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1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6. .NET 예외 처리 정리
; https://www.sysnet.pe.kr/2/0/316

디버깅 기술: 15. First-Chance Exception
; https://www.sysnet.pe.kr/2/0/510

디버깅 기술: 16. Watson Bucket 정보를 이용한 CLR 응용 프로그램 예외 분석
; https://www.sysnet.pe.kr/2/0/595

.NET Framework: 110. WPF - 전역 예외 처리
; https://www.sysnet.pe.kr/2/0/614

디버깅 기술: 31. Windbg - Visual Studio 디버그 상태에서 종료해 버리는 응용 프로그램
; https://www.sysnet.pe.kr/2/0/957

디버깅 기술: 42. Watson Bucket 정보를 이용한 CLR 응용 프로그램 예외 분석 - (2)
; https://www.sysnet.pe.kr/2/0/1096

.NET Framework: 534. ASP.NET 응용 프로그램이 예외로 프로세스가 종료된다면?
; https://www.sysnet.pe.kr/2/0/10863

디버깅 기술: 110. 비동기 코드 실행 중 예외로 인한 ASP.NET 프로세스 비정상 종료 현상
; https://www.sysnet.pe.kr/2/0/11383

디버깅 기술: 119. windbg 분석 사례 - 종료자(Finalizer)에서 예외가 발생한 경우 비정상 종료(Crash) 발생
; https://www.sysnet.pe.kr/2/0/11732

닷넷: 2148. C# - async 유무에 따른 awaitable 메서드의 병렬 및 예외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3422

닷넷: 2213. ASP.NET/Core 웹 응용 프로그램 - 2차 스레드의 예외로 인한 비정상 종료
; https://www.sysnet.pe.kr/2/0/13551




C# - async 유무에 따른 awaitable 메서드의 병렬 및 예외 처리

간단하게 비동기 함수를 다음과 같이 만들고,

namespace ConsoleApp1;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async Task Main(string[] args)
    {
        DateTime now = DateTime.Now;
        await DelayAsync(3);
        await DelayAsync(6);
        Console.WriteLine($"{(DateTime.Now - now).TotalSeconds}"); // 3초 + 6초 대기, 총 9초 소요
    }

    static async Task DelayAsync(int id)
    {
        await Task.Delay(id * 1000);
    }
}

호출하면, 총 9초의 시간을 지연시킵니다. 그런데, 저 2개의 비동기 호출을 (종속성이 없어) 병렬 처리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런 경우, 간단하게는 Task.WhenAll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static async Task Main(string[] args)
{
    DateTime now = DateTime.Now;

    Task t1 = DelayTask(3); // 3초 작업 시작
    Task t2 = DelayAsync(6); // 연이어 6초 작업 시작

    await Task.WhenAll(t1, t2); // 6초 소요

    Console.WriteLine($"{(DateTime.Now - now).TotalSeconds}");
}

하지만, WhenAll을 사용하지 않고 다음과 같이 표현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static async Task Main(string[] args)
{
    DateTime now = DateTime.Now;

    Task t1 = DelayTask(3); // 3초 작업 시작
    Task t2 = DelayAsync(6); // 연이어 6초 작업 시작

    await t1; // 3초 대기
    await t2; // 위의 3초 대기를 포함해 3초 더 대기, 총 6초 소요

    Console.WriteLine($"{(DateTime.Now - now).TotalSeconds}");
}

마찬가지로 await 순서를 바꿔도 상관없습니다.

await t2; // 6초 대기
await t1; // 위의 6초 대기 동안에 t1은 이미 종료했으므로 바로 반환

그렇다면 개별 await를 한 것과 WhenAll을 호출한 것과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




그에 대한 차이점은 await 코드를 원칙적으로 분석하시면 됩니다.

await t1; // t1 작업 대기 후 아래의 코드 실행
await t2; 

위와 같은 상황에서 t1의 작업에서 예외가 발생하면 throw가 되므로 그다음 코드인 "await t2"를 수행하지 않게 됩니다. 이런 차이점을 try/catch로 감싸면 좀 더 명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namespace ConsoleApp1;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async Task Main(string[] args)
    {
        DateTime now = DateTime.Now;

