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883. dotnet build/restore - error : Root element is missing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184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dotnet build/restore - error : Root element is missing

오호~~~ 이게 웬일입니까, 빌드하다가 실로 오랜만에 시스템이 갑자기 BSOD가 뜨더니, 리부트 후 다시 하는 빌드에서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 dotnet publish -r linux-x64 -c Release
MSBuild version 17.8.3+195e7f5a3 for .NET
  Determining projects to restore...
/usr/share/dotnet/sdk/8.0.100/NuGet.targets(156,5): error : Root element is missing. [/mnt/c/temp/ConsoleApp1/ConsoleApp1.csproj]

재미있는 것은, 윈도우 환경에서 "dotnet publish -r win-x64 -c Release"로 실행하면 문제 없이 빌드가 됩니다. ^^;




자, 그럼 오류가 발생했다고 하는, /usr/share/dotnet/sdk/8.0.100/NuGet.targets 파일의 156 라인을 볼까요?

155      <!-- Call restore -->
156      <RestoreTask
157        RestoreGraphItems="@(_RestoreGraphEntryFiltered)"
158        RestoreDisableParallel="$(RestoreDisableParallel)"
159        RestoreNoCache="$(RestoreNoCache)"
160        RestoreIgnoreFailedSources="$(RestoreIgnoreFailedSources)"
161        RestoreRecursive="$(RestoreRecursive)"
162        RestoreForce="$(RestoreForce)"
163        HideWarningsAndErrors="$(HideWarningsAndErrors)"
164        Interactive="$(NuGetInteractive)"
165        RestoreForceEvaluate="$(RestoreForceEvaluate)"
166        RestorePackagesConfig="$(RestorePackagesConfig)">
167        <Output TaskParameter="EmbedInBinlog" ItemName="EmbedInBinlog" />
168      </RestoreTask>

RestoreTask니까, 그냥 이렇게만 해도 오류가 재현됩니다.

$ dotnet restore
  Determining projects to restore...
/usr/share/dotnet/sdk/8.0.100/NuGet.targets(156,5): error : Root element is missing. [/mnt/c/temp/ConsoleApp1/ConsoleApp1.csproj]

문제를 좁혀본 결과, 아래의 참조가 없으면 괜찮았습니다.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OutputType>Exe</OutputType>
    <TargetFramework>net8.0</TargetFramework>
    <ImplicitUsings>enable</ImplicitUsings>
    <Nullable>enable</Nullable>
    <PublishAot>true</PublishAot>
    <InvariantGlobalization>true</InvariantGlobalization>
  </PropertyGroup>

  <ItemGroup>
    <PackageReference Include="Microsoft.VisualStudio.Azure.Containers.Tools.Targets" Version="1.19.5" />
  </ItemGroup>

</Project>

혹시나 싶어 새롭게 프로젝트를 만들고 추가를 했더니,

$ cd /tmp/testconsole

$ dotnet new console

$ dotnet add package Microsoft.VisualStudio.Azure.Containers.Tools.Targets
  Determining projects to restore...
  Writing /tmp/tmpnqryAv.tmp
info : X.509 certificate chain validation will use the fallback certificate bundle at '/usr/share/dotnet/sdk/8.0.100/trustedroots/codesignctl.pem'.
info : X.509 certificate chain validation will use the fallback certificate bundle at '/usr/share/dotnet/sdk/8.0.100/trustedroots/timestampctl.pem'.
info : Adding PackageReference for package 'Microsoft.VisualStudio.Azure.Containers.Tools.Targets' into project '/mnt/c/temp/ConsoleApp2/ConsoleApp2.csproj'.
info :   GET https://api.nuget.org/v3/registration5-gz-semver2/microsoft.visualstudio.azure.containers.tools.targets/index.json
info :   OK https://api.nuget.org/v3/registration5-gz-semver2/microsoft.visualstudio.azure.containers.tools.targets/index.json 898ms
info : Restoring packages for /mnt/c/temp/ConsoleApp2/ConsoleApp2.csproj...
info :   CACHE https://api.nuget.org/v3/vulnerabilities/index.json
info :   CACHE https://api.nuget.org/v3/vulnerabilities/vulnerability.base.json
info :   CACHE https://api.nuget.org/v3/vulnerabilities/vulnerability.update.json
error: Root element is missing.

역시나 동일한 오류가 발생합니다. ^^;




반면 다른 패키지 참조는 또 잘 됩니다.

$ dotnet add package CustomMessageLoop
...[생략: 성공 메시지]...

