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Linux - 외부에서의 접속을 허용하기 위한 TCP 포트 여는 방법

예전에 Centos 7 환경에서 firewall-cmd 명령어를 이용해 방화벽 제어를 했었는데요, 그런데 방화벽 설정이 없는데도,

$ sudo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10240/tcp
FirewallD is not running

외부에서 "telnet ...ip... 10240"으로 접속 테스트가 안 됩니다. 음... 뭔가 또 다른 방화벽 시스템이 있는 듯한데요, 한참을 헤맨 끝에 iptables라는 것이 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

How To List and Delete Iptables Firewall Rules
; https://www.digitalocean.com/community/tutorials/how-to-list-and-delete-iptables-firewall-rules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명령을 수행해 얻은 출력을 보면,

$ sudo iptables -L INPUT
Chain INPUT (policy ACCEPT)
target     prot opt source               destination         
           tcp  --  anywhere             anywhere            
neutron-openvswi-INPUT  all  --  anywhere             anywhere            
ACCEPT     tcp  --  anywhere             anywhere             multiport dports fs-agent /* 001 aodh-api incoming aodh_api */
ACCEPT     tcp  --  anywhere             anywhere             multiport dports 8777 /* 001 ceilometer-api incoming ceilometer_api */
ACCEPT     tcp  --  anywhere             anywhere             multiport dports 8776 /* 001 cinder-api incoming cinder_api */
ACCEPT     tcp  --  anywhere             anywhere             multiport dports armtechdaemon /* 001 glance incoming glance_api */
ACCEPT     tcp  --  anywhere             anywhere             multiport dports 8041 /* 001 gnocchi-api incoming gnocchi_api */
ACCEPT     tcp  --  anywhere             anywhere             multiport dports http /* 001 horizon 80 incoming */
ACCEPT     tcp  --  anywhere             anywhere             multiport dports commplex-main /* 001 keystone incoming keystone */
ACCEPT     udp  --  anywhere             anywhere             multiport dports bootps /* 001 neutron dhcp in incoming neutron_dhcp_in_192.168.0.9 */
ACCEPT     tcp  --  anywhere             anywhere             multiport dports 9696 /* 001 neutron server incoming neutron_server_192.168.0.9 */
ACCEPT     tcp  --  anywhere             anywhere             multiport dports 8773,8774,8775,8778 /* 001 nova api incoming nova_api */
ACCEPT     tcp  --  anywhere             anywhere             multiport dports 6080 /* 001 novncproxy incoming */
ACCEPT     all  --  anywhere             anywhere             state RELATED,ESTABLISHED
ACCEPT     icmp --  anywhere             anywhere            
ACCEPT     all  --  anywhere             anywhere            
ACCEPT     tcp  --  anywhere             anywhere             state NEW tcp dpt:ssh
REJECT     all  --  anywhere             anywhere             reject-with icmp-host-prohibited

"multiport dports 8777"라는 것에서 8777 포트에 대해 "telnet ...[ip]... 8777"로 연결하면 외부에서 접속이 됩니다. 그러니까, 위의 테이블에 포트를 등록하면 되는 것 같습니다. 이를 위해,

How to Open Ports in iptables
; https://www.ipserverone.info/knowledge-base/how-to-open-ports-in-iptables/

예를 들어 10240번 포트를 허용하고 싶다면 이렇게 명령어를 내릴 수 있습니다.

// 10240 포트로 들어오는 접속 허용
$ iptables -I INPUT -p tcp --dport 10240 -j ACCEPT

다시 iptables를 확인하면 해당 포트가 추가돼 있고,

$ sudo iptables -L INPUT
Chain INPUT (policy ACCEPT)
target     prot opt source               destination         
ACCEPT     tcp  --  anywhere             anywhere             tcp dpt:10240
           tcp  --  anywhere             anywhere            
neutron-openvswi-INPUT  all  --  anywhere             anywhere            
ACCEPT     tcp  --  anywhere             anywhere             multiport dports fs-agent /* 001 aodh-api incoming aodh_api */
ACCEPT     tcp  --  anywhere             anywhere             multiport dports 8777 /* 001 ceilometer-api incoming ceilometer_api */
ACCEPT     tcp  --  anywhere             anywhere             multiport dports 8776 /* 001 cinder-api incoming cinder_api */
ACCEPT     tcp  --  anywhere             anywhere             multiport dports armtechdaemon /* 001 glance incoming glance_api */
ACCEPT     tcp  --  anywhere             anywhere             multiport dports 8041 /* 001 gnocchi-api incoming gnocchi_api */
ACCEPT     tcp  --  anywhere             anywhere             multiport dports http /* 001 horizon 80 incoming */
ACCEPT     tcp  --  anywhere             anywhere             multiport dports commplex-main /* 001 keystone incoming keystone */
ACCEPT     udp  --  anywhere             anywhere             multiport dports bootps /* 001 neutron dhcp in incoming neutron_dhcp_in_192.168.0.9 */
ACCEPT     tcp  --  anywhere             anywhere             multiport dports 9696 /* 001 neutron server incoming neutron_server_192.168.0.9 */
ACCEPT     tcp  --  anywhere             anywhere             multiport dports 8773,8774,8775,8778 /* 001 nova api incoming nova_api */
ACCEPT     tcp  --  anywhere             anywhere             multiport dports 6080 /* 001 novncproxy incoming */
ACCEPT     all  --  anywhere             anywhere             state RELATED,ESTABLISHED
ACCEPT     icmp --  anywhere             anywhere            
ACCEPT     all  --  anywhere             anywhere            
ACCEPT     tcp  --  anywhere             anywhere             state NEW tcp dpt:ssh
REJECT     all  --  anywhere             anywhere             reject-with icmp-host-prohibited

