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닷넷: 2180. .NET 8 - 함수 포인터에 대한 Reflection 정보 조회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114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닷넷: 2161. .NET Conf 2023 - Day 1 Blazor 개요 정리
; https://www.sysnet.pe.kr/2/0/13446

닷넷: 2163. .NET 8 - Dynamic PGO를 결합한 성능 향상
; https://www.sysnet.pe.kr/2/0/13448

닷넷: 2178. C# - .NET 8부터 COM Interop에 대한 자동 소스 코드 생성 도입
; https://www.sysnet.pe.kr/2/0/13470

닷넷: 2180. .NET 8 - 함수 포인터에 대한 Reflection 정보 조회
; https://www.sysnet.pe.kr/2/0/13475

닷넷: 2181. C# - .NET 8 JsonStringEnumConverter의 AOT를 위한 개선
; https://www.sysnet.pe.kr/2/0/13476




.NET 8 - 함수 포인터에 대한 Reflection 정보 조회

문서를 보면,

Reflection improvements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ore/whats-new/dotnet-8#reflection-improvements

.NET 5/C# 9.0에 추가되었던 함수 포인터에 대해,

C# 9.0 - (6) 함수 포인터(Function pointers)
; https://www.sysnet.pe.kr/2/0/12374

Reflection 대응이 가능해졌다고 합니다. 예제를 위해,

C++의 inline asm 사용을 .NET으로 포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67

저 글의 CPUID를 구하는 코드를 (기존의 System.Delegate를 사용하던 방식 대신) 함수 포인터를 이용해 다음과 같이 처리해 보겠습니다.

public class SystemInfo
{
    // ...[생략]...

    delegate* unmanaged[Cdecl]<byte*, void> _cpuIdFunc;

    public SystemInfo()
    {
        byte[] codeBytes = (IntPtr.Size == 4) ? x86CpuIdBytes : x64CpuIdBytes;

        _codePointer = VirtualAlloc(IntPtr.Zero, new UIntPtr((uint)codeBytes.Length), 
            AllocationType.COMMIT | AllocationType.RESERVE, MemoryProtection.EXECUTE_READWRITE 
        );

        Marshal.Copy(codeBytes, 0, _codePointer, codeBytes.Length);

        _cpuIdFunc = (delegate* unmanaged[Cdecl]<byte*, void>)_codePointer;
    }

    // ...[생략]...
}

.NET 7까지는 "delegate* unmanaged[Cdecl]<byte*, void>" 타입은 단순히 포인터에 불과했지만, .NET 8부터는 함수 포인터 타입으로써의 정보를 구할 수 있게 바뀐 것인데요, 그렇다고 해서 _cpuIdFunc 필드에 대고 GetType을 할 수는 없습니다.

Type type = _cpuIdFunc.GetType(); // 컴파일 오류: CS1061

// 또는,

Type type = typeof(_cpuIdFunc); // 컴파일 오류

대신 delegate 정의에 대해 직접 타입을 구하거나,

Type type = typeof(delegate* unmanaged[Cdecl, SuppressGCTransition]<byte*, void>);

클래스의 멤버 필드로 조회해 타입을 구할 수 있습니다.

FieldInfo fieldType = typeof(SystemInfo).GetField(
    nameof(SystemInfo._cpuIdFunc), BindingFlags.NonPublic | BindingFlags.Instance);
Type type = fieldType.FieldType;

특이한 점은, 타입으로써의 Name도 없고 BaseType도 없다는 점입니다.

Console.WriteLine(type.IsClass); // True (타입이긴 해도!)
Console.WriteLine(type.FullName ?? "(null)"); // (null)
Console.WriteLine(type.BaseType ?? "(null)"); // (null)
Console.WriteLine(type); // System.Void(System.Byte*)

단지 해당 타입이 포인터라는 점과,

Console.WriteLine(type.IsFunctionPointer); // True
Console.WriteLine(type.IsUnmanagedFunctionPointer); // True
Console.WriteLine(type.IsPointer); // False (그렇다고 해서 포인터는 아니라는!)