그렇다면, 지난번 빌드에서 Microsoft.VisualStudio.Azure.Containers.Tools.Targets 패키지를 구성하는 중 뭔가 불안정한 상태로 있는 순간 블루 스크린이 떴던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일단, 이거저거 따지기 귀찮아서 모든 Nuget cache를 삭제한 다음,

// Managing the global packages, cache, and temp folders
// https://learn.microsoft.com/en-us/nuget/consume-packages/managing-the-global-packages-and-cache-folders

$ dotnet nuget locals all --list
http-cache: /home/testusr/.local/share/NuGet/http-cache
global-packages: /home/testusr/.nuget/packages/
temp: /tmp/NuGetScratchtestusr
plugins-cache: /home/testusr/.local/share/NuGet/plugin-cache

$ dotnet nuget locals all --clear
Clearing NuGet HTTP cache: /home/testusr/.local/share/NuGet/http-cache
Clearing NuGet global packages folder: /home/testusr/.nuget/packages/
Clearing NuGet Temp cache: /tmp/NuGetScratchtestusr
Clearing NuGet plugins cache: /home/testusr/.local/share/NuGet/plugin-cache
Local resources cleared.

다시 패키지 추가를 시도했더니, 이번에는 잘 되었습니다. (단지, 특정 소스에서 설치 시 시간이 약 10분 정도 넘게 걸린 듯합니다.) 어쩌면 그 패키지만 삭제했어도 되지 않았을까 싶은데 다음번에 재현되면 테스트해 보겠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15/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985정성태8/6/20252336오류 유형: 973. "wsl --install" 명령어 수행 시 "The server name or address could not be resolved"
13984정성태8/6/20252166Windows: 282. 윈도우 운영체제에 추가된 ssh 서버(Win32-OpenSSH)
13983정성태8/4/20252286오류 유형: 972. Microsoft.Data.SqlClient 6.1.0 버전부터 .NET 8 이상만 지원
13982정성태8/2/20252355개발 환경 구성: 753. CentOS 7 컨테이너 내에서 openssh 서버 호스팅
13981정성태8/1/20251910오류 유형: 971. CentOS 7에서 yum 사용 시 "Could not resolve host: mirrorlist.centos.org; Unknown error"
13980정성태7/31/20251994Linux: 119. eBPF - BPF_PROG_TYPE_CGROUP_SOCK 유형에서 정상 동작하지 않는 BPF_CORE_READ (2)
13979정성태7/30/20252291Linux: 118. eBPF - BPF_PROG_TYPE_CGROUP_SOCK 유형에서 정상 동작하지 않는 BPF_CORE_READ
13978정성태7/29/20252039오류 유형: 970. 파일 복사 시 "Data error (cyclic redundancy check). (0x80070017)" 에러
13977정성태7/28/20252637닷넷: 2349. C# 14 - (4) 문자열 리터럴을 utf-8 인코딩으로 저장파일 다운로드1
13976정성태7/25/20252443닷넷: 2348. C# - 카카오 카나나 모델 + Microsoft.ML.OnnxRuntimeGenAI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975정성태7/23/20252308닷넷: 2347. C# 14 - (3) 형식 인자가 없는 제네릭 타입의 nameof 지원파일 다운로드1
13974정성태7/22/20252380닷넷: 2346. C# 14 - (2) Span 타입과 배열 간의 암시적 형변환파일 다운로드1
13973정성태7/21/20252410닷넷: 2345. C# - 배열 및 Span의 공변성파일 다운로드1
13972정성태7/21/20252121닷넷: 2344. C#의 Identity conversion 의미파일 다운로드1
13971정성태7/17/20252408닷넷: 2343. C# 14 - (1) 속성 구문에서 문맥 키워드로 추가되는 field 예약어파일 다운로드1
13970정성태7/17/20252231닷넷: 2342. C# 14 - (취소된 글)
13969정성태7/17/20252207닷넷: 2341. snap으로 설치한 .NET 리눅스 실행 환경
13968정성태7/16/20252140오류 유형: 969. lddtree - TypeError: 'type' object is not subscriptable
13967정성태7/16/20252917오류 유형: 968. snap으로 설치한 "dotnet run" 실행 시 "undefined symbol: _dl_audit_symbind_alt, version GLIBC_PRIVATE" 오류
13966정성태7/15/20253607디버깅 기술: 223. WinDbg - .kframes 명령어
13965정성태7/11/20252676오류 유형: 967. 디버깅 모드로 실행 시 "Could not find file 'C:\Program Files\IIS Express\Oracle.DataAccess.Common.Configuration.Section.xsd'" 예외
13964정성태7/10/20253990닷넷: 2340. C# - Win32 Multimedia Timer 주기파일 다운로드1
13963정성태7/8/20253267VS.NET IDE: 202. Visual Studio 2022 + Copilot 기본 사용법
13962정성태7/7/20253067스크립트: 79. 파이썬 - onnxruntime_genai에서 지원하지 않는 모델 사용
13961정성태7/5/20252797디버깅 기술: 222. WinDbg 분석 사례 - IISreset 시점에 w3wp.exe의 crash 발생
13960정성태7/3/20254231개발 환경 구성: 752. ProcDump - C/C++ 예외 코드 필터를 지정한 덤프 생성 [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