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4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7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969. .NET Framework 및 .NET 5 - UnmanagedCallersOnly 특성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2412

.NET Framework: 970. .NET 5 / .NET Core - UnmanagedCallersOnly 특성을 사용한 함수 내보내기
; https://www.sysnet.pe.kr/2/0/12413

.NET Framework: 971. UnmanagedCallersOnly 특성과 DNNE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2415

.NET Framework: 972. DNNE가 출력한 NE DLL을 직접 생성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421

.NET Framework: 973. .NET 5, .NET Framework에서만 허용하는 UnmanagedCallersOnly 사용예
; https://www.sysnet.pe.kr/2/0/12422

.NET Framework: 976. UnmanagedCallersOnly + C# 9.0 함수 포인터 사용 시 x86 빌드에서 오동작하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2431

닷넷: 2174. C# - .NET 7부터 UnmanagedCallersOnly 함수 export 기능을 AOT 빌드에 통합
; https://www.sysnet.pe.kr/2/0/13464




C# - .NET 7부터 UnmanagedCallersOnly 함수 export 기능을 AOT 빌드에 통합

예전에,

.NET 5 / .NET Core - UnmanagedCallersOnly 특성을 사용한 함수 내보내기
; https://www.sysnet.pe.kr/2/0/12413

UnmanagedCallersOnly 특성을 이용해 .NET DLL에서 Win32 API와 같은 식의 export 기능을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 과정이 .NET 7의 "PublishAot" 옵션과 만나면서 더 쉽게 바뀌었습니다.

그래서 예전 글의 예제를, 단순히 다음과 같이 구현해 주고,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namespace ClassLibrary2;

public class Class1
{
    [UnmanagedCallersOnly(EntryPoint = "mymethod")]
    public static void MyMethod(nint ptrText)
    {
        if (ptrText == IntPtr.Zero)
        {
            return;
        }

        string? text = Marshal.PtrToStringUni(ptrText);
        Console.WriteLine($"{DateTime.Now} {text}");
    }
}

csproj에 PublishAot, RuntimeIdentifier 옵션만 추가한 다음,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TargetFramework>net7.0</TargetFramework>
        <ImplicitUsings>enable</ImplicitUsings>
        <Nullable>enable</Nullable>
        <RuntimeIdentifier>win-x64</RuntimeIdentifier>
        <PublishAot>true</PublishAot>
    </PropertyGroup>

</Project>

명령행에서 "dotnet publish" 명령만 수행하면 됩니다.

C:\temp\ClassLibrary2> dotnet publish
MSBuild version 17.8.3+195e7f5a3 for .NET
  Determining projects to restore...
  All projects are up-to-date for restore.
  ClassLibrary2 -> C:\temp\ClassLibrary2\bin\Debug\net7.0\win-x64\ClassLibrary2.dll
  Generating native code
     Creating library bin\Debug\net7.0\win-x64\native\ClassLibrary2.lib and object bin\Debug\net7.0\win-x64\native\ClassLibrary2.exp
  ClassLibrary2 -> C:\temp\ClassLibrary2\bin\Debug\net7.0\win-x64\publish\

그럼, 소스 코드 내에서의 UnmanagedCallersOnly + EntryPoint 값이 부여된 것에 대해 자동으로 Win32 EXPORT 함수로 등록해 줍니다.

이후 사용하는 측에서는, 저렇게 생성한 (AOT로 빌드된) ClassLibrary2.dll 파일을 EXE 측에 복사해 둔 다음 DllImport를 연결한 코드를 수행하면 됩니다.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namespace ConsoleApp1;

internal class Program
{
    // 받는 측에서 text 인자를 Unicode로 취급하므로 반드시 MarshalAs로 LPWStr 값을 지정 (기본값은 ANSI)
    [DllImport(@"ClassLibrary2.dll")]
    private static extern int mymethod([MarshalAs(UnmanagedType.LPWStr)] string text);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ymethod("TEST");
    }
}




