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683. GPU 런타임을 사용하는 Colab 노트북 설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468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GPU 런타임을 사용하는 Colab 노트북 설정

Colab 노트북을 생성하면

Google Colab
; https://colab.research.google.com/

무조건 GPU 환경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확인을 위해 다음과 같이 간단한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있는데요,

import torch

device = torch.device("cuda") if torch.cuda.is_available() else torch.device("cpu")
print(device)

출력이 "cpu"로 나오면 그것은 GPU를 사용하지 않는 실행 환경임을 의미합니다. 위의 스크립트가 아니어도 간단하게 확인하는 방법이 있는데요, Colab 화면에서 "View resources"를 선택했을 때,

colab_gpu_runtime_1.png

이렇게 "System RAM"과 "Disk"만 나오면 역시나 GPU 실행환경이 아닙니다.

colab_gpu_runtime_2.png

현재의 런타임 환경을 GPU 추가로 바꾸고 싶다면, 위의 "Resources" 뷰 하단에 있는 "Change runtime type" 링크를 선택해,

colab_gpu_runtime_3.png

다음과 같이 "Hardware accelerator"를 "GPU"로 바꿔줘야 합니다.

colab_gpu_runtime_4.png

그래서 다시 스크립트를 실행하면 "cuda"가 나올 것이고, "Resources" 뷰에서도 "GPU RAM" 항목이 추가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colab_gpu_runtime_5.png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6/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20정성태7/30/201233570Math: 10. C# - (타)원 영역의 마우스 클릭 판단파일 다운로드1
1319정성태7/26/201230864개발 환경 구성: 159. Azure - 네트워크 포트 여는 방법 [1]
1317정성태7/24/201230608오류 유형: 159. SpeechRecognitionEngine.SetInputToDefaultAudioDevice 호출 시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예외 발생
1316정성태7/18/201289134개발 환경 구성: 158. .NET 응용 프로그램에서 Oracle XE 11g 사용
1315정성태7/17/201234019개발 환경 구성: 157. Azure - Virtual Machine 구성 [2]
1314정성태7/16/201227875개발 환경 구성: 156. Azure - 2개 이상의 서비스 계정을 가지고 있을 때 프로젝트를 배포하는 방법
1313정성태7/16/201240924오류 유형: 158. Hyper-V 설치 후 VM 시작이 안되는 경우
1312정성태7/15/201241017Math: 9. 황금비율 증명
1311정성태7/15/201233344Math: 8. C# - 피보나치 수열의 사각형과 황금 나선(Golden spiral) 그리기파일 다운로드1
1310정성태7/13/201236862Math: 7. C# - 펜타그램(Pentagram) 그리기파일 다운로드1
1309정성태7/13/201234731개발 환경 구성: 155.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압축 해제 방법
1308정성태7/3/201230318.NET Framework: 330. IEnumerator는 언제나 읽기 전용일까?파일 다운로드1
1307정성태6/30/201233224개발 환경 구성: 154. Sysnet, Azure를 만나다. [5]
1306정성태6/29/201233103제니퍼 .NET: 22. 눈으로 확인하는 connectionManagement의 maxconnection 설정값 [4]
1305정성태6/28/201231640오류 유형: 157. IIS 6 - WCF svc 호출 시 404 Not Found 발생
1304정성태6/27/201232342개발 환경 구성: 153. sysnet 첨부 파일을 Azure Storage에 마이그레이션 [3]파일 다운로드1
1303정성태6/26/201231835개발 환경 구성: 152. sysnet DB를 SQL Azure 데이터베이스로 마이그레이션
1302정성태6/25/201233810개발 환경 구성: 151. Azure 웹 사이트에 사용자 도메인 네임 연결하는 방법
1301정성태6/20/201229849오류 유형: 156. KB2667402 윈도우 업데이트 실패 및 마이크로소프트 Answers 웹 사이트 대응
1300정성태6/20/201237595.NET Framework: 329. C# - Rabin-Miller 소수 생성방법을 이용하여 RSACryptoServiceProvider의 개인키를 직접 채워보자 [1]파일 다운로드2
1299정성태6/18/201238706제니퍼 .NET: 21. 제니퍼 닷넷 - Ninject DI 프레임워크의 성능 분석 [2]파일 다운로드2
1298정성태6/14/201238850VS.NET IDE: 72. Visual Studio에서 pfx 파일로 서명한 경우, 암호는 어디에 저장될까? [2]
1297정성태6/12/201235354VC++: 63. 다른 프로세스에 환경 변수 설정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96정성태6/5/201231941.NET Framework: 328. 해당 DLL이 Managed인지 / Unmanaged인지 확인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4]파일 다운로드1
1295정성태6/5/201228956.NET Framework: 327. RSAParameters와 System.Numerics.BigInteger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294정성태5/27/201254474.NET Framework: 326. 유니코드와 한글 - 유니코드와 닷넷을 이용한 한글 처리 [7]파일 다운로드2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