실제로 외부에서 10240 포트로의 접속이 가능해집니다.




참고로, 삭제는 위의 추가 명령어에서 옵션만 "I"가 아닌 "D"로 바꾸면 됩니다.

$ sudo iptables -D INPUT -p tcp --dport 10240 -j ACCEPT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7/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45정성태3/2/202125324.NET Framework: 1026. 닷넷 5에 추가된 POH (Pinned Object Heap) [10]
12544정성태2/26/202126137.NET Framework: 1025. C# - Control의 Invalidate, Update, Refresh 차이점 [2]
12543정성태2/26/202122619VS.NET IDE: 158. C# - 디자인 타임(design-time)과 런타임(runtime)의 코드 실행 구분
12542정성태2/20/202124566개발 환경 구성: 544. github repo의 Release 활성화 및 Actions를 이용한 자동화 방법 [1]
12541정성태2/18/202122807개발 환경 구성: 543. 애저듣보잡 - Github Workflow/Actions 소개
12540정성태2/17/202124445.NET Framework: 1024. C# - Win32 API에 대한 P/Invoke를 대신하는 Microsoft.Windows.CsWin32 패키지
12539정성태2/16/202123618Windows: 189. WM_TIMER의 동작 방식 개요파일 다운로드1
12538정성태2/15/202124947.NET Framework: 1023. C# - GC 힙이 아닌 Native 힙에 인스턴스 생성 - 0SuperComicLib.LowLevel 라이브러리 소개 [2]
12537정성태2/11/202123252.NET Framework: 1022. UI 요소의 접근은 반드시 그 UI를 만든 스레드에서! - 두 번째 이야기 [2]
12536정성태2/9/202122198개발 환경 구성: 542. BDP(Bandwidth-delay product)와 TCP Receive Window
12535정성태2/9/202122166개발 환경 구성: 541. Wireshark로 확인하는 LSO(Large Send Offload), RSC(Receive Segment Coalescing) 옵션
12534정성태2/8/202123089개발 환경 구성: 540. Wireshark + C/C++로 확인하는 TCP 연결에서의 closesocket 동작 [1]파일 다운로드1
12533정성태2/8/202120286개발 환경 구성: 539. Wireshark + C/C++로 확인하는 TCP 연결에서의 shutdown 동작파일 다운로드1
12532정성태2/6/202123179개발 환경 구성: 538.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ReceiveBufferSize(SO_RCVBUF), SendBufferSize(SO_SNDBUF) [3]
12531정성태2/5/202121732개발 환경 구성: 537.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PSH flag와 Nagle 알고리듬파일 다운로드1
12530정성태2/4/202123809개발 환경 구성: 536.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Receive Window
12529정성태2/4/202123156개발 환경 구성: 535.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IN RTO [1]
12528정성태2/1/202123700개발 환경 구성: 534.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SS(Maximum Segment Size) - 윈도우 환경
12527정성태2/1/202123529개발 환경 구성: 533.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SS(Maximum Segment Size) - 리눅스 환경파일 다운로드1
12526정성태2/1/202120309개발 환경 구성: 532. Azure Devops의 파이프라인 빌드 시 snk 파일 다루는 방법 - Secure file
12525정성태2/1/202118815개발 환경 구성: 531. Azure Devops - 파이프라인 실행 시 빌드 이벤트를 생략하는 방법
12524정성태1/31/202118389개발 환경 구성: 530. 기존 github 프로젝트를 Azure Devops의 빌드 Pipeline에 연결하는 방법 [1]
12523정성태1/31/202121506개발 환경 구성: 529. 기존 github 프로젝트를 Azure Devops의 Board에 연결하는 방법
12522정성태1/31/202124102개발 환경 구성: 528. 오라클 클라우드의 리눅스 VM - 9000 MTU Jumbo Frame 테스트
12521정성태1/31/202121209개발 환경 구성: 527. 이더넷(Ethernet) 환경의 TCP 통신에서 MSS(Maximum Segment Size) 확인 [1]
12520정성태1/30/202120246개발 환경 구성: 526. 오라클 클라우드의 VM에 ping ICMP 여는 방법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