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닷넷: 2151. C# 12 - ref readonly 매개변수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154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9개 있습니다.)
닷넷: 2112. C# 12 - 기본 람다 매개 변수
; https://www.sysnet.pe.kr/2/0/13338

닷넷: 2113. C# 12 - 기본 생성자(Primary Constructors)
; https://www.sysnet.pe.kr/2/0/13339

닷넷: 2114. C# 12 - 모든 형식의 별칭(Using aliases for any type)
; https://www.sysnet.pe.kr/2/0/13341

닷넷: 2141. C# 12 - Interceptor (컴파일 시에 메서드 호출 재작성)
; https://www.sysnet.pe.kr/2/0/13410

닷넷: 2142. C# 12 - 인라인 배열(Inline Arrays)
; https://www.sysnet.pe.kr/2/0/13412

닷넷: 2144. C# 12 - 컬렉션 식(Collection Expressions)
; https://www.sysnet.pe.kr/2/0/13415

닷넷: 2150. C# 12 - 정적 문맥에서 인스턴스 멤버에 대한 nameof 접근 허용(Allow nameof to always access instance members from static context)
; https://www.sysnet.pe.kr/2/0/13427

닷넷: 2151. C# 12 - ref readonly 매개변수
; https://www.sysnet.pe.kr/2/0/13428

닷넷: 2160. C# 12 - Experimental 특성 지원
; https://www.sysnet.pe.kr/2/0/13444




C# 12 - ref readonly 매개변수

자, 이제 드디어 C# 12의 마지막 8번째 개선 사항입니다. ^^

ref readonly parameters
; https://github.com/dotnet/csharplang/issues/6010
; https://github.com/dotnet/csharplang/blob/main/proposals/csharp-12.0/ref-readonly-parameters.md

Language Feature Status
; https://github.com/dotnet/roslyn/blob/main/docs/Language%20Feature%20Status.md#c-120

다른 7개와는 달리, 현재(2023-10-25) Visual Studio 2022의 Preview 버전으로만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ref readonly는 기존에도 타입의 멤버 변수, 로컬 변수, 메서드의 반환 타입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했는데요,

public ref struct MyStruct
{
    public ref readonly int Value;

    public MyStruct(int value)
    {
        ref readonly int localVar = ref GetValue();
    }

    private ref readonly int GetValue()
    {
        return ref Value;
    }
}

C# 12부터는 이것을 메서드의 매개변수 유형에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namespace ConsoleApp1;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i = 5;
        StructType st = new StructType { Value = 5 };
        ProcessRefReadOnly(ref st);
    }

    public static void ProcessRefReadOnly(ref readonly StructType instance)
    {
    }
}

public struct StructType
{
    public int Value;

    public void Increment() { Value++; }
}


기존의 ref 유형과 동일하지만 readonly이기 때문에 읽기 전용이라는 차이점만 있습니다. 이로 인해 다음과 같이,

public static void ProcessRefReadOnly(ref readonly StructType instance)
{
    instance = new StructType { Value = 10 }; // readonly이므로 ref 참조에 대해 새로운 값 대입 불가능

    instance.Value = 10; // readonly이므로 멤버 변경 불가능

    instance.Increment(); // 호출은 가능하지만 defensive copy 발생
}

직접적인 매개변수의 대입과 멤버 값 변경은 컴파일 단계에서 허용하지 않습니다. 반면, 메서드 호출의 경우에는 컴파일러가 (내부 코드에서 값을 변경하는지 알 수 없으므로) 허용은 하지만 단지 defensive copy가 발생하므로 잘 알고 사용해야 합니다. (눈치채셨겠지만, 이러한 규칙은 in 변경자와 정확히 일치합니다.)




이상적으로는 ^^; ref readonly에 대한 설명은 저것으로 끝일 수 있었습니다. 문제는, C# 개발자들이 ref readonly 이전에 "in 변경자"를 이미 만들었다는 점입니다.

C# 7.2 - 메서드의 매개 변수에 in 변경자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1525

실제로 저는 저 글을 쓰면서 in의 의미가 사실상 "ref + readonly"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런데 ^^; C# 12에서 정확히 그 문구에 해당하는 "ref readonly" 변경자를 추가한 것입니다.

게다가 in 변경자는 여전히 "ref + readonly"의 의미를 갖고 있는 것이 맞습니다. 그럼 도대체 왜? in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굳이 "ref readonly"를 새롭게 추가했을까요?