개발을 좀 편리하게 하려면, (AOT로 publish된) ClassLibrary2.dll 출력 파일을 EXE 프로젝트 측에 연결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OutputType>Exe</OutputType>
        <TargetFramework>net8.0</TargetFramework>
        <ImplicitUsings>enable</ImplicitUsings>
        <Nullable>enable</Nullable>
        
    </PropertyGroup>

    <ItemGroup>
        <None Include="..\ClassLibrary2\bin\$(Configuration)\net7.0\win-x64\publish\*">
            <CopyToOutputDirectory>PreserveNewest</CopyToOutputDirectory>
        </None>
    </ItemGroup>

</Project>

비록 여전히 ClassLibrary2 프로젝트의 소스 코드가 변경되면 명령행에서 "dotnet publish"를 수행해야 하지만 그래도 일단 배포가 되면 CopyToOutputDirectory까지 연결이 되므로 그 외의 수작업은 줄어듭니다.

게다가 PDB 파일까지 함께 배포되므로, ClassLibrary2의 코드를 디버깅할 수도 있는데요, 단지 AOT로 빌드된 네이티브 코드로 다뤄지기 때문에 "Launch Profiles" 설정에서 "Enable native code debugging" 옵션은 켜야 합니다.

unmanaged_export_debug_1.png

Enable debugging for managed and native code together, also known as mixed-mode debugging.




하는 김에, 할당한 메모리를 반환값으로 사용하는 경우 호출 측에서의 메모리 해제를 다뤄볼까요? ^^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export 함수를 만들고,

[UnmanagedCallersOnly(EntryPoint = "Concat")]
public static char* Concat(char* text1, char* text2)
{
    int len1 = GetTextLen(text1);
    int len2 = GetTextLen(text2);

    int dstSize = (len1 + len2 + 1) * 2;
    nint pBuffer = Marshal.AllocHGlobal(dstSize);

    System.Buffer.MemoryCopy(text1, (void*)pBuffer, dstSize, len1 * 2);
    System.Buffer.MemoryCopy(text2, (void*)(pBuffer + (len1 * 2)), dstSize - (len1 * 2), len2 * 2);
    *((char*)(pBuffer + dstSize - 2)) = '\0';

    return (char*)pBuffer;
}

private static int GetTextLen(char* ptr)
{
    int len = 0;

    while (*ptr != 0)
    {
        len++;
        ptr++;
    }

    return len;
}

사용은 이렇게 할 텐데요,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namespace ConsoleApp1;

internal partial class Program
{
    [DllImport(@"ClassLibrary2.dll")]
    [return: MarshalAs(UnmanagedType.LPWStr)]
    public static extern string Concat([MarshalAs(UnmanagedType.LPWStr)] string text1, [MarshalAs(UnmanagedType.LPWStr)] string text2);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while (true)
        {
            Console.WriteLine($"Concat-Output: {Concat("test is ", "good")}");
        }
    }
}

그렇다면, 저 코드는 Marshal.AllocHGlobal을 무한 루프로 실행하기 때문에 메모리 누수가 발생할까요? 의외로, 발생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string으로 마샬링을 처리하는 런타임 생성 코드에서 자동으로 Marshal.FreeHGlobal을 호출해 주기 때문입니다.

물론, string이 아닌, 포인터로 직접 받도록 signature를 지정하면,

[DllImport(@"ClassLibrary2.dll")]
public static extern nint Concat([MarshalAs(UnmanagedType.LPWStr)] string text1,
    [MarshalAs(UnmanagedType.LPWStr)] string text2);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ymethod("TEST");

    while (true)
    {
        nint result = Concat("test is ", "good"); // 메모리 누수
    }
}

이때는 메모리 누수가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저렇게 했다면 반드시 호출 측에서 메모리 정리까지 해야 합니다.

