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닷넷: 2170. .NET Core/5+ 기반의 COM Server를 tlb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tlbexp)
; https://www.sysnet.pe.kr/2/0/13458

닷넷: 2171. .NET Core 3/5+ 기반의 COM Server를 기존의 regasm처럼 등록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59

닷넷: 2172. .NET 6+ 기반의 COM Server 내에 Type Library를 내장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60

닷넷: 2173. .NET Core 3/5+ 기반의 COM Server를 registry 등록 없이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61




.NET Core 3/5+ 기반의 COM Server를 registry 등록 없이 사용하는 방법

.NET Core/5+에서 COM DLL을 만들 때 바뀐 것이 한두 개가 아니군요. ^^

.NET Core/5+ 기반의 COM Server를 tlb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tlbexp)
; https://www.sysnet.pe.kr/2/0/13458

.NET Core 3/5+ 기반의 COM Server를 기존의 regasm처럼 등록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59

.NET 6+ 기반의 COM Server 내에 Type Library를 내장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60

뿐만 아니라 tlbexp, regasm과 함께 reg-free COM 개체로 사용하는 방법도 편리하게 바뀌었습니다. 예전에는,

Registry 등록 과정 없이 COM 개체 사용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167

사용자가 직접 manifest 파일 내용을 기술해야만 했는데, 이제는 .NET Core 3부터 msbuild 옵션으로,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 ...[생략]... -->
        <EnableRegFreeCom>true</EnableRegFreeCom>
    </PropertyGroup>
    <!-- ...[생략]... -->
</Project>

자동 생성해 줍니다. 위와 같이 EnableRegFreeCom 옵션을 넣으면 빌드 시 추가로 "ClassLibrary1.X.manifest" 파일이 생성되는데요,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습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standalone="yes"?>
<assembly manifestVersion="1.0" xmlns="urn:schemas-microsoft-com:asm.v1">
    <assemblyIdentity type="win32" name="ClassLibrary1.X" version="1.0.0.0" />
    <file name="ClassLibrary1.comhost.dll">
        <comClass clsid="{41AC8568-9230-4E63-B7C5-CAAD997EE207}" threadingModel="Both" progid="ClassLibrary1.MyNetCode" />
    </file>
</assembly>

이것을 EXE 프로젝트 측의 manifest 정보에 병합하면 되는데요, 방법은 예전에 설명한 적이 있습니다. ^^

Visual Studio - C/C++ 프로젝트에 application manifest 적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304

따라서 C++ 프로젝트에 "add.manifest" 파일을 하나 추가한 다음, 기본적으로는 아래와 같은 내용만 포함하면 될 테지만,

<?xml version='1.0' encoding='UTF-8' standalone='yes'?>
<assembly xmlns='urn:schemas-microsoft-com:asm.v1' manifestVersion='1.0'>
  <trustInfo xmlns="urn:schemas-microsoft-com:asm.v3">
    <security>
      <requestedPrivileges>
        <requestedExecutionLevel level='asInvoker' uiAccess='false' />
      </requestedPrivileges>
    </security>
  </trustInfo>
</assembly>

C# 프로젝트의 결과물로 생성된 "ClassLibrary1.X.manifest" 파일의 내용을 필요한 부분만 복사해 주면,

<?xml version='1.0' encoding='UTF-8' standalone='yes'?>
<assembly xmlns='urn:schemas-microsoft-com:asm.v1' manifestVersion='1.0'>
  <trustInfo xmlns="urn:schemas-microsoft-com:asm.v3">
    <security>
      <requestedPrivileges>
        <requestedExecutionLevel level='asInvoker' uiAccess='false' />
      </requestedPrivileges>
    </security>
  </trustInfo>

    <file name="ClassLibrary1.comhost.dll">
        <comClass clsid="{41AC8568-9230-4E63-B7C5-CAAD997EE207}" threadingModel="Both" progid="ClassLibrary1.MyNetCode" />
    </file>
</assembly>

끝입니다. 이제 C# COM 서버를 사용하는 C/C++ COM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기만 하면 (아무런 등록 작업 없이도) 정상적으로 코드가 동작합니다.