        Task t1 = DelayAsync(3);
        Task t2 = DelayAsync(6);

        try
        {
            await t1;
            await t2;
        }
        catch (Exception e)
        {
            Console.WriteLine(e);
            Console.WriteLine($"t1.Exception: {t1.Exception}");
            Console.WriteLine($"t2.Exception: {t2.Exception}");
        }

        Console.WriteLine($"{(DateTime.Now - now).TotalSeconds}");
    }

    static async Task DelayAsync(int id)
    {
        await Task.Delay(id * 1000);
        throw new InvalidOperationException($"{id} - Exception in DelayAsync");
    }
}

/* 실행 결과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3 - Exception in DelayAsync
   at ConsoleApp1.Program.DelayAsync(Int32 id) in C:\temp\ConsoleApp1\Program.cs:line 71
   at ConsoleApp1.Program.Main(String[] args) in C:\temp\ConsoleApp1\Program.cs:line 17
t1.Exception: System.AggregateException: One or more errors occurred. (3 - Exception in DelayAsync)
 --->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3 - Exception in DelayAsync
   at ConsoleApp1.Program.DelayAsync(Int32 id) in C:\temp\ConsoleApp1\Program.cs:line 71
   at ConsoleApp1.Program.Main(String[] args) in C:\temp\ConsoleApp1\Program.cs:line 17
   --- End of inner exception stack trace ---
t2.Exception:
3.0295292
*/

위의 결과를 보면 await t1에서의 예외로 인해 3초 만에 실행이 종료됩니다. 이와 함께 "Exception e"는 "await t1"의 예외로 설정되고, 개별 t1.Exception은 System.AggregateException 타입으로 예외 정보를 갖게 됩니다.

그런 반면 t2.Exception은 비어 있는데요, 그렇다고 저 정보가 실행이 안 되었기 때문에 빈 것은 아닙니다. 애당초 "Task t2 = DelayAsync(6);" 코드를 호출하는 단계에서 비동기 작업은 시작했으므로, 별도로 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Sleep을 주면,

try
{
    await t1;
    await t2;
}
catch (Exception e)
{
    Console.WriteLine(e);
    Console.WriteLine($"t1.Exception: {t1.Exception}");
    Console.WriteLine($"t2.Exception: {t2.Exception}"); // 이 시점에는 작업이 진행되지 않아 비어 있지만,
}

Thread.Sleep(3000);
Console.WriteLine($"t2.Exception(2nd): {t2.Exception}"); // 이 시점에는 6초 대기가 끝나 예외 정보가 채워져 있음.

/* 출력 결과
...[생략]...

t2.Exception:
t2.Exception(2nd): System.AggregateException: One or more errors occurred. (6 - Exception in DelayAsync)
 --->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6 - Exception in DelayAsync
   at ConsoleApp1.Program.DelayAsync(Int32 id) in C:\temp\ConsoleApp1\Program.cs:line 71
   --- End of inner exception stack trace ---

보는 바와 같이 두 번째 출력에서 t2의 Exception 필드에 AggregateException 예외 정보가 채워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면 위의 코드를 Task.WhenAll로 바꾸면,

Task t1 = DelayAsync(3);
Task t2 = DelayAsync(6);

try
{
    await Task.WhenAll(t1, t2); // (3초가 아닌) 6초 대기 후,
}
catch (Exception e)
{
    Console.WriteLine(t1.Exception);
    Console.WriteLine(t2.Exception);
}

/* 출력 결과:
System.AggregateException: One or more errors occurred. (3 - Exception in DelayAsync)
 --->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3 - Exception in DelayAsync
   at ConsoleApp1.Program.DelayAsync(Int32 id) in C:\temp\ConsoleApp1\Program.cs:line 71
   at ConsoleApp1.Program.Main(String[] args) in C:\temp\ConsoleApp1\Program.cs:line 50
   --- End of inner exception stack trace ---
System.AggregateException: One or more errors occurred. (6 - Exception in DelayAsync)
 --->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6 - Exception in DelayAsync
   at ConsoleApp1.Program.DelayAsync(Int32 id) in C:\temp\ConsoleApp1\Program.cs:line 71
   --- End of inner exception stack trace ---
*/

모든 비동기 작업이 끝난 후에 처리를 이어가므로, 각각의 Task에 대한 예외 정보가 모두 기록돼 있습니다. 차이점이 눈에 들어오시죠? ^^ 따라서 굳이 Task.WhenAll을 개별 await으로 바꿔 쓰고 싶다면 이런 식으로 처리할 수는 있습니다.