왜냐하면, in 변경자가 "ref + readonly"와 동일한데도 불구하고 "ref"의 원칙에 위배되는 기능을 하나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namespace ConsoleApp1;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i = 5;

        ProcessIn(i); // "in" 없이도 전달 가능
        ProcessIn(in i); // in을 명시하는 것도 가능
        ProcessIn(5); // 값을 전달하는 것도 가능

        ProcessRef(ref 5); // 값 전달은 컴파일 오류 - error CS1510: A ref or out value must be an assignable variable
    }

    public static void ProcessIn(in int instance)
    {
    }

    public static void ProcessRef(ref int instance)
    {
    }
}

ref가 갖는 참조의 의미에 따라 원래는 값을 직접 전달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in 변경자의 경우에는 어차피 readonly라는 특성을 감안해 내부 코드에서 대입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므로, 어쩌면 C# 개발자들은 컴파일을 허용해도 무방할 것이라 생각했을 것입니다.

그래서 다시 "ref"의 원칙에 맞게 값 전달을 (막을 수는 없고) 경고하는 "ref readonly"가 추가된 것입니다.

ProcessRefReadOnly(5); // ref readonly에 값을 전달하는 경우 CS9193 경고 발생
                       // warning CS9193: Argument 1 should be a variable because it is passed to a 'ref readonly' parameter

일단, 문서상으로는 저것 때문에 추가했다고는 하지만, 아마 현실적으로는 추가할 수밖에 없었을 것입니다. ^^ 왜냐하면, 이미 "in"은 "ref + readonly"의 의미를 갖고 있었으므로 기왕에 구현했으니 일관성을 가져가는 것이 좋았을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기존에 가능했던 "ref readonly" 코드를 아래와 같이,

public ref struct MyStruct
{
    public in int Value;

    public MyStruct(int value)
    {
        in int localVar = ref GetValue();
    }

    private in int GetValue()
    {
        return ref Value;
    }
}

in으로 통일하는 것도 우스웠을지도 모릅니다. 암튼, 이런 것까지 감안하면 그동안의 문법을 한번 리부팅하는 (C#이 아닌) CSharp과 같은 식의 언어로 내놓는 것이 어떨까... 하는 생각을 갖게 됩니다. CSharp 언어에서는 "in" 예약어는 없어지고 "ref readonly"만 있는 식으로. ^^




개인적인 판단으로, 이것은 C# 개발팀의 성급함에서 온 실수라고 봅니다. 처음부터 ref readonly를 추가했어야 하고, 값 전달은 "ref"의 원칙에 맞게 (경고가 아닌) 오류로 처리했어야 합니다.

물론, C# 7.2 시절에는 "ref readonly"까진 필요하지 않았었고, 그 와중에 "값 형식(struct)"에 대한 성능 보완을 추진하다 보니 "in 변경자"의 사양은 적절했습니다. 단지 결과적으로 그것은 섣부른 결정이 되었고, 그로 인해 C# 12에서 "ref readonly"가 추가된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아마도 처음부터 "ref readonly"를 구현했다면 "in"은 없었을 것입니다.

아무튼, in과 ref readonly는 IL 코드상으로 봐도 별다른 차이점이 없습니다.

public static void ProcessIn([IsReadOnly] [In] ref StructType instance)
{
}

public static void ProcessRefReadOnly([RequiresLocation] [In] ref StructType instance)
{
}

보는 바와 같이 "in 변경자"의 메서드 정의에 IsReadOnly 대신 (의미상으로는 IsReadOnly도 포함한) RequiresLocation 특성을 쓴 것이 "ref readonly" 변경자입니다. 또한, "[RequiresLocation]" 특성은 "modopt"로 선택적이어서 이것을 이해하지 못하는 낮은 버전의 컴파일러에게는 "ref readonly" 매개변수는 "in" 매개변수와 동일하게 해석됩니다.

따라서, "ref readonly"와 "in" 매개변수를 갖는 동일한 이름의 메서드는 재정의할 수 없습니다.

public static void ProcessRef(ref int instance)
{
}

public static void ProcessRef(in int instance) // ref와 함께 정의할 수 있지만,
{
}

public static void ProcessRef(ref readonly int instance) // in과 ref readonly는 구분하지 못하므로,
                      // 컴파일 에러 - CS0663 '...' cannot define an overloaded method that differs only on parameter modifiers 'in' and 'ref readonly'
{
}




자, 이제 하나의 ref는 총 4개(ref, ref readonly, in, out)의 변경자로 나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해당 매개변수를 갖는 메서드를 호출하는 측에서도 다음과 같이 다양한 규칙을 적용해 변경자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메서드 측 매개변수

ref

ref readonly (C# 12)

in

out

호출 측 변경자 표시

ref

허용

허용

경고(C# 11 이하 오류)