"함수"를 가리키기 때문에 그에 대한 매개변수 정보, 반환값 정보를 구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Console.WriteLine(type.GetFunctionPointerReturnType()); // System.Void (반환 타입)

foreach (Type parameterType in type.GetFunctionPointerParameterTypes()) // 매개변수 타입
{
    Console.WriteLine($"Parameter type: {parameterType}"); // Parameter type: System.Byte*
}

재미있는 점은, delegate* 타입에 부여한 calling convention 정보를 가져오기 위해 Type이 아닌, FieldInfo의 (.NET 8에 새롭게 추가된) GetModifiedFieldType 메서드를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FieldInfo fieldInfo = typeof(SystemInfo).GetField(
    nameof(SystemInfo._cpuIdFunc), BindingFlags.NonPublic | BindingFlags.Instance);
Type type = fieldInfo.FieldType;

Type modifiedType = fieldInfo.GetModifiedFieldType();

Console.WriteLine(type == modifiedType); // False
Console.WriteLine(type == modifiedType.UnderlyingSystemType); // True

foreach (Type callConv in modifiedType.GetFunctionPointerCallingConventions())
{
    Console.WriteLine($"Calling convention: {callConv}"); // Calling convention: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CallConvCdecl
}

결국, "delegate*"로부터 구한 타입의 경우에는 그 안에 Calling convention에 대한 정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정보를 구할 수 없다는 요상한 경우가 나옵니다.

Type type = typeof(delegate* unmanaged[Cdecl]<byte*, void>);
Console.WriteLine($"{type.GetFunctionPointerCallingConventions().Length}"); // 0

마찬가지로, 매개변수에 대한 접근자 정보 역시 GetModifiedFieldType으로 구한 타입으로만 조회할 수 있습니다.

// 제가 만든 예제 코드에서는 modifier가 없으므로 결과가 없습니다.

var modifiers =
    modifiedType.GetFunctionPointerParameterTypes()[0].GetRequiredCustomModifiers();

foreach (Type modreq in modifiers) // [0] 번째 인자의 modifier를 열거
{
    Console.WriteLine($"Required modifier for first parameter: {modreq}");
}




사실 개인적으로는, 함수 포인터의 Reflection 조회 자체에 대해서는 별로 관심은 없었고, 해당 문서를 보면서 보게 된 코드가 더 흥미로웠습니다.

public delegate* unmanaged[Cdecl, SuppressGCTransition]<in int, void> _fp;

처음 C# 9에서 함수 포인터 구문을 접했을 땐,

delegate* managed<int, int, int> p1 = null;

delegate* unmanaged[Stdcall]<int, int, int> p2 = null;

저렇게 "[", "]" 대괄호 안에 올 수 있는 것은 특별히 Calling Convention에 한해서 가능한 거라고 생각했는데요, 실제로는 마치 특성(Attribute)처럼 지정할 수 있다는 것이 흥미로웠습니다.

그런데, 저기에 지정된 Stdcall같은 타입들은 실제로 단순히 class로만 정의돼 있는 것이 맞습니다.

public class CallConvCdecl
{
    public CallConvCdecl() { }
}
public class CallConvFastcall
{
    public CallConvFastcall() { }
}
public class CallConvStdcall
{
    public CallConvStdcall() { }
}

게다가, 함께 지정 가능한 SuppressGCTransition은 특성이 맞습니다.

[AttributeUsage(AttributeTargets.Method, Inherited = false)]
public sealed class SuppressGCTransitionAttribute : Attribute
{
    public SuppressGCTransitionAttribute()
    {
    }
}

오호~~~ 그렇다면 아마도 마이크로소프트 측은 처음부터 저 구문에 특성을 지정할 수 있게 만들지는 않았을 거로 보이는데요, 테스트를 위해 .NET 5 프로젝트를 만들어 다음의 코드를 컴파일해 보면,

using System;

namespace ConsoleApp1
{
    internal unsafe class Program
    {
        delegate* unmanaged[Cdecl, SuppressGCTransition]<byte*, void> _cpuIdFunc; // 컴파일 오류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ole.WriteLine("Hello World!");
        }
    }

    [AttributeUsage(AttributeTargets.Method, Inherited = false)]
    public sealed class SuppressGCTransitionAttribute : Attribute // .NET 6부터 정의됐으므로 일부러 추가
    {
        public SuppressGCTransitionAttribute()
        {
        }
    }
}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error CS8890: Type 'CallConvSuppressGCTransition' is not defined.

