.OLEDB.12.0' provider is not registered on the local machine.
12641정성태5/13/20219197디버깅 기술: 179. 윈도우용 .NET Core 3 이상에서 Windbg의 sos 사용법
12640정성태5/13/202112134오류 유형: 716. RDP 연결 - Because of a protocol error (code: 0x112f), the remote session will be disconnected. [1]
12639정성태5/12/20219030오류 유형: 715. Arduino: Open Serial Monitor - The module '...\detection.node' was compiled against a different Node.js version using NODE_MODULE_VERSION
12638정성태5/12/20219941사물인터넷: 63. NodeMCU v1 ESP8266 - 펌웨어 내 파일 시스템(SPIFFS, LittleFS) 및 EEPROM 활용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