에러

in


에러

허용

허용

에러

out

에러

에러

에러

허용

변경자 없이 전달

에러

경고

허용

에러


새롭게 추가된 "ref readonly"의 경우 간단하게 다음과 같이 코드로 재현할 수 있습니다.

namespace ConsoleApp1;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value = 5;

        ProcessRefReadOnly(ref value); // 허용
        ProcessRefReadOnly(in value); // 허용
        ProcessRefReadOnly(out value); // 에러: error CS1615: Argument 1 may not be passed with the 'out' keyword
        ProcessRefReadOnly(value); // 경고: warning CS9192: Argument 1 should be passed with 'ref' or 'in' keyword
    }

    public static void ProcessRefReadOnly(ref readonly int instance)
    {
    }
}

또한, "in" 변경자의 경우 기존에는 호출 측에서 "ref"를 지정하면 에러가 발생했지만, C# 12부터는 경고 처리로 바뀌었다는 정도만 알고 지나가면 되겠습니다.

namespace ConsoleApp1;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value = 5;
        ProcessIn(ref value); // C# 11 미만의 경우 컴파일 에러
                              // C# 12 이후부터는 컴파일 경고: warning CS9191: The 'ref' modifier for argument 1 corresponding to 'in' parameter is equivalent to 'in'. Consider using 'in' instead.
    }

    public static void ProcessIn(in int instance)
    {
    }
}

마지막으로, 이전에 설명한 대로 "값"을 직접 전달하면 경고가 발생한다는 점에서 rvalue/lvalue 용어를 사용해 다음과 같은 표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메서드 측 매개변수

ref

ref readonly (C# 12)

in

out

호출 측 값 유형

*rvalue

에러

경고

허용

에러

*lvalue


에러

허용

허용

에러


* Where lvalue means a variable (i.e., a value with a location; does not have to be writable/assignable) and rvalue means any kind of value.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7/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39정성태9/14/200619253오류 유형: 11. ProtocolsSection?
338정성태2/4/200727478개발 환경 구성: 12. BUG: 웹 서비스에서 DataTable 사용하기 [2]파일 다운로드1
350정성태10/2/200620673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2.1. ASMX 2.0 and SchemaImporterExtensions파일 다운로드1
335정성태8/20/200628437디버깅 기술: 8. COM+ 서버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F5 디버깅 방법
334정성태8/20/200623661디버깅 기술: 7. VS.NET 2003/2005의 다중 프로젝트 디버깅
333정성태8/20/200624088개발 환경 구성: 11. COM+ 서버 활성화 보안 설정
331정성태8/27/200617074개발 환경 구성: 10. 최대 절전 모드와 VPC 네트워크 문제
330정성태8/20/200617358개발 환경 구성: 9. VPC로 구성하는 개인 환경
328정성태8/20/200635094개발 환경 구성: 8. AppVerifier 사용법 [1]
327정성태8/16/200631882개발 환경 구성: 7. ActiveX 서명 과정 자동화 [1]
326정성태8/16/200625636Team Foundation Server: 13. Sysnet 웹 사이트 TFS Migration
322정성태8/15/200620526개발 환경 구성: 6. 4GB 메모리 구성 [1]
316정성태9/20/200639630디버깅 기술: 6. .NET 예외 처리 정리 [6]
309정성태12/27/200640534디버깅 기술: 5. PDB 이야기 [7]
310정성태8/5/200627619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WinForm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파일 다운로드1
311정성태8/10/200627105    답변글 디버깅 기술: 5.2.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Application Project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
312정성태8/5/200629866    답변글 디버깅 기술: 5.3.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Site Model 유형의 프로젝트
313정성태8/12/200628991    답변글 디버깅 기술: 5.4.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1)
317정성태8/12/200626455    답변글 디버깅 기술: 5.5.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2)
318정성태8/12/200632888    답변글 디버깅 기술: 5.6.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319정성태8/12/200627900    답변글 디버깅 기술: 5.7.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2) [1]
320정성태8/12/200632032    답변글 디버깅 기술: 5.8. WinDBG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321정성태8/13/200636477    답변글 디버깅 기술: 5.9. Microsoft의 PDB 파일 관리
323정성태8/15/200637811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0. Symbol Server 생성 [4]
324정성태8/15/200634664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1. PDB 파일과 소스 코드
325정성태9/8/200627363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2. CCP를 이용한 Windows Source Code 수준의 디버깅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