덕분에 개인적으로 만들어 두었던 COMRegFreeManifest 도구가,

Reg-free COM 개체 사용을 위한 manifest 파일 생성 도구 - COMRegFreeManifest
; https://www.sysnet.pe.kr/2/0/12160

필요 없게 되었습니다.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반영했는데요, 다운로드 후 빌드를 (tlb 처리로 인해) 2번 한 후 ConsoleApplication1 프로젝트를 바로 실행하면 C# COM DLL 서버가 구동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30/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172정성태3/7/202016306개발 환경 구성: 474. docker - container에서 root 권한 명령어 실행(sudo)
12171정성태3/6/202011376VS.NET IDE: 143. Visual Studio -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의 "Enable Docker Support" 옵션으로 달라지는 점 [1]
12170정성태3/6/20209905오류 유형: 599. "Docker Desktop is switching..." 메시지와 DockerDesktopVM CPU 소비 현상
12169정성태3/5/202011929개발 환경 구성: 473. Windows nanoserver에 대한 docker pull의 태그 사용 [1]
12168정성태3/5/202012638개발 환경 구성: 472. 윈도우 환경에서의 dockerd.exe("Docker Engine" 서비스)가 Linux의 것과 다른 점
12167정성태3/5/202011874개발 환경 구성: 471. C# -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DB2 Express-C 데이터베이스 사용 (3) - ibmcom/db2express-c 컨테이너 사용
12166정성태3/4/202011482개발 환경 구성: 470. Windows Server 컨테이너 - DockerMsftProvider 모듈을 이용한 docker 설치
12165정성태3/2/202011111.NET Framework: 900.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네 번째 이야기(Monitor.Enter 후킹)파일 다운로드1
12164정성태2/29/202011992오류 유형: 598. Surface Pro 6 - Windows Hello Face Software Device가 인식이 안 되는 문제
12163정성태2/27/202010452.NET Framework: 899. 익명 함수를 가리키는 delegate 필드에 대한 직렬화 문제
12162정성태2/26/202013284디버깅 기술: 166. C#에서 만든 COM 객체를 C/C++로 P/Invoke Interop 시 메모리 누수(Memory Leak) 발생 [6]파일 다운로드2
12161정성태2/26/20209890오류 유형: 597. manifest - The value "x64" of attribute "processorArchitecture" in element "assemblyIdentity" is invalid.
12160정성태2/26/202010615개발 환경 구성: 469. Reg-free COM 개체 사용을 위한 manifest 파일 생성 도구 - COMRegFreeManifest
12159정성태2/26/20208712오류 유형: 596. Visual Studio - The project needs to include ATL support
12158정성태2/25/202010617디버깅 기술: 165. C# - Marshal.GetIUnknownForObject/GetIDispatchForObject 사용 시 메모리 누수(Memory Leak) 발생파일 다운로드1
12157정성태2/25/202010601디버깅 기술: 164. C# - Marshal.GetNativeVariantForObject 사용 시 메모리 누수(Memory Leak) 발생 및 해결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156정성태2/25/20209878오류 유형: 595. LINK : warning LNK4098: defaultlib 'nafxcw.lib' conflicts with use of other libs; use /NODEFAULTLIB:library
12155정성태2/25/20209116오류 유형: 594. Warning NU1701 - This package may not be fully compatible with your project
12154정성태2/25/20208907오류 유형: 593. warning LNK4070: /OUT:... directive in .EXP differs from output filename
12153정성태2/23/202011687.NET Framework: 898. Trampoline을 이용한 후킹의 한계파일 다운로드1
12152정성태2/23/202011416.NET Framework: 897.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세 번째 이야기(Trampoline 후킹)파일 다운로드1
12151정성태2/22/202011867.NET Framework: 896. C# - Win32 API를 Trampoline 기법을 이용해 C# 메서드로 가로채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원본 함수 호출)파일 다운로드1
12150정성태2/21/202011749.NET Framework: 895. C# - Win32 API를 Trampoline 기법을 이용해 C# 메서드로 가로채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149정성태2/20/202011529.NET Framework: 894. eBEST C# XingAPI 래퍼 - 연속 조회 처리 방법 [1]
12148정성태2/19/202012803디버깅 기술: 163. x64 환경에서 구현하는 다양한 Trampoline 기법 [1]
12147정성태2/19/202011436디버깅 기술: 162. x86/x64의 기계어 코드 최대 길이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