// Task WhenAll의 코드를 직접 구성하는 경우

try
{
    Exception? e1 = null, e2 = null;

    try
    {
        await t1;
    }
    catch (Exception e)
    {
        e1 = e;
    }

    try
    {
        await t2;
    }
    catch (Exception e)
    {
        e2 = e;
    }

    if (e1 != null)
    {
        throw e1;
    }

    if (e2 != null)
    {
        throw e2;
    }
}
catch (Exception e)
{
    Console.WriteLine($"t1.Exception: {t1.Exception}");
    Console.WriteLine($"t2.Exception: {t2.Exception}");
}

음... 그냥 차라리 Task.WhenAll 쓰는 것이 더 낫겠습니다.




지난 글에서,

C# - 비동기 메서드의 async 예약어 유무에 따른 차이
; https://www.sysnet.pe.kr/2/0/13421

awaitable 메서드를 정의하는 2가지 방식을 설명했는데요, 이게 예외랑 역이면 약간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위에서 적용한 방식대로 다음과 같이 코딩을 하면,

namespace ConsoleApp1;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async Task Main(string[] args)
    {
        DateTime now = DateTime.Now;

        Task t1 = DelayTask(3);
        Task t2 = DelayAsync(6);

        try
        {
            await Task.WhenAll(t1, t2);
        }
        catch (Exception e)
        {
            Console.WriteLine(t1.Exception);
            Console.WriteLine(t2.Exception);
        }

        Console.WriteLine($"{(DateTime.Now - now).TotalSeconds}");
    }

    static Task DelayTask(int id)
    {
        Task task = Task.Delay(3000);
        throw new ApplicationException($"{id} - Exception in DelayTask");
        return task;
    }

    static async Task DelayAsync(int id)
    {
        await Task.Delay(id * 1000);
        throw new InvalidOperationException($"{id} - Exception in DelayAsync");
    }
}

/* 출력 결과:
Unhandled exception. System.ApplicationException: 3 - Exception in DelayTask
   at ConsoleApp1.Program.DelayTask(Int32 id) in C:\temp\ConsoleApp2\Program.cs:line 31
   at ConsoleApp1.Program.Main(String[] args) in C:\temp\ConsoleApp2\Program.cs:line 12
   at ConsoleApp1.Program.<Main>(String[] args)
*/

이번에는 3초의 대기조차 없이 곧바로 System.ApplicationException 예외가 발생하면서 (try/catch를 했는데도) 비정상 종료를 하게 됩니다. 그도 그럴 것이, DelayTask를 호출하는 시점에 내부 코드는 Task.Delay를 곧바로 실행한 후 "throw ..."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try의 시점을 앞당겨야 하는데,

Task t1;
Task t2;

try
{
    t1 = DelayTask(3);
    t2 = DelayAsync(6);

    await Task.WhenAll(t1, t2);
}
catch (Exception e)
{
    Console.WriteLine(t1.Exception);
    Console.WriteLine(t2.Exception);
}

이와 상관없이 DelayTask에서 await 처리를 하지 않은 체 예외가 발생했으므로 t2까지 가지 못하고 예외가 발생한다는 점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어찌 보면 DelayTask의 내부 구현 코드를 감안했을 때 이것이 당연하다고 할 수 있지만, 호출하는 입장에서라면 완전히 다른 문제가 됩니다. 즉, 동일한 awaitable 메서드임에도 불구하고 내부 구현에 따라 외부의 예외 처리를 달리해야 한다는 것은 분명 문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런 문제를 피하려면 대상 awaitable 메서드가 단순히 Task를 반환하는 유형인지, async가 붙은 유형인지 확인해야 하는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게다가 이것 역시 "인터페이스"처럼 계약 관계가 되므로 async를 부여했던 메서드를 나중에 Task로 간략화하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는 문제도 함께 있습니다.