nint result = Concat("test is ", "good");
Marshal.FreeHGlobal(result); // 호출 측에서 명시적인 메모리 해제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29/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847정성태3/17/201915207Linux: 7. 리눅스 C/C++ - 공유 라이브러리 동적 로딩 후 export 함수 사용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846정성태3/15/201913579Linux: 6. getenv, setenv가 언어/운영체제마다 호환이 안 되는 문제
11845정성태3/15/201914296Linux: 5. Linux 응용 프로그램의 (C++) so 의존성 줄이기(ReleaseMinDependency) [3]
11844정성태3/14/201915125개발 환경 구성: 434. Visual Studio 2019 - 리눅스 프로젝트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프로그램 개발 환경 설정 [1]파일 다운로드1
11843정성태3/14/201910862기타: 75. MSDN 웹 사이트를 기본으로 영문 페이지로 열고 싶다면?
11842정성태3/13/201910269개발 환경 구성: 433.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예제를 Visual Studio CMake로 빌드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841정성태3/13/201910237VS.NET IDE: 132. Visual Studio 2019 - CMake의 컴파일러를 기본 g++에서 clang++로 변경
11840정성태3/13/201911340오류 유형: 526. 윈도우 10 Ubuntu App 환경에서는 USB 외장 하드 접근 불가
11839정성태3/12/201914109디버깅 기술: 124. .NET Core 웹 앱을 호스팅하는 Azure App Services의 프로세스 메모리 덤프 및 windbg 분석 개요 [3]
11838정성태3/7/201916862.NET Framework: 811. (번역글) .NET Internals Cookbook Part 1 - Exceptions, filters and corrupted processes [1]파일 다운로드1
11837정성태3/6/201926614기타: 74. 도서: 시작하세요! C# 7.3 프로그래밍 [10]
11836정성태3/5/201914429오류 유형: 525. Visual Studio 2019 Preview 4/RC - C# 8.0 Missing compiler required member 'System.Range..ctor' [1]
11835정성태3/5/201914190.NET Framework: 810. C# 8.0의 Index/Range 연산자를 .NET Framework에서 사용하는 방법 및 비동기 스트림의 컴파일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1834정성태3/4/201913076개발 환경 구성: 432. Visual Studio 없이 최신 C# (8.0) 컴파일러를 사용하는 방법
11833정성태3/4/201913838개발 환경 구성: 431. Visual Studio 2019 - CMake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리눅스 프로젝트 설정파일 다운로드1
11832정성태3/4/201910871오류 유형: 524. Visual Studio CMake - rsync: connection unexpectedly closed
11831정성태3/4/201910458오류 유형: 523. Visual Studio 2019 - 새 창으로 뜬 윈도우를 닫을 때 비정상 종료
11830정성태2/26/201910244오류 유형: 522. 이벤트 로그 - Error opening event log file State. Log will not be processed. Return code from OpenEventLog is 87.
11829정성태2/26/201912155개발 환경 구성: 430.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예제 빌드 방법 - 리눅스 환경 [1]
11828정성태2/26/201918572개발 환경 구성: 429. Component Services 관리자의 RuntimeBroker 설정이 2개 있는 경우 [8]
11827정성태2/26/201912481오류 유형: 521. Visual Studio - Could not start the 'rsync' command on the remote host, please install it using your system package manager.
11826정성태2/26/201912362오류 유형: 520. 우분투에 .NET Core SDK 설치 시 패키지 의존성 오류
11825정성태2/25/201917210개발 환경 구성: 428. Visual Studio 2019 - CMake를 이용한 리눅스 빌드 환경 설정 [1]
11824정성태2/25/201912020오류 유형: 519. The SNMP Service encountered an error while accessing the registry key 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SNMP\Parameters\TrapConfiguration. [1]
11823정성태2/21/201913508오류 유형: 518. IIS 관리 콘솔이 뜨지 않는 문제
11822정성태2/20/201911638오류 유형: 517. docker에 설치한 MongoDB 서버로 연결이 안 되는 경우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