즉, 이름 규칙을 "CallConv" 접두사를 붙인 것들만 허용한 것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CallConvSuppressGCTransition 타입을 정의해도 여전히 오류는 발생합니다. 이거저거 테스트해 보면, 결국 .NET 6부터 delegate*에 지정 가능한 특성(?)은 기존에 정의된 Calling Convention 타입들과 특별히 SuppressGCTransition 특성만 지정하도록 제한돼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일례로, .NET 8.0에서도 AttributeTargets.Method인 사용자 정의 특성을 설정하면 컴파일 오류가 발생합니다.)

뭐랄까, 약간 하드 코딩을 했다는 느낌마저 드는데요, 그렇다고 해도 저런 코드를 작성하게 된 것은 환영할 만합니다.

왜냐하면, delegate* + SuppressGCTransition 조합이야말로 닷넷 세계에서 현존하는 Native API 호출 방식 중 가장 빠른 유형이기 때문입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8/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534정성태6/6/201829119.NET Framework: 758. C# 7.2 - Span<T> [6]
11533정성태6/5/201831692.NET Framework: 757. 포인터 형 매개 변수를 갖는 C++ DLL의 함수를 C#에서 호출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532정성태6/5/201821744.NET Framework: 756. JSON의 escape sequence 문자 처리 방식
11531정성태6/4/201826035오류 유형: 468. JSON.parse가 허용하지 않는 문자 [9]
11530정성태5/31/201826037.NET Framework: 755. C# 7.2 - 스택에만 생성할 수 있는 값 타입 지원 - "ref struct" [2]파일 다운로드1
11529정성태5/23/201823375.NET Framework: 754. 닷넷의 관리 포인터(Managed Pointer)와 System.TypedReference [6]파일 다운로드1
11528정성태5/17/201822878.NET Framework: 753. C# 7.2 - 3항 연산자에 ref 지원(conditional ref operator) [1]
11527정성태5/17/201820527오류 유형: 467. RDP 로그인 에러 - This could be due to CredSSP encryption oracle remediation.
11526정성태5/16/201820604.NET Framework: 752. C# 7.2 - 메서드의 반환값 및 로컬 변수에 ref readonly 기능 추가파일 다운로드1
11525정성태5/16/201824671.NET Framework: 751. C# 7.2 - 메서드의 매개 변수에 in 변경자 추가 [3]파일 다운로드1
11524정성태5/15/201823596.NET Framework: 750. C# 7.2 - readonly 구조체 [5]파일 다운로드1
11523정성태5/15/201821363.NET Framework: 749. C# - 값 형식의 readonly 인스턴스에 대한 메서드 호출 시 defensive copy 발생 [1]파일 다운로드1
11522정성태5/15/201819103개발 환경 구성: 378. Azure - VM 진단 설정 화면의 "This subscription is not registered with the Microsoft.Insights resource provider."
11521정성태5/15/201818165개발 환경 구성: 377. Azure - 원하는 성능 데이터로 모니터링 대시보드 구성
11520정성태5/12/201819721.NET Framework: 748. C# 7.1 - 참조 어셈블리(Ref Assemblies)
11519정성태5/12/201821314개발 환경 구성: 376. ASP.NET Web Application 프로젝트의 FileSystem 배포(Publish) 시 Before/After Task 설정 방법 [1]
11518정성태5/10/201819702.NET Framework: 747. C# 7.0에서도 부분적으로 가능해진 "타입 추론을 통한 튜플의 변수명 자동 지정"
11517정성태5/10/201818766.NET Framework: 746. Azure runbook 예제 - 6시간 동안 수행 중인 VM을 중지 [1]파일 다운로드1
11516정성태5/9/201818873.NET Framework: 745. Azure runbook을 PowerShell 또는 C# 코드로 실행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515정성태5/9/201821301.NET Framework: 744. C# 6 - Expression bodied function [1]
11514정성태5/3/201819429오류 유형: 466. Bitvise - Error in component session/transport/kexHandler [2]
11513정성태5/3/201826318.NET Framework: 743. C# 언어의 공변성과 반공변성 [9]파일 다운로드2
11512정성태5/2/201818503개발 환경 구성: 375. Azure runbook 실행 시 "Errors", "All Logs"에 오류 메시지가 출력되는 경우
11511정성태5/2/201820573개발 환경 구성: 374. Azure - Runbook 기능 소개
11510정성태4/30/201821679.NET Framework: 742. windbg로 확인하는 Finalizer를 가진 객체의 GC 과정파일 다운로드1
11509정성태4/28/201820001.NET Framework: 741. windbg로 확인하는 객체의 GC 여부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