결국, 지난 글에서는 효율상 할 수만 있다면 Task를 바로 반환하는 것을 권장했지만, 외부에서의 일관성 있는 예외 처리까지 감안한다면 가능한 async로 통일하는 것이 나을 수도 있습니다.

여러분의 선택은 어떤가요? ^^ DelayTask 유형처럼 만들 수 있는 상황에서 DelayAsync 유형처럼 만드실 건가요?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20/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4-08-30 09시17분
Understanding .NET stack traces - A guide for developers
; https://blog.elmah.io/understanding-net-stack-traces-a-guide-for-developers/
정성태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42정성태4/14/200517881    답변글 VS.NET IDE: 36.1. 메모리 구성에 대한 추가 내용
137정성태3/31/200522200.NET Framework: 35. XP SP2 팝업 뚫은 소스
135정성태3/31/200520945VS.NET IDE: 26. SQL Server 2000구성이 실패
134정성태3/31/200518153COM 개체 관련: 16. Microsoft.XMLHTTP 개체에서 Microsoft.XMLDOM 개체를 전송할 때 charset 지정 문제? [2]
128정성태3/30/200516518.NET Framework: 34. VC++에서 Managed 타입의 메서드에 BSTR을 넘기는 경우의 오류(!)
129정성태3/30/200518645    답변글 .NET Framework: 34.1. 위의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나온 것입니다.
130정성태3/30/200515927        답변글 .NET Framework: 34.2. 다시... 제가 질문한 내용입니다. ^^
131정성태3/30/200516465            답변글 .NET Framework: 34.3. 다시... 정봉겸님이 하신... 명확한 답변입니다.
126정성태3/26/200516310.NET Framework: 33. Proxy 환경에서의 Smart Client 업데이트 문제 [1]
133정성태3/31/200517446    답변글 .NET Framework: 33.1. [추가]: Proxy 환경에서의 Smart Client 업데이트 문제 [2]
125정성태3/26/200516399VC++: 15. VC++ Keyword
124정성태3/25/200516921.NET Framework: 32. 네트워크 공유 없이 상대 컴퓨터에 프로그램 설치
119정성태3/21/200516498.NET Framework: 31.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웹 프로젝트를 열수 없습니다.
120정성태3/21/200517846    답변글 .NET Framework: 31.1.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PDB 파일이 잠기는 문제
121정성태3/21/200517875    답변글 .NET Framework: 31.2.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VS.NET 2003 IDE 와 연동되는 소스세이프 버전 문제
122정성태3/21/200516585    답변글 .NET Framework: 31.3. 소스세이프 관련 사이트
160정성태11/14/200519472    답변글 VS.NET IDE: 31.4. [추가]: 웹 애플리케이션 로드시 "_1"을 붙여서 묻는 경우. [1]
196이문석12/23/200516278        답변글 .NET Framework: 31.8. [답변]: [추가]: 웹 애플리케이션 로드시 "_1" 을 붙여서 묻는 경우.
167정성태10/10/200515842    답변글 .NET Framework: 31.5. [추가]: 삭제한 웹 가상 디렉터리에 대해 동일한 이름으로 웹 공유를 설정할 때 - 이미 있다고 오류발생
190정성태12/11/200515140    답변글 VC++: 31.6. ASP.NET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다른 사람이 체크아웃 한 것을 또 다른 사람이 체크아웃 가능!
191정성태12/11/200517596    답변글 VC++: 31.7. 소스 세이프 사용 시, 특정 프로젝트의 빌드 체크가 솔루션 로드할 때마다 해제되는 경우
118정성태3/30/200623434VC++: 14. TCP through HTTP tunneling: 기업 내 Proxy 서버 제한에서 벗어나는 방법 [2]
117정성태3/19/200524522.NET Framework: 30. Process.Start에서의 인자 길이 제한 [4]
116정성태3/14/200517027.NET Framework: 29. [.NET WebService] 자동생성되는 WSDL 을 막는 방법.
115정성태3/13/200517590VS.NET IDE: 25. [IIS 서버] ODBC 로그 남기기 [1]
195정성태12/21/200516813    답변글 VC++: 25.1. ODBC 로그를 못 남길 때의 오류 화면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